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素泳-
dc.creator朴素泳-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4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6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geography textbooks of Korea and to find out how effective the textbooks deal wit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aims relevant to the educational goals to carry 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mpletely in Korea. The subjects of study are the parts which are in accord with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the eight kinds of the geography textbooks of Korea. The scope of this study reaches the purpose and the o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looks into the ten ranges which are selected at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natural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resources, environmental pollution, nature preservation, environment preservation, nature purifi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environment, also checks if the textbooks consists correctly or no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carry out environment education effectively. The analysis methods are to check whether they are good for students' advancement and the maps, photos, and charts of each textbook are expressed effectively so as to grasp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means of frequency and quantity for the contents of each textbook and faithfulness of the contents. The major result are as follows: 1.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practicing the geography of Korea has been shown because of treating the scope that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all the eight kinds of the geography textbooks of Korea. 2. The scop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mainly treated at the following units Ⅱ.Nature Environment &Lie, Ⅲ.Resources & Industry, Ⅳ. Population &Living Circumstances. 3. The scop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is treated on the geography textbooks of Korea, in aspect of the composition, holds the pretty oletailed parts and plenty of quantity about nature environment, artificial environment,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the contents of resources, on the contrary, not detailed parts and not much quantity about environment pollution, nature preservation, environment preservation, nature purifi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environment. The reason is that maybe the present textbooks have lots of quantity and detailed story which is treated for geography conventionally, because they have been written only in order to suit the purpose of geography education. 4. There are much unsuitable content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s the point at iss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geography textbooks of Korea, even though the scop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shown up. This outcome has been produced in view of the purpose and the o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ly environment pollution, nature preservation, environment preservation, nature purific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environment have approached to the objects of concerns , attitudes and function improvement, in addition to the knowledge of environment education. 5. The units for the purpose and the o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re mainly 4)Community Development, 5)Environment Problems & Environment Preservation of Ⅳ. Population & Living Circumstances. 6. The unit for the contents of environment itself has less priority on whole textbooks,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re not relatively sufficient. Also, it has much more consideration in knowledge than concerns, attitudes and function for reaching the end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has little contents which participate in environment problems on positive lines. 7. Learning data are not enough and various for the students to study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unit for environment itself has tendency to put maps and photos first for the most part, even though being a little difference. 8. In order to practice more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not only the contents which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the o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added, but also the unit for environment itself should have much importance on it an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problems and cultivate a positive attitude of participating in environment problems.;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환경교육에 관련된 목표와 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지리교과에서의 환경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며 올바른 환경교육을 하기 위해 환경교육의 목적과 그에 따른 환경교육의 목표, 그리고 관련 내용이 한국지리 교과서에 효율적으로 다루어 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현행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8종을 대상으로하였고 환경 교육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환경교육의 대표적인 10개 영역(자연환경, 인문환경, 인구, 공업화, 자원, 환경오염, 환경보전, 환경보전, 자연정화, 환경의 질향상)이 지리과목에서 효과적으로 다루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석 방법은 환경교육의 목적에 맞게 각 교과내용의 빈도와 분량, 내용의 충실도를 통해 학생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환경 교육 관련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각 교과서에 나타난 내용은 물론 지도, 사진, 도표등이 환경교육 지도에 효과적으로 표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지리 8개교과서 모두 환경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영역을 다루고 있어서 한국지리를 통한 환경교육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환경교육의 영역들은 한국지리 단원 중에서 Ⅱ.자연 환경과 생활, Ⅲ.자원과 산업, Ⅳ 연구와 생활공간 등에서 다루어 지고 있다. 3. 한국지리교과서에서 다루어 지는 환경교육의 영역은 자연환경, 인공환경, 인구, 공업화, 자원의 내용은 비교적 자세하고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반면 환경 오염, 자연 보존, 환경 보전, 자연 정화, 환경의 길 향상은 적은 분량으로 내용도 자세하지 않았다. 이러한 까닭은 현행 한국지리교과서는 단지 지리교육의 목적에 맞게 쓰여졌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지리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많은 분량과 자세한 내용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된다. 4. 한국지리교과서에서의 환경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환경교육의 영역을 다룬다. 할지라도 환경교육에 적합하지 못한 내용이 많다는 것이다. 이는 환경교육이 목적과 목표에 비추어 조사한 결과이다. 환경교육의 영역중 환경오염, 자연보전, 환경보전, 자연 정화, 환경의 질향상은 환경교육의 지식외에도 인식, 기능, 태도향상의 목표에 결근했다. 5.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에 맞는 단원을 조사한 결과 Ⅳ.인구와 생활 공간의 단원중 4. 지역개발과 5. 환경문제와 환경 보전에서 주로 다루어 지고 있다. 6. 환경자체의 내용을 다루는 보편은 전체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은 편이나 환경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인식, 기능, 태도보다는 지식위주의 내용이 많으며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참가 하도록 하는 내용은 적은 편이다. 7. 다양한 학습자료를 통한 학생들의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도 환경자제의 단원은 부족만 편이며, 교과서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시각 자료로 사진과 지도에 치중하고 있다. 8.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보다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위해서는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에 알맞은 내용이 추가되고 동시에 환경자체를 다루는 단원의 비중을 높여 내용과 학습자료면에서도 충실하게 하여 한국지리교과를 통해 환경에 관한 인식을 올바르게 하고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는 태도를 기를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序論 = 1 A. 硏究 目的 = 1 B. 硏究 方法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환경교육의 개념 = 5 1. 환경교육의 정의 = 5 2.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 = 7 3. 환경교육의 내용 = 10 B. 환경교육의 방법 = 17 1. 환경교육의 목표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 = 17 2. 學校 環境敎育에서 사용할 敎授 方法과 考慮事項 = 18 C. 환경교육과 지리교육과의 관계 = 20 D.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현황 = 23 Ⅲ.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의 환경단원 분석 = 26 A. 각 교과서별 환경교육의 영역 비교 = 26 B. 교과서별 환경단원의 영역별 구성 면수 = 31 C. 한국지리 교과에서 본 환경교육 = 33 D. 한국지리교과서에서의 환경단원 = 42 1. 각 교과서에서 취급된 환경 단원의 비중 = 42 2. 환경 단원의 내용 분석 = 43 3. 교과서별 환경단원의 학습자료 분석 = 44 Ⅳ. 結論 = 48 參考文獻 = 51 부록 = 53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513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한국지리교과서-
dc.subject환경관련내용-
dc.title高等學校 韓國地理 敎科書의 環境 關聯 內容 分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 STUDY ON THE HIGH-SCHOOL KOREAN GEOGRAPHY TEXT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dc.format.pageviii, 7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