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 비교

Title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 비교
Other Title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Caustive and Passive Sentences between Children with Spectific Language Impairment and Mormal Children
Authors
김영진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단순언어장애아동일반아동사동문피동문이해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은 두 세 낱말 조합을 활발히 시작하면서 문법적인 탐색을 시작한다. 한국어는 문법형태소가 풍부한 언어로 조사, 어미, 접사와 같은 문법형태소의 역할이 중요한 언어이다.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와 표현의 발달은 행위자와 대상자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언어발달의 중요한 지표이다. 피동문의 선행연구에서는 5세 이전에는 사동문과 피동문을 혼동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5세와 6세 사이에 활발한 발달이 이루어지고 7세 이후에는 확립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이 만 6세이며 언어연령은 만 5세 수준인 단순언어 장애아동 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간에 (1)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2)문법형태소별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와 표현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3)표현에서 나타나는 기타유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동문의 이해 및 표현문항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문항은 각각 18문항으로 총 72문항이며, 그림 유도과제를 사용하여 이해와 표현을 평가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사동문의 문법형태소는 '-이-', '-히-','-리-', '-기-', '-우-'로 하였으며, 피동문의 문법형태소는 '-이-', '-히-', '-리-', '-기-'로 하였고, 구문론적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소는 제외하였다. 문항들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사건들과 반전가능한 문장으로 구성하였으며 관찰 가능한 동작동사로 하였다. 사동문 및 피동문의 이해능력 검사에서는 한 문항당 네 장의 그림을 제시하여 연구자의 질문에 따라 아동이 그림을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표현능력 검사에서는 한 문항당 한 장의 그림을 제시하여 세 단계의 발화 유도 단계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평가시에 사동문과 피동문의 표현에서 집단별 차이는 적절성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였으며, 사동문과 피동문의 문법형태소별 집단간 차이는 정확성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이해와 표현 모두 정반응시 1점, 오반응이나 무반응시 0점으로 처리하였고, 특히 표현능력 평가에서는 검사자가 제시하는 세 번의 유도단계 중 어느 단계에 대답하더라도 동일하게 1점을 부여하였다.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 및 표현의 집단별 차이와 문법형태소별 차이의 분석은 정반응율에 대한 일원분산분석(ANOVA)으로 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날경우 Tukey 사후검정을 통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평균 생활연령이 6세인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과 언어연령을 5세로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보다 사동문 이해, 사동문 표현, 피동문 이해, 피동문 표현 능력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사동문 이해를 구성하는 문법형태소 발달에서 문법형태소 '-이-'에서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법형태소 '-히-', '-리-', '-기-', '-우-'에서는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사동문 표현을 구성하는 문법형태소 발달에서 문법형태소 '-이-', '-히-', '-리-', '-기-', '-우-'에서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피동문 이해와 피동문 표현을 구성하는 문법형태소 발달에서 문법형태소 '-이', '-히-', '-리-', '-기-'에서 생활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및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기타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에 비해 다양한 동사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타유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은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와 발달 능력은 단순히 지체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상이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동문과 피동문의 이해와 표현의 발달과 문법형태소 사용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단순언어장애아동 집단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is intented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specific linguistic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in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passive sentences and grammatical morphem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ources which were gained by way of examining fifteen children who are six years old, but actually belong to five-year-old children because of language impairment(SLI), another fifteen children of the same ecological age(N-CA), and other fifteen unhandicapped children who belongs to the five-year-old unhandicapped(N-LA). The ability concerning understanding of causative and passive sentences and oral expression of them was respectively put into the test by means of the seventy two sample sentences. In the comprehension test, I asked the children to select one among four pictures, and for the test of expressive ability, they were additionally required of oral description of the picture. The outcomes of the study were analyzed in terms of ANOVA system(one-way ANOVA frequencies analysis), by means of which the following were obtained as conclusion:(l) In above-mentioned test for measuring the competence in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causative and passive sentences, the children with 'SLI' proved to be inferior to the normal children(i.e. 'N-CA,' and 'N-LA') (2)In particular, in comprehension of causative senten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LI' and 'N-CA' were founded out in the grammatical morphemes of "yi." Besides, in grammatical morphemes such as "hee", "li", "gi", ''woo," SLI is distinguished from both 'N-CA and 'N-LA.' (3) Regarding the ability to express causative sentenc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LI and normal children(i.e. 'N-CA' and 'N-LA) were unearthed in the grammatical morphemes like "yi", "hee", "li", "gi", "woo". (4) As far as the test for measuring the ability to comprehend and express passive sentences is concerned, 'SLI' turned out to be underdeveloped especially in understanding and presenting the grammatical morphemes such as "yi", "hee", "li", "gi" compared with 'N-CA' and 'N-LA.' (5) Equally in other questions related to the test fo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a variety of verbs, 'SLI' made more particular errors than normal children. In conclusion, the children with 'SLI' is underdeveloped in the ability to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causative and passive transformation in usage of verbs and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by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the grammatical morphemes for causative and passive transformation in expression is very effective in evaluating the features of the children with 'SLI' and thus can offer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ir impair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