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假傳文學의 敎育 硏究

Title
假傳文學의 敎育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 of Kachon literature
Authors
徐政錫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가전문학교육어학교육한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all its importance, proper-education Kacho˘n(假傳) literature, has not been performed in schools, since students of education on literature have had littl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not left keenly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Therefore, this thesis is intended to present a recommendable approach to the instructing in Kacho˘n by screening its edcational value and the present edcational condition, and by discussion the possible difficulties for instruction in Kacho˘n to give lessons in Kacho˘n works effectively. The fact that educational value of Kacho˘n has been studied from the aspect of the orginality of genre based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ture can help us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Kacho˘n literature history and afford a basis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instruction methods of Kacho˘n works. With a long history of tens of centuries Kacho˘n has been proved to be a refinal genre having cultivated plenty of authors and produced dozens of works. It is natural that its educational aspect should be taken seriously in accordance with its importance in literature history. Considered its appearing on 6 authorized text books out of 8 and only one piece in each text book at that, Kacho˘n has been out of proportion to other genre of classics. Fundament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meet the present situation on the ground that a fact finding survey on the actual educational circumstances of Kacho˘n has revealed that for many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too difficult to be easily understood and that difficult words and a plenty of words in Chinese characters used in Kacho˘n works make them reluctant to read the works. Cho˘n(傳) has its origin in Saki(史記) by Samach'on(司馬遷) classified with 4 branches,- Sacho˘n(史傳), Kacho˘n(家傳), Takcho˘n(托傳), Kacho˘n(假傳). Its originality in the domain of the liteature has been preserved by from Samkuksaki(三國史記) by Kim Poo-seek through other works of the later part of the Yi Dynasty restoring the structure of Saki by Samach˘on. Cho˘n portray linage, exploit, critique, imitating Yeolcho˘n(列傳), Sacho˘n (史傳) interms of form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 unique epic literature in terms of its contents based on satires, humors, lessons, morals which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and social condition with being fictionized with personification. Scientific reserches on Kacho˘n literature has been carried so actively, by many experts that Kacho˘n can receive much recognition as a part of literature while no substantial research on how to instruct in Kacho˘n has been achieved. Therefore this thesis makes an scientific and systematic attempt to reveal the point of view and goal which instructors should have when they teach Kacho˘n in schools. Most of all instructors shoud not only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role in the student - centered instruction where students play the major role, but also be well versed in the literature and then accompany students in their studies as a guidance. At this point instructors lead students weigh the literature value of Kacho˘n and the knowledge lest they should error on the side of the either of them. With the help of Acceptance Theory and Schema Theory as method of instruction for student-centered text books, instructors should decide the methods that precede instruction in Kacho˘n in other to help them fully apprehend student-centered text books. Instructors usually give priorities to the contents of work, the structure of epic and idea of an author in Kuksooncho˘n, Kukseonseangcho˘n instruction. However the first step for the study is reading comprehension. The difference in times and in aesthetics between students and works should be narrowed to settle difficulties in Kacho˘n instruction. Instructors are required to restrict their role and to decide how to instruct in literature effectively, since those who participate in studies actively are students and those who guide students in their studies are instructors. The reseach on how to instruct Kacho˘n will focus on offering students better understanding of Kacho˘n by devising specific instruction study model and apply it to instruction practically. This thesis presents the way how to instruct in literature depending on genre and attempts to study on instruction in Kacho˘n by understanding why Kacho˘n is important in instruction and where Kacho˘n is.;假傳文學은 중요한 문학장르이면서도 文學敎育硏究家들의 이에 대한 인식 부족과 교육적 의미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지 않는 데에서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假傳文學 敎育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假傳文學의 敎育的 가치와 실상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작품지도를 위해 수업지도시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들을 논의하여 바람직한 접근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假傳文學의 교육적 가치는 古典文學 敎育의 意義를 준거로 장르의 고유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古典文學 敎育의 意義와 관련하여 假傳文學의 문학사적 가치를 이해하게 되고, 假傳作品의 지도방안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얻게 되었다. 假傳은 수십세기의 긴 역사를 이어오면서 많은 작가를 배출시키고 수십편에 가까운 작품을 탄생케한 격조높은 장르임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假傳文學이 文學史的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으므로 당연히 문학교육적 측면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 수록양상을 살펴보면 8종 검인정교과서 가운데 假傳作品이 실린 교과서는 여섯 밖에 안되며 그나마도 각각 1편씩에 불과하여 다른 고전문학 장르에 비하여 심한 불균형 현상을 보인다. 또한 교육현장에서의 假傳文學 敎育의 실태를 설문을 통해 조사·분석해 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학습내용이 어려워 부담스럽다고 했으며 어려운 낱말이나 한자어가 많아서 읽기 싫다라고 하여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傳’은 司馬遷 <史記>에서 비롯되었으며 徐師曾은 <文體明辨>에서 傳을 史傳, 家傳, 托傳, 假傳의 네 분파로 나누었다. 우리나라 ‘傳’도 사마천의 <史記>의 격식을 재현하며 김부식의 <三國史記>에서부터 조선 후기까지 꾸준히 독자전인 문학의 영역을 지켜왔다. 더욱이 假傳은 형식면에서 列傳, 史傳體를 모방하여 家系, 行蹟, 評結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의인화를 바탕으로 내용은 諷刺, 諧謔, 敎訓, 萬意를 허구화하여 시대상과 세태를 戒世懲人하는 독특한 敍事文學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전문학에 관한 연구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비교적 활발하게 연구되어 학문적 위상을 갖추게 되었지만 假傳文學 敎育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거의 이후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假傳文學을 학교 수업현장에서 지도할 때 어떤 각도에서 어떤 목표를 가지고 지도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먼저 假傳文學 지도시 수용자인 학습자에게 주체적인 역할을 맡기는 학습자 중심의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인식해야 한다. 문학교사는 그 자신이 먼저 작품의 수용자인 고급독자가 되어야 하며 수용자 역할의 단계를 거쳐 주개자로서 문학수용에 참여해야 한다. 이 때 너무 인지적인 요소를 강조하다보면 뛰어나 문학성을 간과하기 쉬운데 수용자인 학습자에게 주체적인 역할을 맡기는 학습자 중심의 지도가 필요하다. 학습자 중심의 텍스트 수용을 위한 방법으로는 수용이론과 스키마 이론이 있으므로 가전문학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먼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실제 <麴醇傳>과 <麴先生傳>을 수업하는데 있어서 중점지도사항을 설정하면서 작품의 내용 및 敍事構造와 작가의식을 살펴봄으로써 假傳作品을 실제 교육할 때 작품이해를 위해 가장 초보적인 필요단계는 작품의 해독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假傳文學 敎育의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작품과 학습자 사이의 시간적 거리의 극복과 미의식의 차이를 좁히는 데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교육의 주체는 교사이지만 작품수용의 주체는 학습자이므로 교사는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제한적으로 규정하고 효율적인 지도 방법의 구상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假傳文學 지도방안 탐색은 실천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작품수용을 효과적으로 매개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假傳文學의 교육적 가치와 실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장르별 문학수업 지도방안 확립과 假傳文學의 교육적 연구를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