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초·중등학교 교과서의 종자 개념 분석 및 중등학생의 인식 조사

Title
초·중등학교 교과서의 종자 개념 분석 및 중등학생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Research and an Analysis of the Concepts of Seeds in Textbooks for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and of the Understanding of Junior-High and High-school Students
Authors
박보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21th century, development in genetic engineering has caused that the understanding of seeds become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basic data about the next education course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rough analysis and a study of the understanding related to the concept of seeds in the textbooks for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the major factor of increasing national power is biological resources. Each of textbooks of 'science', one of 'social affairs' and 'practical course' including manual training and house management for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ourse were analyzed about the concept of seeds and studied about the understanding of it. 519 students of a junior-high school and a high school in Seoul were interviewed in order to examine the level of knowledge of seeds. Insincere responses in the returned data was excluded, and SPSS ver12.0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d ANOVA, and then they were conducted by Dunca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that were described by goals of each section and the parts that were emphasized in textbooks of 'science', one of 'social affairs' and 'practical course' for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Seeds were considered as the economic value that people need as industrial sources to adapt in the environment in the textbook of 'social affairs', as the material of study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 the generating progress of seeds and the germination condition - in 'science', and as matters of nutrients and cultivation techniques and conditions in 'practical course'. Therefore, the concepts of seeds such as the economic and genetic value need to be added in the textbook of 'science' when students study the shape, formation, creation of seeds. Repetition, connection, and arrangement to each grades with the concepts of seeds described by other textbooks need to be thought. Secon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seed in the textbook of ;science' by the level of schools, seeds were considered as matters of studies and experiments, and shapes and growth of seeds were stressed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progress of seed formation was showed in the textbook for the 2nd and 3rd grade junior-high school students and seeds were dealt as data for learning in the textbook for the 3rd grade junior-high school student, but the importance and value of seeds as biological sources were not described. The higher level of school the textbook was for, the less amount of contents connected to the concept of seeds were describe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understanding of seeds, the average in the knowledge part was 13.22 points out of 27 point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49%. They knew the meaning(0.73, 73%) and functions(4.28, 54%) of seeds pretty well, but they do not know the economic value(3.88, 49%) and the usage(1.54, 39%) of seeds clearly. It was significant that the point of the knowledge part increased as the grade of students(p < .01), but it was no difference by gender of students(p > .05). The average in the value-attitude part was 33.48 points out of 45 point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74%. It meant that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seeds positively. Fo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understanding of seeds of high school students, the average in the knowledge part was 15.04 points out of 27 point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56%. It was higher level than junior-high school students'. It showed that they got high marks not only at the meaning of seeds(0.67, 69%) and the function of seeds(4.79, 60%) but also at the economic value of seeds(4.64, 58%) and the usage of seeds(2.03, 51%). The average in the value-attitude part was 33.69 points out of 45 points,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75%. It meant that the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seed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of science department got higher marks in the knowledge part than students of humanity faculty department (p < .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 of seeds of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got higher marks in the knowledge part than junior-high school students(p < .01),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ue-attitude part(p > .05).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part and the value-attitude part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r marks students got in the knowledge part, the higher mark they ggt in the value-attitude part(p < .01). It meant that students got high marks in the value-attitude part if they got high marks in the knowledge part. Therefore, in the next science textbook, it is necessary that the importance of seeds is taught through the addition of contents of the economic value and usage of seeds as biological sources, and then the textbooks must be able to help to cultivate scientifically cultured students who harmonized with the 21th century.;21세기에 유전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자의 중요성 인식이 부각되고 있다. 생물자원이 나라의 국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종자 개념에 대한 내용 분석과 학생들의 종자 개념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차기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중 종자 개념과 관련성 있는 과학, 사회,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1종을 대상으로 종자 개념을 분석 하였고,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종자 개념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1개교 519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Dunca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과학, 사회,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종자 개념의 내용은 각 교과의 목표에 따라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나 강조하는 영역이 차별성이 있었다. 사회 교과에서는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기 위해 산업 활동의 재료로서 종자의 경제적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었고, 과학 교과에서는 종자의 생성 과정, 발아 조건 등과 같이 자연현상 원리의 이해와 탐구활동의 소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는 적성 개발의 소재로서 제시되면서 영양소, 종자의 재배 기술 및 환경에 중점을 두어 제시되고 있었다. 사회와 실과(기술·가정)에서는 유전공학기술이나 생물자원으로서 종자를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 교과에서는 이런 내용이 전혀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과학 교과에서도 종자의 형태, 생장, 형성과정 등을 학습할 때 생물자원으로서 경제적 가치와 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 등과 같은 종자의 개념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때 타 교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종자 개념의 중복성, 연계성, 학년별 배치 유무 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과학 교과서의 종자 개념을 학교급에 따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에는 종자를 탐구실험 소재로서 사용되고 있었으며, 종자의 형태나 생장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었다. 중학교 2학년과 3학년에서 종자의 형성과정에 대해 제시되고 있으며, 3학년 유전단원에서는 학습재료로서 활용되고 있으나 생물자원으로서의 종자의 중요성 및 가치에 대한 내용은 전혀 언급되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종자에 대한 내용은 제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종자 개념에 대한 내용이 줄어들고 있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종자의 개념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지식 영역 전체 평균은 27점 만점에 13.22점으로 정답률이 49%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의미 0.73점(73%)나 종자의 기능 4.28점(54%)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종자의 경제적 가치 3.88점(49%)나 종자의 이용 1.54점(39%)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지식 점수가 증가하였으나(p < .01),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가치·태도 영역에 대한 평균은 45점 만점에 33.48점으로 정답률이 74%로 종자 보존과 종자 개발의 필요성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고등학생들의 종자의 개념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고등학생의 지식 영역에 대한 전체 평균은 27점 만점에 15.04점(56%)으로 중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의미 0.67점(69%)와 종자의 기능 4.79점(60%)뿐만 아니라 종자의 경제적 가치 4.64점(58%), 종자의 이용 2.03점(51%)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치·태도 영역에 대한 평균은 45점 만점에 33.69점(75%)으로 종자 개발과 종자 보존의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계열 학생이 인문계열 학생보다 지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1). 또한 중·고등학생의 종자 개념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 지식영역에서는 고등학생 평균이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p < .01), 가치·태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5). 다섯째, 중등학생 지식 영역과 가치·태도 영역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식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가치·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1). 따라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은 종자 개념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종자 개념에 대한 가치·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차기 과학 교과서에서는 생물자원으로서 종자의 경제적 가치나 이용에 대한 개념을 교과서에 추가함으로서 종자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통해 21세기에 맞는 과학적 소양인이 양성되기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