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미-
dc.creator김수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7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4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purposes to clarify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experience, as the tendency to accept younger children into kindergarten is prevalent, on the playing behavior of children. The following theme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certain game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experience?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lay pattern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experience? 3. Is there a difference in social behavior pattern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chosen from the students of K kindergarten, located in a Seoul metropolitan neighborhood where the living standard is middle-to high-class. At the same kindergarten, twenty 3 year old students with 1 years experienc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orty 3 year old students without prior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chosen. The research material derived from the two groups of 3 year olds with 1 years education and 3 year olds without prior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subjected to the t test,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laying behavior pat ter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was eviden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for certain plays amongst the two groups(p<.01). Whether students with the prior educational experience or none whatsoever, the 3 year olds commonly chose games ranging in the dramatic area, arts area, block area and manipulation area. However, the difference lay in the fact that the 3 year old children without prior educational experience preferred play falling into the category of the manipulation area(30.9%) and that the children with prior education of 1 year preferred games from the block area(25.1%).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y patterns or behavior of children according to prior educational experience(p<.01, p<.001). The children without any prior educational experience most likely participated in simple social play(26.9%), While the children with 1 years educational experience tended to choose same Activity with Regard(20.2%) and Same Activity with Social Bid(26.2%). As for the non-playing activities, the 3 year olds without the prior educational experience tended to be completely unoccupied(11.8%) or onlooking(6.3%). Third, the social behavior of the 3 year olds differed greatly according to prior educational experiences(p<.01, p<.001). The children with 1 year educational showed a penchant for optimistic and positive social action(28.3%), in comparison to the children without the prior educational experience. Furthermore, the kindergarten students without prior educational experience tended to display positive action while the students with the prior experience displayed their positive social behavior through language(78.2%).;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3세반 교육경험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육연령 하향화에 따른 유치원 교육의 효과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3세반 교육경험에 따라 유아의 놀이 선호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3세반 교육경험에 따라 유아의 놀이형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3세반 교육경험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중상류층 유아들이 취원하고 있는 K유치원을 선정하였다. 한 유치원에서 만 3세 교육경험이 1년 있는 유아와 만 3세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를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여 모두 40명을 대상으로 1995년 3월23-4월13일에 걸쳐 3주동안 연구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놀이형태와 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Johnson, Christie & Yawkey가 발달시킨 또래놀이척도와 Quay 등이 분류한 사회적 행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관찰방법은 3명의 관찰자가 자유놀이시간 동안의 놀이행동을 관찰지에 관찰·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과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 있는 집단의 놀이행동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경험 기간에 따라 유아의 놀이 선호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과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 있는 집단의 유아들이 선호하는 놀이영역은 주로 극화영역, 미술영역, 적목영역, 조작영역 등의 놀이영역은 공통적으로 선호하였으나,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의 유아는 조작영역(30.9%)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고,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 있는 집단의 유아는 적목영역(25.1%)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육경험 기간에 따라 유아의 놀이형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p<.001).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의 유아는 단순사회놀이(26.9%)를 가장 많이 하였고,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있는 집단의 유아는 상호의식사회놀이(26.2%)와 상호역할사회놀이(20.2%)를 가장 많이 하였다. 또한 비놀이에 있어서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의 유아가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있는 집단보다 아무것도 안하기(11.8%), 지켜보기(6.3%)등의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셋째, 유치원 교육경험 기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p<.001).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의 유아보다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있는 집단의 유아가 긍정적 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또한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의 유아(28.3%)는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 있는 유아(13.3%)보다 신체를 통한 긍정적 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보인 반면, 유치원 교육경험이 1년 있는 집단의 유아(78.2%)는 유치원 교육경험이 없는집단의 유아(58.9%)보다 언어를 통한 긍정적 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유치원 교육경험의 효과 = 6 B. 유아의 놀이 = 14 C. 유치원 교육경험과 놀이 = 27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대상 = 31 B. 측정도구 = 32 C. 연구절차 = 35 D. 자료분석 = 36 Ⅳ. 결과 및 해석 = 37 Ⅴ. 논의 및 결론 = 46 A. 논의 = 46 B. 결론 및 제언 = 48 참고문헌 = 51 부록 1 놀이행동 관찰지 = 58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056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치원3세반-
dc.subject교육경험-
dc.subject유아-
dc.subject놀이행동-
dc.title유치원 3세반 교육경험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Experience on the Child's Play Patterns-
dc.format.pagev, 6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