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상상놀이가 유아의 보존 및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상놀이가 유아의 보존 및 조망수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antasy play in relation to the conservation and perspective role taking : in water play and sand play areas
Authors
鄭樂淑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상상놀이유아보존조망수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물놀이·모래놀이 영역에서 하는 상상놀이가 유아의 양보존 개념 및 지각적 조망수용 능력·인지적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 시내의 아파트 단지내에 위치한 ○○유치원 원아 30명으로 4세 20명, 5세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은 중상류층 이었다. 연구를 위하여 예비검사를 다른 유치원에서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로는 2가지 양보존 검사, 지각적 조망수용 검사, 인지적 조망수용 검사를 하였다. 양보존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Golomb와 Cornelius의 연구에서 실시한 2가지 양보존 검사를 기초로 하여 액체보존 검사와 질량보존 검사를 하였으며, 조망수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Kurdek과 Rogen의 연구에서 사용한 지각적 조망수용 검사와 인지적 조망수용 검사를 하였다. 피험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22일간 8회에 걸쳐 물놀이·모래놀이 영역에서 상상놀이를 자유놀이 시간 동안에 하도록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실내에서 자유놀이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과 모래놀이 영역에서 상상놀이를 한 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t검증한 결과 양보존 개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2. 실험·통제 집단간에 지각적 조망수용 능력을 t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3. 실험·통제 집단간에 인지적 조망수용 능력을 t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4. 보존과 조망수용 능력사이에는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양보존에 대하여 t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05) 인지적 조망수용에 대하여도 t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1) 지각적 조망수용에 대하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fantasy play in water play and sand play areas in relation to conservation and perspective taking in kindergarten children. Subjects were 30 preschoolers from middle and high socio-economic status families who were attending D kindergarten in apartment town in Seoul. 20 were 4 years old and 10 were 5years old. Preliminary test was performed in other kindergarten. For pre and post test: 2 styles conservation task test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test and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conservational concept; liquid and solid quantity test were used base on 2 styles of quantity conservation test from Golomb and Cornellius research. And to measure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 Kurdek and Rodgon's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and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were used.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d and controlled group. Two groups were matched for age and pretest scores. On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fantasy play in water and sand play areas in free play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quantity conservation ,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than controlled group by a degree of 1%(p<0.01). 2. In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 two group was no difference 3. In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 two group was no difference. 4.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servation ability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5. In terms of age years children were high score than 4years in conservational concept by a degree of 5%, in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by a degree of 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