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0 Download: 0

배려윤리의 내러티브(narrative) 접근법

Title
배려윤리의 내러티브(narrative) 접근법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arrative Approach to an Ethic of Care
Authors
박미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남경희
Abstract
본 연구는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전개 과정과 통합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두 이론의 통합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살펴보고, 배려 윤리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내러티브(narrative) 접근법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의의를 도출해 보고자 한 것이다. 1950년대 말 콜버그(L. Kohlberg)가 처음 제창한 이 후 정의 윤리는 도덕 교육의 주류의 위치를 차지해 왔다. 콜버그의 인지 발달적 도덕 교육은 자율적인 도덕 주체가 인지 추론 능력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발달 단계를 밟아 도덕성을 발전시켜나간다고 가정한다. 1980년대 초 길리건(C. Gilligan)과 나딩스(N. Noddings) 등의 페미니스트들은 정의 도덕성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였다. 길리건은 정의 윤리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며 이에 대한 보완적 도덕 체계로서 배려 윤리를 주장하였다. 길리건에 의하면 도덕성에는 두 의미가 있고 그 두 의미에 해당하는 두 유형의 딜레마가 있으며 남성의 특성과 경험을 반영하는 정의의 도덕성과 여성의 특성과 경험을 반영하는 배려의 도덕성이 있다는 것이다. 나딩스는 배려를 근거로 한 도덕 판단 형태를 정당화한 길리건의 이론을 윤리학과 도덕 교육에 접목시켜 윤리학적 관점에서 배려윤리를 전개하고 있다. 나딩스는 배려 윤리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법으로 대화와 모범, 배려의 실천과 확언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도덕 교육은 도덕성 함양이라는 최종 목적을 향한 체계적인 노력의 과정이다. 성숙한 도덕적 판단과 행위를 위해서는 배려와 정의가 통합된 ‘정의적 배려’, ‘배려적 정의’가 요구된다. 배려 윤리학자들은 명제적 양식과 내러티브적 양식이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도덕교육 방법으로서 내러티브적 접근은 내러티브가 인간 생활과 도덕 경험에서 가지는 의의에 대한 새로운 조망으로부터 기인한다. 인간은 이야기를 하는 동물이며 인간의 삶과 행위는 이야기를 통해서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도덕적 가치 선택이나 판단이 개입되는 도덕 경험에 대해서도 당사자의 회고적 도덕 이야기를 통해서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도덕 경험에 관계된 이야기 속에는 도덕성의 영역인 인지·정의·행위적 요소가 통합되어 들어있기 때문이다. 도덕 교육 방법으로서 내러티브 접근법은 대화적 자아관, 내러티브적 사고, 길리건의 관계적 도덕성 연구 성과를 세 가지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내러티브 접근법은 기본 원리로서 도덕적 지향의 차이성을 인정하고, 실생활의 도덕 경험을 중시하며, 도덕적 경험의 형성 기반인 사회·문화적 요소를 강조한다. 내러티브 접근법이 교수학습의 원칙으로 삼고 있는 것은 이야기하기(story-telling)이다. 도덕 교육에 있어 학생들에게 자신들의 도덕 이야기를 말하도록 격려할 때 학생들은 자신의 도덕적 이야기의 저자로서 자신의 고유한 도덕적 권위를 형성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내러티브 접근법은 학생들의 다양한 실제 도덕 경험을 반성적으로 성찰할 수 있도록 현행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 방법을 확대시킬 것을 요구한다. 도덕 발달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법은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 감정, 행동에 대해 책임감과 권위를 가지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도덕 교육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있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approach of Justice ethics and Care ethics by reviewing the debate on the comprehensiveness of these two ethics as well as their development. I also tried to point out how the narrative approach can contribute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are ethics in classroom. Since the late 1950s when L. Kohlberg proposed Justice ethics as a cognitive moral education theory for the first time, Justice ethics has been at the position of a mainstream theory in moral education. Kohlbergian cognitive moral development theory assumes autonomous moral subject who can develop the morality accordant with his or her congnitive reasoning ablility invariant development sequence. Feminists such as C. Gilligan, N. Noddings opposed to ethics of justice in the early 1980s. C. Gilligan proposed Care ethics, which was approaching morality based on emotion, as a moral education theory supplementary to Justice ethics by pointing out the problem and limit of Justice ethics. According to C. Gilligan, morality has two meanings, which are two types of dilemmas - justice that reflects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man and care that reflects those of woman. N. Noddings articulates the ethics of care by integrating C. Gilligan's theory that justified Moral Judgement method based on care with ethics and moral education. N. Noddings proposed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that are composed of dialogue, modeling, practice and confirmation to apply Care ethics. Moral education is a systematic process aimed at developing morality. Mature moral judgment and behaviors take ''just care'' or ''justice of care'' that integrates care and justice. In moral education, cognition and emotion should be organically connected and should be turned into moral behaviors. Ethicists of care make much of the need that narrative style should be complementarily utilized along with propositional style. The narrative approach as a method of moral education has originated from new insights to the meaning a narrative has in human life and moral experience. Human beings are animals that tell stories, and human life and behaviors can be understood only through stories. Likewise, in the moral experience that involves selection of moral values and moral judgment, one''s stories from recollection can only initiate true understanding. It is because there are aspects of morality such as cognition, justice and behaviors in the stories related to moral experienc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has three major theoretical background as follows; dialogical self, narrative thinking, relational moral orientation which is discovered by C. Gilligan's study. The basic principles of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have three elements; the differences of moral orientation, the importance of language and culture, hermeneutics which is used to interpret moral experience. The most fundamental teaching methods of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s story-telling. When students are encouraged to tell their moral stories in moral education, they can have opportunities to form and develop their own moral authority as authors of their own stories.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requires the aim,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moral education to be expended to have students reflect real life moral experiences. Th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has significance in moral education as a way to equip students with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