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중학교 학생의 도덕성 발달 수준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학생의 도덕성 발달 수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강원실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왕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vels of moral development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and its relevant variable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physical home environment, self-concept levels. Concrete tentative theorie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meaningful st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moral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1-1. The higher paternal career is, the higher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of students is. 1-2. More professional and businesslike paternal career is, the higher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of students is. 2. There is a meaningful static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home environment and the levels of moral development 3. There is a meaningful st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moral development and self-concept leve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ird-grade students of coeducational junior-high school located in Bucheon in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conducted on April 1st to 15th in 2005 was responded by 343 students in the same proportion of males and females. There are 4 ways of measurement used for this study. First one is to estimate presence of parents, paternal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as a living environment testing measurement. Second one is apply 3 of 6 conflict situation stories of Rest's DIT Test to a living problem questionnaire (Korean DIT), which is interpreted in Korean by Moon, Young Rin. Third one is used for family self-concept in subordinate concept of properties scales, which is conducted by Song, In Seop. The last one, students' previous grade is considered as criterion grades for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stud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presented with following assignments. 1. The study related to moral development levels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and opportunity of role adoption urgently needs following research. It factors into home variables besides diversified variables presented by Kohlberg ; peer groups, social groups of government or profession. 2. The matter requires lots of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behaviors because being a moral person is directly related to moral behaviors.;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의 도덕성 발달 수준과 관련 변인 즉 학업성취 수준, 가정의 물리적 환경, 자아개념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수준은 정적(正的)인 상관이 있다. 1-1.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수준은 높다. 1-2. 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 사무직일수록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수준은 높다. 2. 도덕성 발달 수준과 학업성취도와는 정적(正的) 상관이 있다. 3. 도덕성 발달 수준과 자아개념 수준은 정적(正的) 상관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부천 시에 위치한 중학교 3학년 남녀공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5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실시한 설문 조사에 응답한 343명 학생의 성별은 남녀가 약 50%로 각각 거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네 가지이다. 첫 번째 도구는 생활환경 검사 도구로 부모의 생존여부, 아버지의 학력과 아버지의 직업을 측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 도구는 생활문제 설문지(한국형DIT)로 Rest의 DIT검사에서 6가지 갈등 상황이야기 중 3가지를 선택· 번역한 문용린의 한국어 번역본을 사용하였고, 세 번째 도구는 송인섭의 자아개념 특성 척도의 하위개념 중 가족자아개념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은 현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중학교 2학년 기말고사 성적을 준거 점수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학생의 도덕성 발달 수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도덕성 발달 수준과 학업성취도 수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다. 셋째, 도덕성 발달 수준과 자아개념 수준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다. 이상의 결론에 따라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중학교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 수준과 역할채택의 기회와 관련된 연구를 함에 있어 가정 변인 외에도 Kohlberg가 제시한 또래집단, 정부 또는 직업과 같은 사회집단 등의 다각적인 요인을 변인으로 한 후속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도덕적인 사람의 모습이란 도덕적인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도덕적 지식과 도덕적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적 연구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지속적인 도덕성 발달을 위한 학교 수업방안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