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미-
dc.creator김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15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sitive effects of drama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in youths. A drama activity can be defined as one in which youths express their worries and concerns in a drama that they create themselves as a result of shared ideas and cooperative team work. It is a form of Youth theater, in which youths play as actors or actresses as well as stage staff, and are engaged in discussion, improvisation, writing scripts, rehearsing, and putting the drama on the stage. The author established two main questions for this study: does the treatment group show more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and what effects do drama activities have on the sub-categories of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The author employed the Sungshin self-concept development test (김정규, 1999) and self-expression (김성희, 1980) to measure the variables, and selected a class of twenty four students in M girls'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who were randomly split into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reatments of drama activities twice a week over a period of six weeks, and a pre- and-post test design was implemented to trace any meaningful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For statistical treatments, SPSS win 12.0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it can be proved that drama activities d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Secondly, the results also proved true the second hypothesis that drama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ach sub-category of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For the category of self-concep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ree sub-categories out of five: self-esteem, interpersonal trust, and ability to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category of self-expression, two out of three sub-categories ― voice and body languages ―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s. For other subcategorie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and ability to resolve problems they also tested positive, even 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y could have been. As shown in the results, drama activities were proved to provide positive influences on developing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in high school girl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when students receive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others they are more likely to develop an ability of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self-expression. Given that drama activities have been shown to be an efficient method that is both educationally meaningful and also responds to the cultures of youth, more efforts should be exercised in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on how to utilize drama activities in educational situations.;본 연구의 목적은 “연극 창작 활동”이 여고생들의 자아개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연극 창작 활동이라 함은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고민 및 주요관심사를 서로 나누는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한 편의 완성된 연극을 공연하는 청소년이 배우이자 스텝이 되는 총체적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연극 창작 활동의 특징은 “Youth theatre”라고 명명되는 연극의 한 형태를 모델로 사용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변형시켰다는 점에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연극 창작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은 연극 창작 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자아개념과 자기표현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가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 연극 창작 활동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개념과 자아개념의 하위척도가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 연극 창작 활동 실시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표현과 자기표현의 하위척도가 향상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M여고 1학년 한 학급을 선정하여 지원자 2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각각 12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연극 창작 활동 프로그램을 6주 동안 총 11회기를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시간에 통제집단은 상호작용이 배제된 내용으로 구성된 다큐멘터리를 감상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성신자아개념검사(김정규,1999)와 자기표현평정척도(김성희, 1980)를 사용하여 두 집단 사전-사후측정 실험설계를 통해 연극 창작 활동으로 인한 자아개념과 자기표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극 창작 활동이 여고생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자아개념의 5개 하위 척도 중 자아존중감, 대인신뢰감,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에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연극 창작 활동이 여고생의 자기표현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표현 3개 하위 척도 중 음성과 체언에서 효과를 보였다. 한편 연극 창작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술과 기록을 연극 활동에 참여 전, 과정, 종결후 단계의 흐름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고, 이것을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이 연극 창작 활동을 하면서 가장 의미 있는 변화라고 지각하는 범주는 “자신감”, ”대인관계‘, “자기표현”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양적 통계에 의한 분석과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연극이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자기표현 향상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극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한다. 이와 더불어 이를 학교 현장에 보급하여 청소년의 자질과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체계화시켜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문제 및 가설 3 Ⅱ. 이론적 배경 4 A. 자아 개념 4 1. 자아개념(self-concept) 4 2. 자아개념과 연극 활동 6 B. 자기표현 7 1. 자기표현 7 2. 자기표현과 연극 활동 9 Ⅲ. 연극 창작 활동 프로그램 11 A. 프로그램의 모델 11 B. 연극 창작 활동 프로그램의 목적 13 C. 연극 창작 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13 1. 프로그램 구성요소 13 2. 회기 구성 요소 17 D. 연극 창작 활동 프로그램의 주제와 활동 내용 19 Ⅳ. 연구 방법 21 A. 연구 대상 21 B. 연구 진행과정 21 1. 연구 진행자 21 2. 연구 진행절차 22 C. 측정 도구 22 1. 성신자아개념 검사 22 2. 자기표현평정척도 검사 23 D. 자료 분석 24 Ⅳ. 연구결과 25 A. 실험-통제집단 사전비교 25 1. 실험-통제집단의 자아개념 사전점수 비교 25 2. 실험-통제집단의 자기표현 사전점수 비교 26 B. 연극 창작 활동의 효과 26 1. 연극 창작 활동이 여고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26 2. 연극 창작 활동이 여고생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27 C. 연극 창작 활동 참여자의 반응 내용 분석 및 범주화 28 1. 참여자의 활동 단계별 반응 내용 분석 28 2. 참여자 반응의 범주화 및 내용 35 Ⅴ. 논의 37 A. 결과 및 논의 37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0 Ⅵ. 참고 문헌 42 <부록 1> 연극 창작 활동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45 <부록 2> 성신자아개념검사 74 <부록 3> 자기표현 평정 척도 77 <부록 4> 창작 대본 : 딸기 쥬스 79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10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연극 창작 활동이 여고생의 자아개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Drama Activities on the Self-concept and Self-expression of High School Girls-
dc.creator.othernameKim, young mi-
dc.format.pageⅷ,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