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현-
dc.creator이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화적 소통을 통해 학습자들이 시 텍스트의 의미를 자신들의 가치로 내면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가치내면화를 이루기 위한 대화적 관점에 바탕을 둔 대화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 현장에서의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치내면화란 시 교육의 핵심으로 학습자가 문학 텍스트와 상호작용하며 적극적인 가치 판단과 조직화를 통해 새로운 주체로 형성되는 과정으로써 학습자 삶의 가치 체계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변화 모두를 포괄하는 것이다. 따라서 문학 교육, 좁혀서 시 교육에서의 최종적 목표는 가치내면화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성취하기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대화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Bakhtin(1984)이 상정한 대화적 관점을 시 교육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이해와 수용은 학습자와 시 텍스트의 대화적 소통 양상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으로, 교사나 동료 학습자의 이해, 수용과 진정한 대화적 관계 형성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것은 학습자의 이해와 수용이 학습자 개인만의 것이 아니라, 교사나 동료 학습자, 시 텍스트 등과의 대화적 소통을 통해 구성됨을 의미한다. 즉 시 교육에서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나 교사에게 반응하는 상호작용적 대화인 외적 대화 과정과 글을 읽고 쓰는 주체인 자신의 의식 내부와 텍스트와의 내적 대화 과정을 통해 대화적 의미 구성을 하여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렇게 학습자의 감동을 바탕으로 시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내적, 외적 대화를 통해 시적의미를 구성하고 학습자의 생체험과 텍스트가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발견, 판단, 조직하는 연속적인 과정을 대화적 교수방법인 동시에 가치내면화의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화적 교수-학습을 가치내면화를 목적으로 하는 시 교육의 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대화적 교수-학습 모형의 일반적인 절차는 ‘계획→진단→지도 및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지도 및 평가 단계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내면화의 과정은 Bloom & Krathwohls(1964)의 내면화 단계인 ‘감수→반응→가치화→조직화→인격화’ 단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내면화의 각 단계에 따른 과제와 목표를 설정하여 내면화의 과정이 연속적이며 점층적으로 심화되는 과정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인천광역시 B초등학교 4학년 34명을 대상으로 6월 중 3주 동안 6차시에 걸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9월부터 10월까지 8주간 25차시로 처치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치내면화를 위한 대화적 교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가치내면화의 단계별 과제를 실현할 수 있는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평가척도를 개발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행평가는 가치내면화의 요소로 추출된 학습자의 흥미도 평가 체크리스트, 모둠의 외적 대화과정 체크리스트, 학습자들의 내적 반응과 변화 추이를 알아볼 수 있는 반응일지, 시에 대한 주체적인 해석을 위한 시적의미구성 서술 평가로 구성된다. 수행평가는 평가기준 및 척도를 바탕으로 사전-사후를 비교하여 t-검증 하였고 양적인 해석이 불가능한 관찰평가나 모둠의 대화 내용은 학습자의 내면화 과정의 예를 질적으로 서술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대화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첫째, 시의 감상과 표현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 둘째, 외적, 내적대화를 통한 학습자의 가치내면화, 셋째, 행과 연의 의미기능, 시상의 전개과정, 시어의 의미자질을 통한 시적의미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대화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시 교육에서의 가치내면화에 효과적이며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유의미한 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첫째, 학습자의 연령과 경험에 어울리는 시 제재와 주제의 선택은 대화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였다. 둘째, 대화적 교수-학습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의 활발한 반응과 생각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교실 분위기와 교사의 발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의 의사소통의 과정은 초등학생이라는 경험과 발달 단계상의 한계로 깊이 있는 의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조력자, 비계 설정자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이 중학교, 고등학교 단계의 학생들에게 적용되었을 때에는 좀 더 깊이 있는 외적, 내적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 볼 수 있다. 넷째, 8주간의 짧은 기간 동안에도 학습자들의 깊이 있는 대화와 가치내면화가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온 만큼 학급에서 담임교사가 1~2년의 장기간의 목표를 세우고 본 프로그램을 도입한다면 본 프로그램은 더 큰 가치내면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된다.;There is a method that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text of poetry, through conversational communication, so finding the method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e conversational view, we would like to develop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programmes to achieve value internalization. Also from this study, we would like to analyze its effects from the scene of classes. Value internalization is the core of poetry education, and also is the process to form new subject by active value judgment and organization interacting with literary text. It also includes recognitional, definitional, and behavioral changes about the value system of learners' life. Accordingly, in poetry education, a part of literary education, an ultimate goal is a value internalization, so that we need to find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s.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programmes is that conversational view, brought up by Bakhtin, is applied to poetry education, and then learner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specifically exhibit an aspect of convers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poetry text. It comes from the understanding and the acceptance of teachers or other learners, and serious conversational relationship. In this point, it is found that learner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re obtained not only through individual learners, but also through teachers and other learners, poetry text with conversational communication. In poetry education, as learners react or answer to teachers or other learners-it's called exterior conversational process- and they go through interior conversational process with text in their own sense as subjects of reading and writing, learners organize conversational contents and recognize their life subjectively. Thus the continuous process that learners have interest based on their strong impression, organize poetical meanings through interior and exterior conversation and find, judge, form value by interacting their own experiences and poetical text. Therefore, in this study,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to realize value internalization was selected for poetry education, we designed the programme. In this programme, the general process of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was 'planing-diagnosing-instructing and evaluating', and in the continuous internalization process in the step of instructing and evaluating, Bloom & Krathwohls' internalization process, 'receiving impression-reacting-valuation- organizing-personalification', was used. Then we set up the purpose and the tasks for each step, so we intended to show that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was a successive and deepening process. This programme conducted 6 times pretest with 34 students in 4th grade of B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within 3 weeks in June. From September to October, within 8 weeks, 25 times management and post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onversational teaching programme on internalization, achievement estimation was conducted by each step of internalization. Then the purpose of estimation was set up, and 4 kinds of achievement estimation measurements were developed. Using these measurements, we performed check list for learners' interest, check list for exterior conversation process, a reaction diary for checking learners' interior reaction and changes, the describing estimation of poetical meanings construction for subjective interpretation. Achievement estimation was t-tested, after had compared with pretest-posttest based on the estimation standard and measurements. Observative estimation or conversation contents, which could not analyzed in the aspect of quantity, were described as an example of internalization process in the aspect of quality. After applying to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programme, poetical meaning construc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through first, learners' interest in poetry, second, value internalization by exterior and interior conversation, third, the meaning function of lines and verses, the developing process of poetical imagination, meaning feature of poetical language. In other words,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programme has an effect on value internalization and also is an meaningful action that can be used in real classes for poetry education. From th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oints. First,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selecting proper poet-its theme and subject-, according to learners' age and experiences, was very important to have an effect on the result of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programme. Second, in this programme, it was very important to make atmosphere that learners could react and think lively and for teachers to questions to learners. Third,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some limitation for their short experiences and development, helpers and secret planners were essential in the process of conversation. Thus, if this programme is applied to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students, we can expect that they will accomplish exterior and interior conversation more in-depth. Fourth, since we got the positive result that even we had only researched in only 8 weeks, if teachers introduce this programme planning to teach in this way in 1-2 years, it will bring more value internalization effects on learn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ii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문학으로서의 시 교육 4 1. 문학교육의 목표와 특징 4 2. 어린이를 위한 시 교육 9 B. 시 교육에서의 가치내면화 13 1. 내면화의 개념 13 2. 내면화의 관점과 특성 19 3. 내면화의 관여 요소 26 C. 대화적 관점에 의한 시 교육 30 1. 대화적 관점의 의미 30 2. 대화적 관점에 의한 시 읽기와 가치내면화 39 3. 대화적 교수 프로그램의 기본 전제 44 Ⅲ. 프로그램 개발 50 A. 연구 대상 50 B. 연구 절차 50 C. 요구 조사 및 결과 51 D.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56 E. 대화적 관점에 의한 시 교수-학습 58 F. 가치내면화의 평가 도구 65 1. 가치내면화의 단계별 평가기준 및 과제 65 2. 채점 기준과 척도 개발 67 Ⅳ. 프로그램의 실제 및 결과 75 A. 프로그램의 실제 75 1. 프로그램의 실시 기간 75 2. 프로그램의 내용 77 3. 대화적 교수-학습 지도안 81 B. 프로그램의 결과 94 1. 학습자의 흥미도 평가 결과 94 2. 관찰을 통한 외적 대화과정의 평가 결과 96 3. 반응일지를 통한 내적 대화과정의 평가 결과 99 4. 시적 의미 구성에 대한 서술평가 결과 105 Ⅴ. 결론 및 제언 109 A. 결론 109 B. 제언 113 참고문헌 115 부록 118 ABSTRACT 1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049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시 교육에서 가치내면화를 위한 대화적 교수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a Conversational Teaching-learning Program to Achieve Value internalization-
dc.creator.othernameLee, Soo hyun-
dc.format.pageix,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