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연희-
dc.creator김연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5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511-
dc.description.abstractIn today’s world, there have occurred various controversies and contentions continuously centering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due to development of bioscience. Accordingly, formation of righteous attitude towar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ir understandings therewith become very important, and at the same tim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topic is equally important. In this research work, degree of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were investigated, and their attitudes toward such organisms were also surveyed, then after differences between grades, genders and academic departmen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o test this, 417 students in 1st, 2nd, and 3rd grade were sampled from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of which instrument was composed of 26 items to test knowledge abou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15 items to test their attitudes. As to survey of teacher recognition, 32 biology teachers were sampled from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instrument comprised items relating to basic recognition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current status of relevant education.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from this survey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students’knowledge score in relation t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was 15.51(59%) points indicating an average level, and the knowledge score increased higher, as the grade of school advanc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p< .05). By department, students in natural science subjects marked 16.55(64%), and the score marked by students in academic department was 14.35(55%), so then the score of students in natural science department was higher (p< .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score according to gender (p> .05). As the result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knowledge scores according to areas concern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 average score (60%) was obtained in connection with defini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method of manipulation, usability and riskiness, however, in the related area to the examples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students marked a lower score (45%). And results from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education oriented t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ad not been conducted in a detailed fashion. Second, regarding attitudes towar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it marked 3.61 points, high school students took a positive attitude in general on physic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pect, and as the grades advanced, their scores of attitude increased, and likew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p< .05). As to department, students in natural science subjects marked 3.67 points which was higher score than 3.55 points that marked by students in academic department (p< .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 scores according to gender. Third, results from analysis of score of degree of high school students’ demand for learning about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showed that there was a higher degree of demand for learning about the subject marking 3.34 points, and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demand for learning(p>.05), an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demand for learning between departments. Regarding points of degree of demand for learning according to gender, girls showed a higher score than that of boys, marking 3.52 points, while boys marked 3.34 points(p< .05). Fourth, results from analysis of survey indicated that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had a great interest i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at they took positive position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this subject. Meanwhile,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survey also displayed that teachers believed that there were lack of learning/teaching materials, and of its variety also, and that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er. And, those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took positive position concerning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 relation t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with a focus on those contents and details that are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they also said education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was necessary for the extended objects including high school students.;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학년별, 성별, 계열별 차이를 비교하고,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고등학교 생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는 경기도 지역 소재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 417명과 서울,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생물 교사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생용 검사 도구는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지식 검사를 위한 26문항과 태도 검사를 위한 15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에 대한 인식 조사는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교육 현황에 대한 내용으로 23문항의 검사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지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학생들의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지식 점수는 15.51점(59%)이었다. 학년이 증가할수록 지식 점수는 증가 하였으며, 학년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p< .05). 계열별로는 자연 계열 학생들의 지식 점수는 16.55점(64%)이고 인문 계열 학생들의 지식 점수는 14.35점(55%)으로 자연 계열 학생들의 점수가 더 높았다(p< .05). 성별에 따른 지식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 .05).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하위 영역별 지식 점수 비교 결과 유전자 조작 생물의 정의(65%), 조작 방법(64.5%), 유용성(64.5%)과 위험성(61.8%)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전자 조작 생물의 종류와 관련된 영역에서는 45%의 정답률을 보여 유전자 조작 생물의 종류와 관련된 학습이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학생들의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5점 척도에서 3.61점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건강적(3.74점), 경제적(3.61점), 환경적(3.54점)측면 순서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태도 점수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며(p< .05), 계열별로는 자연 계열 학생이 3.67점으로 인문 계열 학생 3.55점에 비해 태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 .05). 성별에 따른 태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05). 학생들은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유용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일관되게 가지고 있으나, 위험성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태도를 가지며 가치 판단을 명확히 내리지 못하므로 의사 결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고등학교 학생들의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학습 요구도 점수는 5점 척도에서 3.43점으로 보통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학년 및 계열 간 학습 요구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p> .05). 성별에 따른 학습 요구도 점수는 여학생 3.52점, 남학생 3.34점으로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 .05). 넷째, 고등학교 생물 교사들은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전자 조작 생물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학습 자료 및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다양성과 내용면에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유전자 조작 생물에 관한 내용 중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유전자 조작 방법과 유전자 조작 생물의 유용성, 위험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교수 자료에 대한 개발 필요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교육 시기에 대해 고등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어려서부터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교사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한 교육 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유전자 조작 생물 4 B. 과학 교육과 가치 교육 9 C. STS와 과학 교육 10 D. 선행 연구 고찰 17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연구절차 20 C. 측정도구 21 D. 자료 분석 2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4 A.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고등학생의 지식 수준 분석 24 B.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고등학생의 태도 수준 분석 36 C.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고등학교 생물 교사의 인식 46 Ⅴ.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록< 1, 2 > 59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74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과 생물 교사의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Biology Teachers’ Recognition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dc.creator.othernameKim, yeon hee-
dc.format.pageix,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