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경희-
dc.contributor.author전효진-
dc.creator전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07-
dc.description.abstractThe 21st century education, it needs to make up for an education inclined to the existing cognitive aspect as much as the demand of our complicated time. As one of ways to solve such a problem of education, morality in terms of a considerate aspect such as consideration and love was in demand, and it became a significant issue of today.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directions that are actually applicable by analyzing the current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by taking an example of morality of consideration as an alternative with a view to reinforcing a righteous field in a moral education. Gilligan, student of Kohlberg criticized that Kohlberg morality development theory is male-oriented. Through researches on women, she insisted that the perspective on the morality of consider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for the growth of true morality by dividing moralities into righteous morality that emphasizes the right and independence of an individual, mutual reliance, and morality of consideration that lays emphasis on responsibility. Whereas Gilligan mentioned morality with regard to a sex, Noddings systemized Gilligan theory philosophically and ethically, thus, developed the theory by considering the theory as universal ethics that is not only necessary for women but also both men and women. Noddings viewed the importance of an interpersonal relation and the emotional response of humans in the creation of morality as the source of ethical behavior; therefore, he emphasized a moral education that values ethical emotion and sense. In the 7th moral education course, targets were more concretized by being proposed by the field of life, yet, a considerate ethical aspect and a righteous ethical aspect could not be equally proposed. Although a considerate ethics in the field of value and virtue as well as main teaching components took half of the course, still morality of righteous ethics is mainly treated in the detail of the education. Thus, it is not suitable for offering a balanced teaching. It needs to offer a consistent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to teach the second-class righteous field that treats the morality of considerate ethics, and to have consideration that a teacher may selectively use a desirable alternative model that was given to him or her. Based on this, a moral education class, in particular, the second-class righteous aspect should be an impressive one by appointing diverse and meaningful materials or data, and be able to provoke moral passion and intention from learners by utilizing various teaching models and techniques. Moral education should not be restricted to a moral textbook but should be taught in line with other textbooks by taking examples that treats the morality of considerate ethics. Also, teaching models for cultivating the morality of considerate ethics through a potential educational course and a daily guidance may include consideration model, narrative approach model, virtual experiential learning model, and role-play model. Furthermore, there should be an active teaching of considerate ethics through applicable teaching plans with diverse models. A moral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having self-respect, setting a right self-respect, and respecting and considering others. Also, there should be much effort in cultivating an ability and attitude of having sympathy for others in a moral education.;21세기 교육은 복잡한 시대의 요구만큼이나 기존의 인지적 측면에 치우친 교육에 보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향으로 배려와 사랑 등의 배려적 측면의 도덕성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오늘날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 있어 정의적 영역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보고 이의 대안으로 배려의 도덕성을 들어, 현 초등 도덕교육을 분석하여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60~70년대 주류를 이루었던 콜버그(L. Kohlberg) 중심의 자율적 접근도 그것이 갖는 인지적 측면의 한계가 지적되면서 도덕교육에서 감정이나 동기 등의 정의적 영역 역시 부각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콜버그의 제자였던 길리간(C. Gilligan)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남성 중심적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녀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통해, 개인의 권리(權利)와 독립(獨立)을 강조하는 정의(正義)도덕성과 인간관계와 상호 의존성, 책임을 강조하는 배려의 도덕성으로 구분하여 참다운 도덕성의 발달을 위해서는 배려의 도덕성의 관점도 포함 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길리간이 도덕성을 성과 관련하여 말했다면, 나딩스(N. Noddings)는 길리간의 이론을 철학적 윤리적으로 체계화 시켜 배려를 여성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남녀 모두에게 필요한 보편적 윤리로 보아 도덕교육으로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나딩스는 인간의 도덕성 형성에 있어서 대인관계의 중요성과 인간의 정서적 반응을 윤리적 행동의 근원으로 보아 도덕적 정서와 감정을 중시하는 도덕교육을 강조하였다.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목표를 생활 영역별로 제시함으로써 더욱 구체화되었지만 여전히 배려윤리적 측면을 정의윤리적 측면과 대등하게 제시하지 못했다. 주요지도 요소와 가치․덕목에서의 배려윤리의 도덕적 덕목은 절반을 차지하였지만 교육내용에서는 여전히 정의윤리의 도덕적 덕목이 많이 다루어져 실제적으로 균형 있는 지도가 되지 못하고 있다. 배려윤리의 도덕성을 다루는 2차시 정의적 영역을 지도할 교수․학습의 절차가 일관성 있게 제시되어야 하며 바람직한 대안 모형의 제시로 교사가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배려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교과 수업 특히, 2차시 정의적 측면의 수업은 다양하고 의미 있는 소재나 자료의 선정으로 감동이 있는 수업이 되어야 하며 다양한 수업모형 및 기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도덕적 열정과 의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덕 교육은 도덕교과서에서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타 교과에서도 배려윤리의 도덕성을 다루는 예화를 통하여 통합적인 지도방안이 이루어져야 하며 잠재적 교육과정과 생활지도를 통하여 배려윤리의 도덕성을 기르기 위한 수업모형으로 배려모형, 내러티브 접근모형, 가상체험학습모형, 역할놀이 모형 등을 들 수 있으며 여러 모형들의 실제적 지도안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배려윤리의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덕교육은 자기 자신을 존중하고 바로 세우는 일과 함께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타인의 입장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ⅳ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3 Ⅱ. 배려윤리의 이론적 배경 = 5 A. 배려윤리의 의미와 기원 = 5 1. 배려의 의의 = 5 2. 배려윤리의 기원 = 7 B.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비교 = 11 C. 길리간(C. Gilligan)의 배려윤리 = 16 1. 배려윤리에 대한 길리간의 논의 = 16 2. 길리간의 도덕성 발달단계 = 20 D. 나딩스(N. Noddings)의 배려윤리 = 24 1. 배려윤리에 대한 나딩스의 논의 = 24 2. 나딩스의 배려윤리에 근거한 도덕교육 방법 = 29 E. 배려윤리의 의의와 한계 = 33 Ⅲ. 배려윤리의 도덕적 덕목 및 교육내용 분석 = 36 A. 초등도덕과 교육목표로서의 배려윤리 = 36 B. 초등도덕과 교육내용으로서의 배려윤리 = 39 C. 배려윤리의 초등도덕과 교수-학습 방법 = 53 D. 초등도덕 교육에 있어서 배려윤리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향 = 60 Ⅳ. 배려윤리에 기초한 초등 도덕교육 지도방안 = 62 A. 초등 도덕 교과ㆍ타교과ㆍ학교교육과정과 연계된 지도방안 = 62 1. 도덕교과에서의 지도방안 = 62 2. 타 교과에서의 지도방안 = 66 3. 학교교육과정과 연계된 지도방안 = 69 B.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지도 모형 = 71 1. 배려학습 모형의 구체적 지도방안 = 72 2. 그 외 후임지도를 위한 여러 모형들 = 77 Ⅴ. 결론 및 제언 = 89 참고문헌 = 91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27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배려윤리에 근거한 초등 도덕교과의 내용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Ethics of Care and Researches in Guidelines for its Teaching-
dc.creator.othernameJeon, Hyo Jin-
dc.format.pageⅴ, 96-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