View : 746 Download: 0

朝鮮時代 儒敎倫理敎育에 關한 硏究

Title
朝鮮時代 儒敎倫理敎育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Confucian Ethics Education in the Chosun Dynasty
Authors
郭相欣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Keywords
조선시대유교윤리교육유교교육윤리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ethics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Chosen Dynasty, seeking lessons on how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are many social problems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It is possible that it stems from an absence of ethical consiousness in society members. Korean society has been influenced by Coufucianism for about 1,500 years, and Korean thought is patternal on this philosophy. We can not deny the importance of this. We can obtain the key to solving today's social problems from our traditional thought. This is the purpose of this thesis. From tile National Foundation of Cho-sun, an adjustment of systems had been made in all fields to build up a Confucian-based centralized nation. Evert within the educational field, systems were adjusted. Seong-Kyun-Kwan was the highest academic institution designed for the higher education of the selected few who, after passing the preliminary exam, were preparing for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public school regulations of Seong-Kyun-Kwan can be divided into an intentional policy of encouragement of learning and activities to control discipline. The attendance system was effective in ensuring student attendence by guaranteeing the right to take the state examinations for those who obtained full 300 day attendance record. The Nine Lecture Rooms (Ku-Jae-Hak-Dang) were intended to teach Confucianism step by step. Later,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broke laws and ethical codes, indulged in luxury and slandered their teachers. Thereafter the government tried to mold the academic atmosphere of the public school by fortifying the disciplinary punishments such as whipping, flogging, dismissing, depriving the right of state examinations, and recruiting to the army. In Seoul, there were government-run 4 middle schools (Sa-Hak), which students entered after having received elementary education. It was prescribed that the entrance to the 4 middle and Confucian schools was permitted beyond the age of 8 to 10. The educational methods of the 4 middle schools was similar to Seong-kyun-kwan's. The main textbook of the Sa-Hak was entitled 'So-Hak', 'So-Hak' emphasized human morals through self-improvement. And according to 'So-Hak' practice were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itself. Another government school was Hyang-Kyo. The aims of Hyang-Kyo were to enlighten moral principles and memorialize Confucious and other sages with splendor. The main textbook of Hyang-Kyo was entitled s 'Sam-Kang-Hang-Sil-Do' It emphasized that all people should be faithful retainers, filial sons, and virtuous women. Such exemplary conduct was extolled encourage Sam-Kang. Another type of school Seo-won were private institutions. The aim of the Seo-won was to teach how to be a Saint. The schools were to develop men of talents, to instruct in proper manners and customs, and enlighten moral principles, Seo-won used 'Hak-Kyo-Mo-Bum' (School-Model) written by Yi-yi. Another type private institution, Seo-Dang were fundamental unit of the educational system. Seo-Dang was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masses, with an expression of the pan-classes feeling by which aristocrat's sons as well as commoner's sons could enter. The curriculum of the Seo-Dang was made tip of reading, literary composition and handwriting. The main courses of leading were 'Cheon-Ja-Mun' and 'Dong-Mong-Seon-Sub'. The charateristics of Confucian Ethics Education of the Chosen Dynasty can be characterized by content and method. The cotents of the Confucian Ethics Education had three parts. Firstly, it was human based ethics. Secondly, it was based on interrelations within society. And thirdly, the concept of family was central. The methods of the Confucian Ethics Education likewise had three parts. Firstly, it was displinary. Secondly, it was concrete. Thirdly, it was practical.;本 論文의 目的은 現代 産業社會에 만연하는 社會問題가 사회 구성원의 倫理意識 不在에 기인한다는 것에 바탕하여 現代 韓國社會의 倫理敎育의 새로운 지향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本 考에서는 倫理敎育의 지향점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그 출발점을 韓國의 傳統思想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韓國 社會에 영향을 끼친 思想은 단군신선사상, 불교도참사상, 유교사상, 실학사상, 개화사상, 신흥민족종교사상, 서구자유민주주의사상 등이 있다. 이 가운데 儒敎思想은 韓國에 도입된 이래 韓國人의 생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현재를 사는 韓國人의 思想의 深層에도 儒敎的인 意識構造가 남아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朝鮮時代 대표적 敎育機關인 成均館, 四學, 鄕校, 書院, 書堂의 연구를 통하여 儒敎倫理敎育을 고찰해 봄으로써 倫理敎育의 지향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朝鮮時代 儒敎倫理敎育 연구를 위하여 먼저 朝鮮時代의 敎育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朝鮮時代의 敎育은 朝鮮暢達의 國是인 崇儒抑佛政策에 의하여 儒敎政治下에서 儒敎理念에 입각하여 실시되었다. 朝鮮時代 敎育의 이념은 당시 性理學의 人性論에 근거를 둔 修己를 통한 聖人에의 도달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朝鮮時代의 敎育은 지식의 습득보다는 倫理的 入間을 육성하는데 있었다. 3장에서는 成均館의 儒敎倫理敎育을 고찰해 보았다. 咸均館의 儒敎倫理敎育은 學令의 懲戒規定과 居齋生活에 잘 나타난다. 學令에 의하면 言, 行, 心, 事 모든 것이 징계의 대상이 되었는데 이는 倫理敎育이 징계를 통해서라도 달성되어야 하는 敎育目標이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또한 居齋生活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일상생활윤리를 敎育하려 한 것을 알 수 있다. 成均館의 주교재인 四書五經을 살펴 보면, 儒敎思想이 소망하는 목표가 사람의 경지를 聖人의 단계까지 높이는 일이라는 것이다. 4장에서는 四學의 儒敎倫理敎育을 고찰해 보았다. 四學의 儒敎倫理敎育은 四學의 주교재인 <小學>을 통해서 알 수 있다. <小學>은 儒敎의 윤리적인 인간을 교육하기 위하여 실천적인 學의 내용을 강조하는 책이다. 당시 <小學>의 보급과 학자들의 인식에 나타난 <小學>의 중요성은 당시 倫理敎育의 중요성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5장에서는 鄕校의 倫理敎育을 고찰해 보았다. 鄕校의 儒敎倫理敎育은 鄕校의 '敎化'정책에 잘 나타나 있다. 鄕校는 인재양성보다는 교생의 도의심이나 사회윤리확립을 위한 기능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향교의 향식주례, 향사례, 양노례, 계몽강습회 등의 의식은 孝, 悌, 忠, 信의 예를 교육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향교에서 중요시한 <三綱行實圖>는 忠, 孝, 烈을 통하여 聖人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였다. 6장에서는 書院의 儒敎倫理敎育을 고찰해 보았다. 書院의 儒敎倫理敎育은 서원이 교육의 목표로 한 '法聖賢'에 잘 나타나 있다. 書院은 聖賢을 본받아 윤리적 인간상을 구현하는 데 교육 본래의 의도를 두었다. 또한 대부분의 書院이 모범을 삼은 李珥의 <學校模範>을 보아도 書院敎育이 선비의 양성을 목적으로 도학적 성리학을 주로 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7장에서는 書堂의 儒敎倫理敎育을 고찰해 보았다. 書堂의 儒敎倫理敎育은 윤리 내용의 교본을 통하여 儒敎의 이념에 입각한 생활의례와 관혼상례의 일반교양을 습득하게 하는 것이었다. 書堂의 기본교재인 <童蒙先習>은 '천지만물 가운데 사람이 가장 존귀한 까닭은 人倫이 있기 때문이고 사람됨이 떳떳한 길이 五倫이므로 사람은 이를 잘 지킬 때 참된 값어치를 지닌다'하여 五倫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윤리 교재이다. 이상과 같은 成均館, 四學, 鄕校, 書院, 書堂의 敎育을 통해서 본 朝鮮時代 儒敎倫理敎育의 특징은 그 내용에 있어서 첫째, 人本主義的이고, 둘째, 人間關係論的 槪念을 중요시 하였고, 셋째, 家共同體 개념을 중요시 한 것이다. 또한 그 방법에 있어서 첫째, 訓練主義的이고, 둘째, 具體的이고, 셋째, 實踐主義的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朝鮮時代의 儒敎倫理敎育은 現代韓國社會에 맞는 倫理敎育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