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우석-
dc.creator신우석-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4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53-
dc.description.abstractIn this them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sent science teacher's guide amended by the fifth curriculum reform and former science teacher's guid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cusing on systems and content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dmirable teacher's guide model and improvemental points of middle school biology curriculu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The science teacher's guide of the middle school in Korea is composed of elements and detailed expositions. The former deals with the general aspects of science, while the latter deals with the detailed instructions. Especially, the contents in the elements of the Guide A are the most diverse and abundant than the others. 2. Detailed exposi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are consisted of four fields - Physics, Biology, Chemistry and Geology. Biological field is more emphasized than the others but the quantity of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is more less than the former teacher's guide. 3. Each of them , present five kinds of teacher's guide, has own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contents explanation, supplementary drills, consultant literatures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audio - visual materials of each guide make more efficient teaching guidelines. 4. As the contents and themes were edited o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for the 3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they were Much the same. 5. Every guides has various pictures and some dissimilarities are found in names and expressions or picture itself. 6. Most of reference data are coincident with objects of guides but there are no coincident-points because of diversity. Present guides are generally less abundant in reference data than former guide, and Guide A is least.;본 연구에서는 일선 교사들에게 탐구학습으로서의 방향 지침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지도서의 모형을 얻고 나아가 중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개선 자료를 얻는데 목적을 두고 1987년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현행 중학교 3학년 과학 교사용 지도서 5중 5권의 내용과 문교부 발행 종전 과학교사용 지도서 1종 1권의 내용을 검토하여 체제면과 학습 내용면에 중점을 두어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는 총론과 각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 교과서를 다루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배경은 총론에서 다루고, 구체적인 지도사항은 각론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총론에서 다룬 항목 및 내용은 A지도서가 가장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의 각론은 물리, 생물, 화학, 지학의 4영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생물영역은 2개의 대단원으로 구성되어 여러 관점의 분석결과 타영역에 비해 대체로 비중이 높았으나 실험 및 관찰의 빈도는 종전 지도서보다 낮게 나타났다. 3. 현행 5종 지도서는 각 지도서 나름대로 특색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종전 지도서에 비해 총괄평가의 예로 중단원별로 학습평가 문제를 제시하고 있고, 읽을거리에 대한 해설 및 보충.선택학습을 다루고 있으며 학생과 교사를 위한 참고도서 및 시청각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4. 생물영역의 학습내용 및 주제는 중학교 3학년 생물교육과정에 의해 편집되었으므로 현행과 종전지도서에서 거의 획일적인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학습내용면에 있어 큰 차이는 없었다. 5. 생물영역에서 다루어진 그림을 분석해보면 교과서와 중복되는 그림은 없으며 각 지도서마다 공통된 그림을 다룬 경우에는 명칭이나 그림 자체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용어표기에 있어서도 다소 차이가 발견되었다. 6. 참고자료에 대한 내용은 각 지도서마다 주어진 학습목표 및 학습주제에 충실하였으나 그 내용들이 다양하여 지도서간에 공통성이 별로 없었다. 몇몇 지도서는 학습내용과 참고자료의 뚜렷한 구분이 없어 참고자료여야 할 내용들이 학습내용 해설면에서 다루어지기도 했다. 현행 지도서는 종전지도서에 비해 참고자료의 내용이 풍부하지 못한 편이며 A지도서가 가장 적게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 3 A. 연구 자료 = 3 B. 연구 방법 = 4 Ⅲ. 연구 결과 = 5 A. 중학교 3학년 과학 교사용 지도서의 영역별 비교 분석 = 5 1. 총론 비교 = 5 2. 각론의 영역별 분석 = 7 3. 생물 영역의 내용 분석 = 15 B. 생물영역 학습 내용면에 대한 비교 분석 = 22 1. 교과서와 지도서간의 학습 주제별 강조도 비교 = 22 2. 대단원 「생명의 연속성」의 학습내용 분석 = 33 3. 대단원 「자연환경과 우리생활」의 학습내용 분석 = 44 4. 참고자료의 분석 = 48 Ⅳ. 논의 = 56 Ⅴ. 결론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03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과학 교사용 지도서-
dc.subject생물영역-
dc.subject생물교육-
dc.title현행 중학교 3학년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물영역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study about differentiate on the new biology teacher's guides of the middle school in Korea-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