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재현-
dc.creator김재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8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9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93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동의 삶 속에서 친구관계가 더욱 중요해지는 시기인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친구관계 질 관련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부모 애착 및 정서지능과 친구관계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 애착 수준을 통제한 조건에서 정서지능이 친구관계 질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후 친구관계 질에 대한 정서지능의 설명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345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Armsden과 Greenberg(1991)가 제작한 부모와 또래에 대한 애착척도 개정본(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IPPA-R)을 옥정(1998)이 번안한 부모 애착 척도와 Salovey와 Mayer(1997)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해 문용린(1999)이 개발한 청소년용 정서지능 척도, Mendlson과 Aboud(1999)가 제작한 McGill 친구관계 질문지를 이은해와 고윤주(1999)가 번역한 친구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을 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여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았고, 상관관계분석, 부분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애착과 정서지능, 부모 애착과 친구관의 관계 질, 정서지능과 친구관계 질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애착 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정서지능과 친구관계 질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상관의 정도가 낮아졌다. 셋째, 부모 애착과 성별을 통제한 후 정서지능은 친구관계 질 전체에 대하여 23%의 설명력을 지녔으며, 하위영역 중 친구관계 질 전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감정이입과 정서인식 및 표현이었다. 넷째, 정서지능은 친구관계의 긍정적 기능에 대하여 22%의 설명력을 지녔으며, 하위영역 중 감정이입이 가장 큰 설명력을 지녔고 다음으로 정서인식 및 표현, 사고촉진, 정서활용 순으로 긍정적 기능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녔다. 다섯째, 정서지능은 친구관계의 부정적 기능에 대하여 8%의 설명력을 지녔으며, 정서지능의 하위영역 중 부정적 기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은 감정이입과 정서조절이었다. 여섯째, 친구관계의 만족감에 대하여 정서지능은 12%의 설명력을 지녔으며 하위영역 중 감정이입이 만족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동이 친구관계를 맺는데 있어 정서지능과 부모 애착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친구관계의 질이 높아질 수 있으며 아동기의 정서지능은 대인관계의 기술을 높이고 아동의 원만한 친구관계를 위한 주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parent-child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friendship quality and then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friendship quality in conditions where the effect of parent-child attachment was controll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5 sixth grade children from 4 elementary school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As for a measurement tool that was used for this study, it used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attachment which Ok Jeong(1998) adapted from Armsden and Greenberg's(1991) IPPA-R(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the questionnaire of Emotional Intelligence for Adolescents that Mun Yong-rin(1999) developed on the basis of a model for emotional intelligence by Salovey and Mayer(1997), and Mendlson and Aboud(1999)'s McGill Friendships questionnaire adapted by Lee Eun-hae and Go Yoon-ju(1999). By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for research issue analysis,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amined subjects were observed,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correlation analysis were made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each concept. Also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parent-child attachment,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riendship quality. Last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sub-fields on friendship qualities in conditions of controlling influence of parent-child attachment and sex distin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child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friendship quality were related positively each other.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parent-child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friendship quality were still related positively, but the correlation degree was decreased.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after controlling parent-child attachment and distinction of sex had 22.7% explanatory power of overall friendship quality and of sub-fields, empathy and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overall friendship quality. Fourth, emotional intelligence had 22.3% explanatory power regarding the positive functions of friendships and among sub-fields, empathy had the most impact and following,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thought facilitation, and emotional application, had meaningful effects regarding positive function in that order. Fifth, emotional intelligence had 8.2% explanatory power regarding the negative functions of friendships and among sub-fields,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had meaningful effects regarding negative functions. Sixth, emotional effect had 11.8% explanatory power regarding contentment in friendships and of sub-fields, empathy had a meaningful effect on contentment.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child attachment when children form friendships, and those proved that friendship quality increases as emotional intelligence increases an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hood heightens personal relational skills, as an important cause of character change for well-rounded friendships of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ii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A. 애착 6 B. 정서지능 9 C. 친구관계 질 15 D. 부모 애착, 정서지능, 친구관계 질의 관계 20 III. 연구 방법 26 A. 연구 대상 26 B. 연구절차 28 C. 연구 도구 28 D. 자료 처리 및 분석 32 IV. 연구 결과 33 A.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 33 B. 부모 애착 및 정서지능과 친구관계 질의 관계 36 C. 친구관계 질에 대한 정서지능의 설명력 39 V. 논의 45 A. 결과 및 논의 45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51 참고문헌 52 부록 59 ABSTRACT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9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부모 애착 및 아동의 정서지능과 친구관계 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arent-Child Attachment,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Friendship Quality-
dc.creator.othernameKim, Jae Hyun-
dc.format.pageiv,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