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Title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Awareness of the Chiefs and Teachers of Accredited Daycare Centers about the Accrediting System
Authors
금미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hiefs and teachers of daycare centers in Gangweon province that came up to the standard of the accrediting system introduced in 2006 perceived that system in an attempt to help ensure the success of i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is the view of the chiefs and teachers of daycare centers about the accrediting system? 2. What is the opinion of the chiefs and teachers of daycare centers on making preparations for being accredited? 3. What is the outlook of the chiefs and teachers of daycare centers on the indices of the accrediting system in seven categories? 4.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chiefs and teachers of daycare centers on the accrediting system after being accredited? 5. What difficulties do they face during the accrediting procedure? What reform measures do they sugges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4 chiefs and 207 teachers in 44 daycare centers located in Gangweon province. Out of 48 local daycare centers that were accredited in 2006, 44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 how the chiefs and teachers looked at the accrediting system after their daycare centers were accredited, and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included 54 item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was approved by an expe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data handling,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nd out about a pervasive trend in their views, and t-test and Χ²-test were carried out to track any possible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a view of the accrediting system,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chiefs and of the teachers, as most of the chiefs were well aware of it while the teachers didn't know well about it in advance. They viewed it favorably since they found that to b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s. Moreover, they felt that being accredited served to enhance their daycare centers in quality, and they were consequently willing to advise other daycare centers to be accredited. They required financial aid the most, but the two groups had a different opinion on that. The chiefs called for a subsidy for operating cost, whereas the teachers asked for bonus for accredited teachers. Second, as for outlook o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being accredited, they had a high opinion on getting a chance to take advantage of a daycare information center as an adviser and on that system's on-the- spot observation method, accrediting method and accrediting results. They didn't took a quite positive view of the three-year validity of the accrediting results. They thought they had worked for 12 or more hours a day, and the teachers found themselves to work harder than the chiefs. Heavy workload was cited by the chiefs as what gave them a hard time the most, followed by insufficient finance and overtime work, and the teachers pointed out heavy workload, followed by overtime work and poor understanding of the accrediting system. They weren't fully explained about nor motivated by that system, and both groups found it hard to make a self-examination. In addition, the chiefs faced financial pressure. Thu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concerning opinions on the accrediting indices, both groups believed that daycare environments were most closely bound up with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s. But the chiefs thought that daycare process had the second closest relationship to the quality of daycare services, whereas the teachers gave the second most weight to interaction. Being helped by experts was considered to be most helpful. Fourth,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being accredited,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at in general. They felt that the quality of daycare got better in every category, and that the daycare centers were systemized. There was the best progress in the category of health and nutrition, but not much in the category of management. Both groups didn't think the accredited daycare centers were fully publicized. Fifth, heavy workload put the most strain on them while they got ready to be accredited. As to a way of remedying the situation, they felt that more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to the chiefs and teachers of accredited daycare centers.;본 연구의 목적은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서 평가인증을 받고 인증 통과한 강원도 지역의 시설을 대상으로, 평가인증에 대한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평가인증의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준비과정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평가인증지표(7개 영역)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보육시설 평가인증 이후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5.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서 어려움과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기관 중 2006년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통과한 총 48개소의 보육시설 중 44개소가 연구에 참여하여 시설장 44명과 보육교사 207명이다. 연구도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 후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질문지의 응답 문항 수는 총 5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아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검정과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시설장은 평가인증제에 대하여 참여설명회 전에 이미 잘 알고 있는 반면 보육교사는 사전에 충분히 알지 못했다고 인식하여 차이가 있었다. 평가인증제도가 보육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제도이며, 인증 이후 보육시설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른 시설에 권할 의향이 있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재정지원이 가장 필요하며, 시설장은 ‘평가인증 받은 시설에 운영비 지원’ 보육교사는 ‘평가인증을 받은 교사에 대한 성과급 지원’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평가인증 준비과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조력기구로 보육정보센터 활용하는 것’, ‘현장관찰 방법’, ‘인증결정 방법’, ‘평가인증 결과’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으로 찬성하였으나, ‘평가인증 통과 유효기간은 3년으로 하는 것’에 대하여 모두 보통이하라고 인식하였다. 하루 평균 12시간 이상 근무하며, 보육교사는 시설장보다 더 많이 일하였다고 인식하여 차이가 있었다. 가장 힘들었던 점에 대하여 시설장은 ‘과중한 업무’, ‘재정의 부족’, ‘시간외 초과근무가 많아서’, 보육교사는 ‘과중한 업무’, ‘시간외 초과근무’, ‘평가인증 이해의 부족’ 순으로 차이가 있었다. 참여 설명회를 통해 평가인증에 대하여 충분한 이해와 동기부여를 받지 못하였으며, 두 집단 모두 자체점검과정이 대체적으로 어려웠으며, 시설장은 비용 부담의 어려움도 느껴 차이가 있었다. 셋째, 평가인증지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보육의 질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영역은 두 집단 모두 보육환경을 1순위로 보았다. 다음으로 시설장은 보육과정을 보육교사는 상호작용을 우선으로 인식하여 차이가 있었으며, 전문가에 의한 직접 조력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평가인증 이후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대체로 모든 영역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질이 향상되었고 체계가 생겼으며, ‘건강과 영양’ 영역이 가장 높았고 ‘운영관리’영역은 평균보다 낮았으며, 두 집단 모두 인증 통과 시설의 홍보가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과중한 업무가’ 가장 큰 어려움 이였으며, 개선방안은 평가인증을 받은 시설장과 보육교사에게 ‘인센티브 지원’이라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시설장은 ‘시설 개보수비 지원’을 보육교사는 ‘문서(서류)의 간소화’를 요구하여 시설장과 보육교사 간에 차이를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