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4 Download: 0

19세기 음악의 리얼리즘에 관한 연구

Title
19세기 음악의 리얼리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e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Music : centering around Georges Bizet's "Carmen"
Authors
김지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음악리얼리즘19세기비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사에서 리얼리즘은 예술의 방법론으로서 혹은 19세기 예술의 시대적 특성으로 나타난 개념이다. 리얼리즘은 예술장르에서 문학과 미술의 경우 체계적으로 연구되어 이론화 되었지만 음악에서는 예외적인 면을 보인다. 특히 19세기 음악은 당시 음악이 본질적으로 낭만적이라는 견해 및 음악사에서 19세기를 낭만주의 시대로 보는 고정된 관념으로 음악에서 리얼리즘 연구는 획일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음악에서도 리얼리즘 현상은 발견된다. 타 예술장르에서 예술 방법론으로 논의된 바 있는 모방이론이 음악의 경우, 이론으로서 뿐만 아니라 실제 음악의 장르와 기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19세기 말 베리스모 오페라의 출현은 음악에서도 리얼리즘 개념 정립의 가능성을 간접적으로 암시했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에서 리얼리즘의 개념이 존재했지만 이론적으로 정립되지 못했던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음악적 리얼리즘의 개념과 시대개념으로서 19세기 음악적 리얼리즘을 연구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음악의 리얼리즘 개념은 타 예술장르와 마찬가지로 특히 19세기에 드러났고, 이의 미학적 특성과 작품 양식적 특성을 살필 수 있었다. 미학적 특성은 19세기 초 이미 리얼리즘 해석을 보인 성격적 미학과 추함의 미학을 토대로 19세기 후반에는 진실의 미학이 나타났다. 진실의 미학은 예술에서 거짓없는 표현을 추구하는 미학적 경향을 가리킨다. 즉 진실의 미학은 진정한 예술표현이 되기 위해서는 예술적 표현대상에 한계를 두어서는 안된다는 의식을 보였다. 이러한 진실의 미학적 특성은 현실반영과 전통적 미를 포함한 관습의 거부로 나타났으며, 작품 양식적 특성은 미학적 특성의 전제하에 전통적 형식을 벗어난 음악적 산문, 병렬구조, 레치타티보의 사용, 음회화법의 사용과 그 활용에 따른 음악적 흐름에서 갑작스런 제지, 정열적인 선율, 언어 억양을 모방한 선율, 화성적으로 혹은 음악 구조상 서로 어울리지 않는 이질적인 요소의 혼합, 이국적인 주제에 의한 인용 등에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특성을 19세기의 베리스모 오페라 탄생에 영향을 준 오페라 "카르멘"에서 살펴본 결과, "카르멘"은 내용적으로 볼 때 이미 전통적인 오페라에서 나타나는, "귀족에게는 비극이 허용되고 하층민에게는 희극이 적용된다"는 관례적인 규칙에서 벗어나고 있었고, 작곡 기법적으로는 병렬적인 구조, 음회화법의 사용, 이질적인 요소의 혼합, 스페인 민요를 인용 하는 등 리얼리즘적인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적 리얼리즘 현상은 리얼리즘의 직접적인 의미라기보다는 간접적인 의미에 가깝다. 직접적인 의미로서의 리얼리즘은 현실반영 자체를 의미하여 관념적이고 실체화될 수 없지만, 간접적인 의미로서 리얼리즘은 헤겔의 역사주의적 사고관과 문학 이론 방법의 하나인 소외개념을 통해 구체적인 개념으로 정당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음악에서 리얼리즘은 예술 방법론적인 의미로서 모방을 뜻할 뿐만 아니라 달하우스가 제시한 베버의 이념형에 따른 음악작품의 해석모델로서, 또한 19세기 시대적 특성으로서도 인식될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 음악에서 리얼리즘의 시대적 개념 성립은 19세기 말에 나타난 베리스모 오페라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며, 음악사의 흐름에서는 20세기에 나타난 표현주의, 무조음악, 아사피에프의 인토네이션 이론같은 음악 현상의 본질적인 이해를 위한 정신적 기초를 제시한다. 또한 성격적 미학, 추함의 미학에 이어 리얼리즘 미학의 특성이었던 진실의 미학은 고전적으로 이해되었던 음악미(美)에 대한 인식 범위의 확대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문학과 미술에 이어 음악에서도 리얼리즘 개념을 정립시킴으로써 좁은 의미로는 19세기 음악사를 전적으로 낭만주의 시대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예술사와 변천을 같이한 리얼리즘 개념을 재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음악사, 음악 미학, 음악 사회학을 포함하는 음악학의 전반적인 교수에서 19세기 음악의 이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history of art, realism emerged as a methodology of art and as the pervasive tr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rt. In literature and fine art, this concept was theorized through systematic studies. In the field of music, however, few attempts were made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realism.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first, the nineteenth century music has been widely understood as romantic in itself and second, the nineteenth century itself has been traditionally accepted as the era of romanticism by artistic historians. Therefore these two fixed ideas hindered the systematic study of realism in nineteenth century music. Still it cannot be denied that realism was a phenomenon of the nineteenth century music. The theory of imitation, which has been reviewed as an artistic methodology in other genres, was presented not only as a theory but also as a technique and an independent musical genre. The advant of verismo opera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inted, at least indirectly, that realism can be conceptualized. All this shows that realism in music was existent during that period, even though it was incomplete as a concept. In this regard, this paper was written concentrating upon re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music as a musical and a historical concep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realism in music came into existence in the nineteenth century as in other genres. The study also provides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realism in terms of aesthetics and style. Start with aesthetic characteristic. The nineteenth century witnessed aesthetics of truth, following characteristic aesthetics and aesthetics of ugliness which had already showed the feature of real ism in the earlier nineteenth century. Aesthetics of truth is a branch of aesthetics that seeks truthful expressions in art. In other words, aesthetics of truth refuses any limitation to what artists are trying to express. This influenced artists to reflect social conditions in their artistic products and to deny old notions such as the idea of what is beautiful. Characteristics in style are summarized as follows. Musical prose that is free from traditional styles; parallel structures; the use of recitativo; tone painting and sudden restraints in musical flows that is resulted from the use of tone painting; passionate melodies; melodies that imitate intonation of language;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that are not match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harmony or musical structures; quotation of exotic themes. Some of thes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opera "Carmen" which had influence on the birth of verismo operas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its style, "Carmen" already outgrew the traditional style of operas including the classical rule of style differentation and in its composition technique, the opera showed realist characteristics such as parallel structures, tone painting,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and the quotation of Spanish folk songs. Yet those realist phenomena in music should be studied from the indirect approach rather than the direct approach of realism. The direct approach of realism that refers to reflecting social condition itself in art does not allow the concept of realism to be materialized, whereas the indirect approach can be conceptualized with the help of historicism of Hegel and the concept of alienation in liter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realism in music is traslated into the imitation in terms of an artistic methodology, C. Dahlhaus's translation model of musical works that is in accordance with M. Weber's ideal type and a historical tr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t is a meaningful work to conceptualize re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music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renew the appreciation of verismo operas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 offers the backgroun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a series of the twentieth century's musical phenomena such as expressionism, atonal music and intonation theory of B. W. Assafjew. Furthermore, aesthetics of truth expanded the horizon in understanding the musical beauty. Therefore the conceptualization of realism in music made ourselves free from the conventional view, which regards the nineteenth century music only as romanticist, and in a broader sense, it presents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realsm anew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