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만 5세 해바라기반 유아들의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

Title
만 5세 해바라기반 유아들의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
Authors
이소원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간식시간수학교육활동만 5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란 유치원 만 5세반 유아의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을 고찰한 것이다.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을 계획·실행·평가하면서 수학교육 활동의 진행과정과 진행과정에서 보여지는 연구자의 변화와 유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1,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은 어떠한 과정으로 진행되는가? 2.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을 통해 교사는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가? 3.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을 통해 유아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모란 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34명과 교사 1명이다. 연구 기간은 2003년 3월 11일부터 4월 18일까지로 이 기간동안 간식과 관련된 총 15회의 수학교육 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기가 시작되는 3월 초부터 연구가 끝나는 4월 중순까지 약 8주 동안 녹화와 관찰기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외에 여러 가지 문서자료와 사진 촬영 등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하는 동안 유아 면담, 관찰, 캠코더 녹화 내용을 정리하고 교사저널, 유아들의 활동사진과 활동 결과물 등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유아의 활동 결과물과 녹화 정리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추가로 교사저널과 관찰기록, 활동 평가기록을 보며 놓치고 지나간 행동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은 해바라기반 유아의 수학개념 실태 파악하기, 이전의 간식시간 활동 분석하기, 수학활동 내용 선정하고 조직하기, 수학교육 활동 실행하기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해바라기반 유아의 수학개념 실태 파악하기 단계는 수학개념 발달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교사와 유아의 1:1면접과 학부모 설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전의 간식시간 활동 분석하기 단계는 과거의 간식 활동을 되돌아보면서 간식시간에 유아들이 비형식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수학적 개념을 살펴보았다. 수학활동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단계에서는 새로운 간식메뉴를 작성하고 해바라기반 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의 정도와 유아 수학교육의 발달 특성, 간식시간의 메뉴와 방법 등을 고려하여 총 15회의 활동을 선정하고 조직하였다. 수학교육 활동 실행하기 단계는 소개하기, 전개하기, 평가하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수학교육 활동 전에 이루어진 소개하기 시간에는 간식의 종류와 먹는 방법을 탐색하고 수학활동 방법을 소개하거나 유아의 사전 경험, 또는 수학활동의 결과를 예측해 보는 이야기 나누기가 이루어졌다. 수학교육 활동은 활동의 주제에 따라 집단 간식이나 개별 자유간식의 형태로 융통성 있게 운영되었으며 다양하고 구체적인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해바라기반 유아의 사전 지식을 바탕으로 총 15회의 활동이 전개되었다. 활동 후에는 활동을 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나 느낌, 활동의 결과를 서로 나누고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다. 둘째,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간식 시간을 활용하여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고 체계적인 수학교육 활동을 진행할 수 있었다. 예전에는 깨닫지 못했던 간식시간에 내포된 다양한 수학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해바라기반 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에 대한 사전 지식과 유아 수학교육의 발달 특성, 간식시간의 방법과 메뉴 등을 토대로 수학교육 활동의 내용을 전문적으로 선정하고 조직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아의 발달 특성이 자유롭게 표현된 활동 결과물과 교사저널, 관찰일지 등을 통하여 수학교육 활동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진행과정 중에 연구자는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교사로서 교육 활동의 개념을 확고히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으며 교사 자신의 반성적 사고가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하는데 중요한 자료라는 것을 알았다. 셋째,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는 예전의 간식시간이나 수학학습을 할 때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유아들은 적극적으로 수학적 상황을 탐색하고 해결하였으며 수학적으로 표상하는 능력이 점차 분석적이고 구체적으로 증진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활동 후 실시된 1:1면접 결과 간식시간과 관련된 수학교육 활동은 해바라기반 유아의 오른쪽·왼쪽 구분하기와, 수세기, 수 보존의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 snack time and mathematics activities. Through mathematics activity plann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during an young children snack time, I was able to observe the progress of mathematics activities, the role change of teacher, and the reaction of the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goal,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1) How is the mathematics activity processed during the snack time in sunflower class? (2) What is the role experience of teacher in the mathematics activity process during the snack time? (3) What is the young children reaction in the mathematics activity process during the snack time? In order to begin to answer the basic questions outlined above and to aggregate the data so that questions of engagement can be discussed, thirty-four(34) people five-years old young children and one(1) teacher were selected from Moran. kindergarten in Kyung-Gi Provinc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3/11/2003 to 4/18/2003. During this period, a total of fifteen mathematics activities were planned and conducted. The data collection was accomplished over an 8-week period through videotaping, record keeping,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interviewed data, observed data, video taped data, and the result of activities. During the data analysis, the result of activities and video taped data were mainly used. In addition, observed data, teachers daily notes, and the evaluation of activities were used to enhance th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mathematics activity during the young children snack time was conducted in four steps: 1) Capturing the level of mathematical knowledge of young children in sunflower class; 2) Analyzing previous snack time activities; 3) Planning and organizing the class objectives and curriculum; and 4) Performing the class activities. To capture the infants mathematical knowledge in sunflower class, the face-to-face meetings with the young children and the survey of the parents were conducted utilizing mathematics concept development evaluation tool for young children. During reviewing and analyzing previous snack time step, possible informal mathematics activit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data, the total of fifteen times of mathematical activity curriculums were carefully designed, planned, and organized in considering the content of mathematics activities, the snack menu and time, and method. The mathematics activities were performed in three-step process: I) Introduction; Ⅱ) Proceeding; and Ⅲ) Evaluation. Reviewing snack menu, discussing how to eat snack, deliberating young children previous similar activities, and predicting the result discussion were performed during introduction step. Based on the mathematics activitys objective and the infants knowledge of mathematics in Sunflower class, the total of fifteen times of mathematical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group or private utiliz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fter the mathematic activities, the new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hared among class. Second,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perform systematic and appropriate mathematics activities that enhance young children mathematics knowledge during snack time. While I conducted the study, I discovered many mathematical elements in snack time and was convinced the educational value of utilizing the snack time.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s activities were prepared and organized professionally in considering the level of young children mathematic knowledge and snack menu. The progress of young children mathematical knowledge was evaluated objectively by analyzing the result of study, teachers journal, and observed data.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etting up the goal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as planned and conducted by teacher.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role is important asset when he/she plans and conducts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ird, the study showed that young children were aggressively and pro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s activities than both previous snack time and regular mathematics activity setting. The young children aggressively sought the answer and resolved the problems. The study clearly showed that young children mathematical knowledge was improved analytically and concretely. The one-on-one interview that was conducted with young children after the study,. confirmed the result that it positively influenced to the young children to increase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such as distinguishing left and right, counting numbers, and remembering numb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