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명숙-
dc.creator김명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4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48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 학생들에게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훈련을 받은 실험집단과 아무런 훈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훈련을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보다 학업자아개념에 향상을 보일 것이다. <가설2>『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훈련을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보다 학업성취에 향상을 보일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지역 초등학교 5학년 120명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진단평가 결과가 100점 만점에서 50점 미만인 학습부진아 학생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으나, 자료 분석 시 부적절한 자료를 각 집단별로 2명씩 제거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업자아개념의 사전, 사후 비교를 위해 실험처치 전에 두 집단에 학업자아개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또 학업성취도의 사전, 사후 비교를 위해 본교 4월말평가(국어, 수학, 사회, 과학 총점의 평균) 결과를 학업성취 사전검사로 설정하였고, 실험 처지 후에 6월말 평가로 학업성취 사후검사로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0)이 개발한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를 위한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주 2회씩(1회기 당 80분) 총 10회를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또한, 학업자아개념 검사 도구는 송인섭(1982)이 제작한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학급자아개념, 능력자아개념, 성취자아개념 3개 변인을 추출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학업성취 검사 도구는 본교에서 5학년 교사가 출제한 평가지(국어, 수학, 사회, 과학)를 사전검사로 4월말에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로 실험처치 후 6월말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연구실행 전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의 동질성 여부를 밝히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 평균을 T검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학업자아개념, 학업성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종속변인들과 관련하여 동질집단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처치 후 <가설 1>과 <가설 2>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사용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의 통계 처리 및 분석은 SPSS 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자아개념에서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한 실험집단(M=122.50)과 통제집단(M=125.38)의 평균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0.30, p>0.05) 이것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 훈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했고, 효과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업성취에서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 훈련이 실험집단(M=57.45)과 통제집단(M=50.78)의 평균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1.317, p>0.05) 이것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 훈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했고, 효과적이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논의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업자아개념의 사전, 사후 간에 약간의 평균의 변화를 보이고 있고, 학업 성취에서도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의 평균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아 효과가 전혀 없지는 않다고 할 수 있어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를 다소 증진시켜 주었다고 하겠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와 달리 집단 선정의 문제를 고려하여 보다 치밀하고, 통제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를 재검증 해 볼 필요가 있다.;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learning motive enhancing program on underachievers' learning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specific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it purpo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learning motive and a academic achievement enhanc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underachievers' academic self - concept. Second, it purpo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learning motive and a academic achievement enhancing program on underachiever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out of 120 children at three fifth grades of G elementary School in Kyeongido, whose academic achievement was 50% and whose standing fell within the lower. To verify the hypothesis se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underachievers sampled from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eongido, from 5th grade. 20 children was chosen from each grade whose academic achieverment were in below 50% rank. Subject was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rior to the test, we have conducted a pretest.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enhanc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what adapted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s(2000) '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to the level of 5th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cademic self - concept test used Song in - Seop's(1982) Self - concept Test Shee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used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created by the municipal education office. The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enhancing program was executed 10 times for six weeks from May 17 2006 to June 15 2006, two times per week and 80 minutes per s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computerization using SPSS WIN by the mean, the standard deviation and was verified with a T-tes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bserving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enhancing program was not significant in improving underachievers' academic self - concept. Second, the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enhancing program was not significant in improving underachiever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not effective difference, the academic self - concept was more improved. It was seem to enhance more average between pre-test and post -test. In another study, it have a reason for reverify through more precise and more control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ⅶ Ⅰ. 서론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B. 용어의 정의 5 C. 연구문제 및 가설 6 Ⅱ. 이론적 배경 7 A. 학습부진아 7 B.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12 C. 학업 자아개념 21 D.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과 학업자아개념 24 E.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과 학업성취 25 F. 초등학교 학습 부진아용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 26 Ⅲ. 연구방법 29 A. 연구대상 29 B. 연구설계 30 C. 연구도구 31 D. 연구절차 34 E. 자료분석 34 Ⅳ. 연구결과 35 Ⅴ. 논의 36 참고문헌 42 <부록 - 1> 50 <부록 - 2> 54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71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동기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on promoting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fthe underachiev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dc.creator.othernameKim, Myungsook-
dc.format.pagev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