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기독교 學生들의 宗敎的 思考發達에 관한 調査硏究

Title
기독교 學生들의 宗敎的 思考發達에 관한 調査硏究
Authors
權泰睦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Keywords
기독교학생종교사고방식RonaldGoldman종교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development of the religious thinking for the young Chritian students of growing generation based on the theory of Ronald Goldman, an English religious educator. This study has mainly been focused on the two objectives: First,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the understanding about the Bible between the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econd, to propose the basic direction of educational method and the Biblical scope of educational contents suitable to the stage of the development for the growing generation. For this study, 20 churches in Seoul area were randomly selected and the totalling 240 students(church goers)were also randomly selected by different sexes and different grades of the school. However, actually 238 questionairs were analized. The composition of the qustionaires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of religious thinking such as the Bible,God,Jesus & Satan,prayer and chu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o the questionairs were as follows: First, the viewpoint on the spoiled and torn Bible was quite different: the elemenary school youngsters "wanted to have new Bible" bu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nted to know who did it?" or "should have a deep faith". Thus, younger students were found out to be interested in material things,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ested in logical and abstract things. About the origin and authorship of the Bibl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lightly confused between them, however, generally accepted multi-persons' writings based on the eyewitnesses, while elder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accepted the multi-persons' writings without confusion. On the authority and truth of the Bible,about 89.5 per cent of the total responents thought that all stories in the Bible were true and could occur nowadays. This was different from R. Goldman's study. Second, the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pecially showed a tendency that God had a super power and an equivalence to God-to-man. Contrastingl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ymbolic and abstract expression in the description of God. Third, most of the responents recognized the divinity of Jesus and held a son of God as the savior. About Satan, the elementary school youngsters thought that it was a evil spirit with power of super-nature,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confusions with different and complicated responses, and the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ed that it was a kind of characteristics existing in human life and that the Satan was related to our life. Fourth, the prayer of the elemantary school youngsters was common for frequent self-protections. They guessed the reason of failure of prayer resulted from selfish, material and the lack of enthusiasm.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rayed about the altruistic contents, religious problem and self-reflection. All of the responents recognized the efficacy of prayer and they believed that their prayers could not be achieved their objectives without enthusiasm. Fifth, in general, girl students were found out to be more religious and had more abstract thinking than boy students in frequency of the responses on the configuration and righteousness of God, morality of Jesus and the importance of prayers.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s for the religious education are proposed. 1) Deviating from the custom of the Bible-oriented educational contents, it shoulld be understood that the religious truth suitable for the stage of development in the experience of youngsters after establishment of contents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world of youngsters. Accordingly, the youngsters' education shoud be focused on the subject of daily life and slightly scheduled religious subject would be added. The truth from the Bible should influence and satisfy the daily life of youngsters. 2)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higher grade youngster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een-agers should be used together the subject of daily 1 i fe and the Bible-oriented materials in order to overcome the restriction of language. Prior to study the history of the Bible, it should be understood to them the truth of the Bible and the students themselves should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3)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should adquately mix the Bible with the subject of the daily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intellectual levels. It would be adquate to search for the Biblical subjects from the life of Jesus and important backgrounds of the Bible, pardon and salvation in the Bible, marrige and friendship of God and search for the daily subjects from the desire and investigation. Teachers are needed to introduce these subjects through the questions and discussions to make the students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the Bible.;이 논문은 英國의 종교 교육학자 Ronald Goldman의 理論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成長世代의 종교적 思考 發達에 관한 조사연구이다. 이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目的을 가진다. 첫째, 국민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청소년들의 聖經에 관한 認識度의 차이를 파악하고 둘째, 그 발달 段階에 알맞는 교육내용의 영역과 이에 따른 敎育方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目的을 위하여 서울시내 所在 20개 교회를 택하여 국민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 각 학년별, 남녀별로 각각 10명씩 임의로 택하여 총 240명을 기준하여 조사하였으나 실제로 분석된 조사표는 238명(장로교 165, 감리교 37, 성결교 9, 침례교 4, 순복음교 13, 기타 10명)이었다. 조사표의 척도구성은 R. Goldman이 構成한 것으로 聖書, 神, 예수와 악마, 祈禱, 교회 등 5개의 종교적 思考領域으로 나누어져 있다. 資料分析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聖書에 대한 이해로서 성서의 훼손을 국민학교 저학년에서는 '새 책을 갖고 싶다'는 등 物質的 思考가 나타나고 있으나 中學生부터는 '누가 왜 그랬을까?' '더 깊은 信仰心을 가져야 겠다'는 논리적 추상적 思考로 轉移되고 있었다. 성서의 기원과 저술에 대해서는 구체적 사고기의 아동은 다수인 著作說에 대해 다소 혼동을 일으키나 목격자들의 口傳에 기초한 다수인 著作說을 받아들이고 있고 추상적 사고기에 들어서서는 다수인 저작설을 혼돈없이 받아들이고 있었다. 성서의 권위와 진실성에 대하여 성경 이야기는 모두 사실이며 오늘날에도 일어 날 수 있다고 전체의 89.5%가 응답하였다. 이 경우 국민학교 고학년이나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더 높은 비율로 응답하고 있으며 대답이 단순하고 추상적이었다. 이것은 Goldman의 연구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둘째, 神에 대한 묘사에서 국민학교 저학년의 경우 신에 대하여 超人的인 면을 의식하나 神人同形論的 경향이 있고 중학생부터는 象徵的, 抽象的 사고표현을 하였다.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에 대하여는 국민학생의 경우 보복적 정의와 분배적 정의의 중간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상적 思考의 宗敎期로 갈수록 분배적 정의의 비율이 높아졌다. 그러나 고등학생은 하나님의 분배적 정의에 대하여 다소 혼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예수에 대한 개념은 모든 단계의 학생들이 예수의 神性을 인정하고 하나님의 아들로 救世主로 이해하고 있었다. 악마에 대하여 국민학생들은 超自然的 힘을 가진 악령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짙고 중학생은 혼돈을 가져 왔으나 고등학생은 인간 속에 있는 하나의 성향으로 이해하고 악마는 지금도 우리생활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넷째, 祈禱에 대한 理解에서 국민학생은 기도내용이 他人的인 것과 保護的인 기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도의 실패의 원인은 利己的이고 物質的이고 기도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중고등학생의 경우 친구를 위한 利他的 祈禱와 자신의 신앙적인 문제 그리고 反省에 대하여 기도하고 있었다. 전체가 기도의 효험을 인정하며 열심히 없을 때 기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보며 중고등학생의 경우 기도가 이기적이고 非信仰的이므로 응답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했다. 다섯째, 교회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全段階에 걸쳐 교회에 가는 것을 좋아하고 국민학생은 재미가 있어서, 야단맞지 않아서 교회에 가며, 중학생 부터는 가족이 모두 가니까 간다고 응답하였다. 교회에 가기 싫은 이유에서는 추상적 宗敎期의 학생들은 누구의 간섭을 받지 않고 自發的으로 했다고 생각될 때 성취욕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경향에서 하나님의 편재성, 형상에 대한 표현에서 하나님의 역할, 예수의 도덕성, 하나님의 정의, 기도의 중요성에서 나타난 응답율로 볼 때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종교적이고, 추상적 思考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Goldman의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의 세 가지 교육방향을 본 논문에 제시하였다. 첫째, 기독교 교육은 聖書 中心의 교육 내용에서 벗어나 아동의 실제 세계에 가까운 내용으로 設定하여 그들의 발달단계에 맞게 學習者 자신들의 경험 안에서 종교적 진리가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아동기의 교육내용으로는 그들의 生活主題가 더욱 강조되어야 하고 약간의 계획된 宗敎主題가 가능한 것이다. 성서에 대하여는 성서가 말하는 진리가 어린이의 실제 삶의 경험에 영향을 주고 풍부하게 되어야 한다. 생활 주제 속에서 아동이 싫증을 느끼지 않도록 성서적인 자료가 자연스럽게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後期 兒童期와 前期 靑少年 교육 내용으로는 언어 제한을 극복시키기 위하여 생활주제와 성서중심 자료가 竝行하여 사용되어야 하며 종교적인 전체 樣態와도 일치되어야 한다. 성서에 대한 역사적 연구를 하기 전에 성서진리의 분명한 개념을 갖도록 해야하며 교사들은 교육에 학생 자신들이 참여토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靑少年期의 교육 내용으로는 학생들의 知能 水準에 따라 생활주제와 성서주제를 적절히 이용해야 한다. 성서의 主題로는 예수의 생애와 성서의 중요한 배경들, 성서에서의 용서, 구원, 결혼, 하나님의 친교 등을, 그리고 생활주제의 범위로는 그들의 욕구와 探究力에서 찾아내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주제들은 교사는 질문과 토의로 그 속에서 聖書의 本質이 이해가 되도록 분위기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