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윤-
dc.creator김정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3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36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대학 입학 전형 자료로서 논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논술이 학생을 선발하는 데 있어서 가장 객관적이고 공정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간주되기 때문이다. 논술을 통해 측정하는 수험생의 능력은 단지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뿐 아니라, 이 시대가 요구하는 교양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보편적인 능력으로, 이러한 능력은 지적인 능력인 지식을 의미한다. 특히 오늘날 지식은 통합적 지식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흐르면서 대학 입학 전형자료로 통합 교과형 논술이 논의되고 있다. 고교 과정에서 배우는 여러 과목들은 각기 다른 지식을 전수하고 교과목이나 혹은 학문 영역의 분류는 거의 절대적인 것으로 유지되어 왔으나, 최근 교육의 흐름은 이러한 경계를 무너뜨리고 보다 통합적인 지식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 교과의 전유물로만 여겨지던 논술교육의 방향은 이제 다양한 교과가 협력하는 통합적인 논술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특히 각 대학에서 출제하고 있는 통합교과형 논술고사는 다양한 주제의 제시문에서 수리적 개념을 요구하는 분석 능력을 필요로 하고 있어 수학교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에서의 통합교과형 논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태도를 확인함으로써 논술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며, 실제 논술고사에서 수학의 활용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학교수학에서 통합교과형 논술을 지도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통합교과형 논술지도에 대해 수학교사와 비수학교사들의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는 통합교과형 대학별 논술고사에서 수학교과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때 필요한 논술 능력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 유형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깔야긴이 제시한 문제 분류로 분석해 본다.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교사 161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그중 수학교사는 64명이고, 기타 과목 교사는 97명이다.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논술교육은 대부분 국어, 윤리, 사회교과 순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타 교과와의 정보교환은 원활하지는 않고 있다. 둘째. 통합교과형으로 논술의 방향이 바뀌면서 교사들은 많은 교과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가고 있으며, 주목할 것은 논술에서 수학의 관련성을 대부분의 교사들이 인정하고 있으며, 논술교육이 문제해결능력과 사회문제에 대한 안목이 생긴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논술교육은 전교육의 과정에서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지만 교사들이 학교논술 교육에 대하여는 긍정적이지는 않은 경향이 있었다. 셋째, 논술 지도 장애 요인으로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와 학생에게 수업의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점을 들었고, 수학교사들은 수학지식만 가지고 통합논술을 지도하기가 어렵다는 점과 기타 과목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부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바람직한 학습모형으로 수학교사들은 첨삭지도를 선호하였고, 기타 과목 교사들은 과정 쓰기 지도를 선호하였으며, 수학을 활용한 논술지도시 개선방향에 대하여 수학교사들은 교육과정의 개정과 서술형 평가의 확대를 들었다. 연구문제2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구분한 논술 능력 구성 요소에서 수학과 관련된 논술은 어떤 능력이 필요한지 수학교과와 연계하여 그 하위요소를 구분하고, 논술 문제를 분석하였는데, 수학과 관련된 논술에서는 상황적용능력, 자료 분석 능력, 가치평가 능력, 태도 표명 능력, 해결 방안 제시 능력의 순으로 필요하였고, 통합영역으로는 일반사회 영역, 과학영역이었으며, 수학에서는 통계와 해석영역의 순으로 출제됨을 알 수 있었다. 또 깔야긴이 제시한 출발점, 문제해결의 근거, 문제의 풀이, 최종점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 요소를 설정하고, 이를 각각 A, B, C, D로 두었으며, 이들 4가지 요소 중에서 알려지지 않은 요소는 x, y, z, w와 같이 두어 분류하였는데, ABxy유형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Axyz유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학생들이 수학을 배우고 이를 논술에서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아직 학생들은 수학이 활용된 논술을 어렵게만 인식하고 있다.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나 학생들은 그 방향제시가 미흡하여 수리논술이 막연하게 느껴지고 있다. 현장 교사들의 꾸준한 관심과 연구, 그리고 그에 앞서 통합교과형 수리논술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가 우선되어야만 논술교육의 공교육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By surveying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stands on inter-subject essay writing education, this research aims to gain suggestions in order to pave the future path of essay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s in essay questions, this analysis aims to search ways for effectively utilizing regular Mathematics classes in teaching inter-subject essays. Th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outlined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high school teachers' opinion on inter-subject essay writing education?;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necessary elements in writing Mathematics involved inter-subject essays? And with which field of class subjects is Mathematics-involved inter-subject essays often asked on? In order to deal with research problem 1,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161 high school teaching staffs, 64 from Mathematics department and the leftover 97 from other departments. The major findings are shown as in the following. First, essay writing education is mostly carried out in major three classes, which are Korean literature, Ethics, and Social Studie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subject departments is lacking. Second, with the transform of essay writing exams from former essay exams to inter-subject essay exams, teachers are being mor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various subjects. What is noticeable is that majority of teachers are acknowledging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in essay writing. Teachers have praised essay writing in that it helps students to not only improv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but also provide them the opportunity to broaden their view in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bybeing more exposed to social issues. Teachers have also agreed upon that essay writing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at all classes but they showed negativeview concerning essay writing education at school. Third, in question of the obstacles of essay writing education, teachers have pointed out the increase inpressure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when such education is carried out. Teachers from Mathematics department also stated the difficulty to teach inter-subject essay writing merely with Mathematics knowledge. Teachers from other departments stated teachers' lack of specialty as the obstacle for carrying out essay writing education. Fourth, as a wise study model for essay writing, teachers from Mathematics department favored editing, while those from other departments favored step-by-step guide in writing. In the question concerning ways to improve Mathematics-involved essay writing education, teaching staffs from Mathematics department answered a revision in curriculum and an increase in writing evaluation. In order to deal with Research problem 2, essays questions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Mathematics to understand necessary abilities needed to write good Mathematics-involved essays. It has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one needs to have application ability in different circumstances, sense of value judgment, ability to express attitude, and ability to present steps of problem solvingwhen writing Mathematics-involved essays. Subjects from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nd those from the field of Science were integrated subject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Statistics and Analysis were questio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D. 연구의 제한점 6 Ⅱ. 이론적 배경 7 A. 논술고사 7 1. 논술고사의 개념과 성격 7 2. 논술고사의 방향 23 3. 수리논술 27 B. 논술의 문제해결적 특성 32 1. 일반적 문제해결의 특성 32 2. 논술의 문제해결적 특성 35 C. 논술교육 37 1. 논술교육의 현황 37 2. 통합교과형 논술과 수학교육 41 D. 선행연구 고찰 46 Ⅲ. 연구방법 49 A. 통합교과형 논술고사에 대한 교사인식설문조사 49 B. 통합교과형 논술고사의 분석 51 Ⅳ. 연구결과 54 A. 통합교과형 논술고사에 대한 교사 인식설문조사 분석 54 1. 논술교육의 실태 54 2. 논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57 3. 통합교과형 논술지도의 장애요인 63 4. 논술교육의 개선방향 66 B. 논술문항의 분석 68 1. 논술 능력 구성 요소 분류에 의한 분석 68 2. 제시문 및 논제의 영역 분석 85 3. 깔야긴의 문제 분류에 따른 분석 90 Ⅴ. 요약 및 결론 98 참고문헌 103 부록 108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43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논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와 수학과 관련된 논술 문항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as to the Essay Writing Education and Analysis on Mathematics - Involved Essay Questions-
dc.creator.othernameKim, jung-Yoon-
dc.format.pageix,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