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성혜-
dc.creator강성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8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5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51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산업사회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구조적 악과 물질주의로 인하여 발생되는 반 생명적인 현상속에서 새로운 내일에의 희망을 주는 새로운 공동체의 모습과 그형성을 위한 교육방법론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이 새로운 공동체를 '생명문화공동체'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성서적 근거와 기독교교육적 방법론을 제시하려고 했다. 제I장에서는 문제제기 및 논문의 연구목적을 설명했다. 오늘의 산업문화를 죽음의 문화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대결을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설명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생명문화공동체의 성서적 이해를 찾아보고 그 공동체의 타락과 오늘날의 타락된 모습을 대비시켜 보았다. 구약과 신약속에서의 생명의 일반적 이해를, 즉 생명은 하느님으로부터 왔고 개인만이 아니라 변화하는 삶속에서 주체적 자아를 지켜나갈 힘이 있는 개인, 집단 자발적인 행위와 경험을 통털어 생명으로 이해했다. 또한 인간의 창조설화를 통해 하느님으로부터 부여 받은 생명과 남·여의 창조속에 나타난 생명을 나눔으로서 빚어지는 공동체적 삶을 찾아 보았다. 이로서 생명은 존엄하고 혼자가 아니고 둘이 함께 돕고 나눌 때 온전한 생명체로서 살아 움직임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이 아름답고 생명력이 가득 넘치는 생명 공동체의 세계는 물질에의 탐욕과 더불어 깨어지고 만 것을 아담과 이브의 선악과 따먹는 사건속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가인의 강자의 횡포, 구조악의 출현(라멕과 네피림출현), 문명의 발달로 인한 인간의 오만성(바벨탑사건)으로 이어지면서 타락의 과정이 개인에게서 구조적 악으로, 커다란 힘의 횡포로 발전해 온 과정을 찾아 볼 수가 있었다. 이것의 과정을 오늘 산업사회속에서의 자본주의로 인한 노동자 문제, 강자의 횡포로 인한 고문, 구조악으로 인한 강대국의 횡포, 특히 핵무기문제와 분단의 문제를, 마지막으로 물질문명, 기술문명의 결과로 나타난 공해문제로 비교하여 개괄적으로 다루었다. 제Ⅲ장에서는 이 타락의 역사속에서도 하느님의 놀라우신 구원의 은총이 이스라엘 민족을 통해 이루어 가셨음을 보았다. 강자들의 지배 아래 신음하던 히브리들을 해방시켜 내시어 가나안 평등공동체를 이루어 생명을 사랑하는 계약공동체로 살아 가게 하셨던 것이다. 그러나 이 계약관계는 인간들의 탐욕으로 인해 다시 깨어져 왕권 지배 체제로 변해갔음을 다시 보게되었다. 그러나 하느님의 해방의 역사전통은 예언자들의 삶을 통해 계속 이어지게 하였으며 결국 예수그리스도에게서 완성을 보이셨다. 가난하고 억눌린 민중들과 삶을 나누시고 죽기까지 그의 모든 것을 내어 주신 그 사랑이야말로 생명문화 공동체의 완성을 향한 삶이었던 것이다. 그는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므로서 생명공동체의 삶을 살도록 우리에게 계속 요구하고 계신다. 제Ⅳ장에서는 생명문화공동체의 모습을 성서적 근거에 준하여 정리하였다. 그것은 생명체를 가치로 하는 삶의 모습, 평등공동체적인 삶의 모습, 사랑과 정의의 영으로 운영하는 공동체의 모습, 우주적인 평화의 모습이다. 이는 곧 하느님의 나라이며 이것을 이루어나가기 위하여 방해요소인 악의 모습을 정확히 알고 제거해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이 악의 모습은 물질의 유혹에 타락된 가치관, 힘의 횡포, 제도화된 일, 죽음의 문화로 나타난다. 생명을 추구하는 삶의 모습과 이를 파괴하는 악의세력을 극복해나가려는 삶의 모습이 교육의 목적이 된다. 이 목적을 이루어가기 위하여 생명문화공동체의 창출을 구체적 교육목표로 삼고 교육자와 피교육자를 여성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생명문화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교육과정을 노출과 만남, 물음과 깨달음, Praxis와 창조력 개발, 공동생활과 역사창출, 성서와의 대화와 하느님나라 창출의 5단계로 설정하였다. V장은 결론으로서 논문의 요약과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over ways to overcome the structural evils of our present day materialistic and in-human society, the result of our industrial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we need a new community bringing hope for a better tomorrow. For the formation of such a community, there must be Christian Education methods designed.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new "Life Culture Community" is based on scripture. This study introduces and evaluates the "New Life Culture Moment" which the National Church Women's Associ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attempting to promote in our Church and society, and suggest Christian Education methods for it. In Chapter Ⅰ the writer attempts to point out the problems faced in our society, and describe the purpose of this paper. Today's culture is a dying culture. Society demands that the Church put forth efforts to overcome the evils and revive our dying culture. Chapter Ⅱ seeks to examine the Scriptural base for the Cultural Community we propose building. We find that life comes from God, and that it is not only' in the individual but also in the group that life must be understood. Life itself is group activities and group experience. From the beginning, God-given life was community--life shared between man and woman. In this community there is mutual help and sharing of all things. Destruction of this community Life began with disobedience to God. First we see materialistic greed, then enters tyranny of the strong over the weak, and then pride, as human beings try to become like God. This process is still going on today. Capitalism leads to the suffering of labourers. Greed of the powerful to retain power leads to torture. Fear of nuclear destruction, division of our nation, and pollution all result from rower and greed. Present day Problems are compared with the story of the Fall. Chapter Ⅲ examines how God acts to bring about salvation to the Israelite community by means of grace in the midst of the fallen community. God liberates the suffering Israelites from oppression of powerful rulers. The liberated community travels to Canaan and there forms an egalitarian community; a covenant community which respects life. But this community based on mutual respect and benefit is again des Cloyed with the choosing of a king. The prophets constantly remind the people of God's intention for their community, and their vision is perfected in Jesus Christ. Jesus gave his very life on behalf of poor, oppressed people. This is the life we are trying to realize through the Life Culture Community. This community, demanded by God is a covenant community of equality; a community which recognizes and exposes evil, and strives to bring about justice and love; a community in which suffering and all of life is shared by all. This is the Kingdom of God. Chapter Ⅳ describe principles of Life Culture Community. Those are a Community of thinking life is worth, of equality, of opeating by the spirit of love and justice, of cosmic Shalom. This is purpose of education for Life Community. Also this Chapter attempts to set goals and education's process for the building of a covenant community as Life Culture Community. Chapter Ⅴ,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while we have not yet established a program to bring about a Life Culture Community, we accept this as our tas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목차 = ⅷ Ⅰ. 서론 =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B. 논문의 구조와 범위 = 3 Ⅱ. 생명문화공동체와 그 타락 = 5 A. 인간창조론속에 나타난 생명문화공동체 = 5 1. 성서속의 생명의 일반적이해 = 5 2. 하느님으로부터 부여받은 생명 = 7 3. 남·여의 창조에서 본 생명문화공동체 = 8 B. 생명문화공동체의 타락 = 11 1. 타락설화를 통해본 생명문화공동체 타락과정 = 11 2. 산업사회속에서의 타락모습 = 22 Ⅲ. 생명문화공동체 회복을 위한 성서적 근거 = 35 A. 출애굽사건과 가나안 평등공동체 = 35 1. 이스라엘 출현의 역사적 배경 = 35 2. 가나안 평등공동체 형성 = 39 3. 평등주의 이스라엘의 사회구조 = 41 4. 이스라엘 평등공동체의 실제 = 44 B. 예언자와 평등 공동체 = 51 1. 판관과 왕조국가의 출현 = 52 2. 예언자의 활동과 평등공동체 = 54 C. 예수의 생명문화 공동체 = 57 1. 예수시대의 사회적 배경 = 57 2. 예수와 은혜의 해 선포 = 59 3. 예수와 하느님 나라 = 62 Ⅳ. 생명문화공동체와 기독교교육 = 67 A. 생명문화공동체의 모습과 교육의 적극적인 목적 = 67 B. 생명문화공동체의 소극적인 교육목적 = 71 C. 생명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방법론 = 73 1. 구체적 교육의 목표 = 74 2. 교육자와 피교육자 = 75 3. 기독교 교육과정 = 77 Ⅴ. 결론 = 81 참고문헌 = 86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000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생명문화공동체-
dc.subject기독교교육-
dc.subject문화공동체-
dc.subject교육학-
dc.title생명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methods for the formation of a life culture community-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종교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