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사료 학습을 위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사료 학습을 위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uthors
김효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Keywords
사료학습모형개발고등학교 세계사종교개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역사 교육 연구가들은 학습자의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비판력, 탐구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학습 방법으로 탐구 학습법을 강조하고 있다. 즉 학생들도 역사적 자료와 문서를 토대로 역사가가 사용하는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학습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역사적 탐구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 학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료학습의 주요 형태는 강의식 수업중 학생들에게 필요한 사료를 부분적으로 제시하여 한 번씩 읽고 넘어가는 형식이었다. 교사의 입장에서도 사료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그런데 학습자에게 1차 사료를 제시하고 함께 읽어보면서 설명하는 형식으로는 제대로 된 사료학습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학습자가 사료를 더욱 멀리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는 천편일률적인 사료학습의 형태를 벗어나 학습자가 관련 사료를 통해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고, 그것을 분석하여 탐구함으로써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실질적인 사료학습 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사료를 발굴하여야 하며 교사 자신이 사료를 완전히 이해하여 그것에 적합한 문항을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세계사 가운데 종교개혁 부분을 주제로 선정하여 사료를 중심으로 학습 주제를 이해할 수 있는 3차시의 사료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그것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종교개혁 주제와 알맞은 사료를 찾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하고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이 사료를 접했을 때, 참고적으로 읽어보는 것의 한계를 벗어나 사료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단계적인 문항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사료학습의 모형이 실제 수업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사료를 제대로 분석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업을 진행해보았다. 현재 고등학교에서 세계사를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총 3차시에 걸친 수업을 진행해 본 후 학생들의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사료학습지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수업의 난이도 여부], [학습 주제의 성취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재 학교에서 역사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현장 교사들에게 본 연구자가 개발한 사료 학습지의 모형을 보여주고 [사료 선정의 적절성], [문항의 타당도], [실제 수업에의 활용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사료학습에 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사료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이 사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어려움과 거부감을 줄여주어 학습의 흥미를 높이고, 능동적 참여를 유발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각 사료에 제시되어 있는 문항을 단계적으로 풀어봄으로써 사료를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 '만일 각 사료마다 문항이 제시되지 않았더라면, 스스로 사료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느꼈을 것'이라며 학습의 주제를 이해하고 정리하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셋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습의 주제를 깊이 있게 다를 수 있었으며, 학생들 스스로 이해하기 힘든 주제는 단순히 암기해버렸던 한계를 벗어나 사료를 익혀가면서 종교개혁의 전반적인 과정과 결과를 이해할 수 있는 학습 태도를 가질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현장의 교사들은 객관식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풀어봄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사료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해 주었다. 그리고 사료학습 모형은 학생들이 학습 주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고, 학업성취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반응을 나타냈다. 하지만, 설문에 참여한 교사들이 제공된 사료 학습 모형을 실제 수업에 활용해 보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학습 주제 이해 정도와 학업 성취도 향상의 부분에 대해서는 답변에 신중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사료학습 모형은 기존의 사료학습과 차별화 되어 사료에 적합한 문항을 단계적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이 사료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할 수 있는 태도를 길러줄 수 있고, 나아가 학습 주제를 이해하여 학업 성취도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History education researche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ve learning methods as a learn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inking ability, critical ability and invesigative ability of learners. In order words, students also need to do investigative work,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and documents, by using historians' research skills. So, this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ethod has been suggested as the best way to apply investigative learning method to history study. However, providing students with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partly and letting them to read the materials superficially have been the major features of this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ethod so far. Moreover it is also difficult for teachers provide their students with the primary sources (or first-hand sources) and read the materials together and explain the materials to their students can not be expected to produce good effect of the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ethod and may cause the learners to lose interest. From now on, practical learning model in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historical situations through the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teachers should select historical materials that their students can understand easily, and teachers must have a perfect grasp of the materials, and have an effort to develop related question items step by step. So, we chose the Reformation of high school world history as a subject and developed a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odel (3-hour class) in which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ubject easily and then verified the reasonability of this learning model. For this purpose, historical materials suitable for the subject of the Reformation were selected and recontructed in order for students to understand easily. And then, we focused on developing question items step by step so that students may enhance their ability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historical materials, instead of reading them only as a reference. Finally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is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odel we developed could be applied to real classes and the students could analyze the historical materials, we conducted classes in actual school situations. After conducting 3-hour classes to students who are studying world history in high schools, we investigated about the degree of students' interest in the question items and the difficulty of the class and the acomplishment of students' learning the subject matter presented in the class. And we showed our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odel to teachers who are presently teaching history in high schools, and conducted a survey about the suitability to real teaching situations. And after analyzation of the results, we hav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compared to the traditional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the students in the classes using our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odel showed higher interest in learning, because this learning method could reduce the difficulty and dislike students have in learning historical materials and could induce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Secondly, answering the question items step-by-step enabled the student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historical materials. The result from the survey showed that without the question items, the students would have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subject matter of the class. Thirdly, the students who attended the classes could have deeper study compared to traditional lecture method classes and could develop a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at help them to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Refomation while learning the historical materials instead of just memorizing subject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Finally, teachers in the field suggested an opinion that the question items would be helpful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reachers' responses also showed that this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odel could help students to understand subject matters and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accomplishment of students' learning. Bu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swered very cautiously because they had not used the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odel in their real classes. Consequently, we could verify that our historical material-based learning model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other models c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an attitude that enables them to understand and analyze historical materials, and also could have a possitive effect on accomplishment of students' learning by enabling students to understand subject mat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