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수-
dc.creator박정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4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431-
dc.description.abstract초등학교 교사들은 대부분 음악을 전공한 교사가 아니기 때문에 음악의 세세한 전문 용어나 지식을 알고 수업을 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용 지도서에 의지하여 음악 수업이 진행되기가 쉬우므로 교사용 지도서의 질은 학생들이 받은 음악교육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음악과 교육과정 중 이해 영역은 음악적 개념과 원리를 파악하는 학습 영역이다.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이해 영역의 목표이며, 이것은 음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기본적인 개념들을 이해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해 영역의 음악 요소는 음악을 형성하는 기본 골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이 추구하고자 하는 음악 요소 중심 수업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앞으로의 음악 교사용 지도서 편찬에 도움이 되고자 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제6차와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 교사용 지도서 편찬 방향을 살펴본 후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 학년별 내용 중 6학년 이해 영역의 음악 요소 세부 항목을 비교하였다. 본론에서는 먼저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 분석은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음색, 빠르기, 셈여림으로 나누고 이러한 영역들과 관련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 중 6학년 이해 영역에서 제시한 음악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때 음악 요소의 학습이 이루어진 단원과 주요 활동, 유의점, 수업 자료, 평가 항목으로 분석하였고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6학년 교사용 지도서를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제7차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가 제6차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에 비하여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음악 요소들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보 다 체계적으로 구성되고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 음악 요소를 주요 내용 및 중점 지도 내용으로 명확히 제시해 주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이 음악 수업을 음악 요소 중심으로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진행하는데 더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둘째,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의 이해 영역 전반에 걸쳐서 제7차 교육과정의 교사용 지도서가 제6차 교육과정보다 더 많은 단원을 통해 이러한 개념들을 학습하고 다양한 활동과 수업 자료를 통해 학생들이 음악 요소를 지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셋째, 제6차 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에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제7차 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 중 세부 항목에 포함된 음악 요소인 변박과 시김새에 대해 배우는 단원들을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것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사용 지도서가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사용 지도서보다 음악 요소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효과적인 음악 요소의 학습이 다양한 활동과 수업 자료를 통해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도록 음악 교사용 지도서가 편찬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음악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모두 음악의 근본적인 구조에 해당하는 개념과 요소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not major in music, therefore it is hard for them to know the technical terms and knowledge of music. For their music classes,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 on the teacher's manual. Therefore the quality of teacher's manual can have huge effect on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comprehension domain is to understand and learn music concepts and elements. These music concepts and eleme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form the fundamental frame of music. Therefore this thesis compare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al for 6th grade music focused on comprehension domain.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know how well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al was organized for music element based learning compare to 6th national curriculum's teacher's manual. In addition, find out the problems in the teacher's manual in order to make better teacher's manual in the future for music element based learning in Korean schools. This thesis first compare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comprehension domain of 6th grade's music elements. Then studied how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el for 6th grade was organized. Next, compare and analyzed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al for 6th grade with the category of rhythm, melody, harmony, form dynamic, tempo, timbre for music element learning. Based on this analysis,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school teacher's manual for music was found to be more systematically organized for teachers to teach the students about music element within the class. The first reason for this is that the 7th national curriculum's school teacher's manual stated clearly about the music elements to learn in the music class. Therefore it would be easier for teachers to organize the activities focused on music elements. Second, rhythm, melody, harmony, form, dynamic, tempo, timbre were learned in more chapters with 7th national curriculum'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al for student to learn the music elements through variety of activities and resources. Third, there were music elements to be learned in 6th national curriculum'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al which were not stated in the comprehension domain of 6th national curriculum but can be found in 7th national curriculum. For school music classes to be based on music elements, music textbook and teacher's manual should be organized by music elements not songs. For the effective learning of music elements, the teacher's manual for music should include a variety of activities and resources for students to learn, feel and experience the music elements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x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Ⅱ. 이론적 배경 4 A. 제6차와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과 교사용 지도서 편찬 방향 4 B. 제6차와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 중 6학년 이해 영역 비교 9 III.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13 A. 음악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13 B. 음악 교사용 지도서 중 제2부 지도의 실제 18 IⅤ.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 중 이해 영역 분석 26 A. 리듬 26 B. 가락 36 C. 화성(화음) 42 D. 형식 46 E. 셈여림 54 F. 빠르기 58 G. 음색 59 H. 분석 결과 67 VI. 결론 및 제언 69 참고문헌 72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829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6학년 음악 교사용 지도서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nual for 6th grade music focused on comprehension domain-
dc.creator.othernamePark, Chungsoo-
dc.format.page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