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하-
dc.creator박정하-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3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7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4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factors positively which have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for physically handicapped and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suggestion of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any difference amo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in terms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of their job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o do so, the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by Wayne A. Chess, a researcher in the Center for Social Work Research, University of Oklahoma, America, to study the job satisfaction and stress of American professional social workers is employed, It is distributed to and made out through a Self Administrative Method by 330 special teachers (131 teachers for the sensory paralysed students, 68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131 for the mentally retarded) of the special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The data a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s Package and their Factor Analysis is carried with regard to the six top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 Job Dimension, (b) Social Support, (c) Stress, (d) Mental Health, (e) Job facets, and (f) Emotional Burnout. And, finally, factor scores calculated for each factor are undergone the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in order to verify that the special teachers have any difference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e questions of their job satisfaction, 5.7% (19) say 'very satisfied,' 38.0% (125) 'more or less satisfied,' 41.0% (135) 'satisfied,' 12.3% (41) 'more or less unsatisfied,' and 1.2 % ( 4 ) 'very unsatisfied'. As 43.7% (144) and 13.5% (45) say 'more or less satisfied' and 'more or less unsatisfied' respectively, it is discovered that more teachers in Seoul se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alyzing the six top factors for j o b satisfaction shows as follows: First, two j o b attitudes, 'autonomous' and 'passive', are discovered in analyzing the "Job Dimension" factors. Second, two kinds of emotional supports from their 'associates' and from the 'administrative director' are revealed in analyzing the "Social Support" factors. Third, the "Job Facets" factors are turned out to be 'challenge spirit, ' 'promotion opportunity, ' 'comfort,' and 'rewards'. Four, The factors of "Mental Health" are 'psycholgical depression,' 'somatic complaints,' and 'irritablity'. Five, the factors of "Stress" are discovered to be from 'workload,'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Finally, 'Emotional Burnout' results from both factors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After these analyses, factor scores are calculated for each factor, which in turn are carried out the ANOVA with regard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 o r their "Job Dimension", it is revealed that while more satisfied they are as a special teacher, more autonoumous they are, more unsatisfied they are, less positive they are. Second, when it comes to "social support", the group which is satisfied with job receives more support from associates and/or administrative director than the group which is not. Third, in their "Job Facets" the group which is satisfied with job as a special teacher has a positive challenge attitude and regards the promotion opportunity as being fair comparing to the group which is not. The 'comfort' and 'rewards' for them, however, are discovered not to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Four, the analyze of "Stress" tells that more overload and/or more ambiguous their jobs are, more stress they get. Five, the result of "Mental Health" analysis shows that the teachers for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are more likely to have severe nervousness than those for the sensory paralysed and the teachers who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s do than those who are. Six, for "Emotional Burnout", the personal accomplishment is higher in those who either have more career as special teachers or show more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whereas the emotional burnout is relatively severer to the teachers for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an thos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As those findings suggest generally, it should be noted for them to be able to satisfied with their jobs that they themselves should be more autonomous in and positive for their jobs,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special school, i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very administrative problem should be improved and solved, and. more important, all the natio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ir education.;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 학교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 직무 만족 및 불만족 요인, 직무 만족/불만족 요인별 특수 교사들의 인구 통계학적인 특성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특수 교사들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직무 만족을 제고시킬수 있는 제반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오클라호마 대학 부설 사회사업연구소(Center for Social Work Research, University of Oklahoma)의 Wayne A. Chess가 미국 전문 사회 봉사자들의 직무 만족도와 스트레스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서울 및 인천 소재 특수 학교에 재직중인 특수 교사 330명(감각 장애 : 131명, 지체 장애 : 68명, 정신 지체 : 131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방법 (Self Administrative Method)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직무 만족의 6가지 상위 요인인 (가) 직무 태도(Job Dimension) (나)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 (다) 스트레스(Stress) (라) 정신 건강(Mental Health) (마) 직무 환경(Job Facets) (바) 정서적 탈진(Burnout) 별로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각 요인별로 요인 점수를 산출하여 특수 교사들의 인구 통계학적인 변인별로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 변량 분석(One way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특수 교사로서 자신의 직무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 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매우 만족' 5.7%(19명), '약간 만족' 38.0%(125명), '보통' 41.0%(135명), '약간 불만족' 12.3%(41명), '매우 불만족' 1.2%(4명)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체로 만족한다'는 특수 교사가 43.7%(144명), '대체로 불만족스럽다'는 특수 교사가 13.5%(45명)로 서울 소재 특수 학교 교사들은 자신의 직무에 대하여 만족스럽게 생각하는 응답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직무 만족의 6가지 상위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직무 태도(Job Dimension)"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자율적인(Autonomous) 직무 태도'와 '소극적인(Passive) 직무 태도'의 두가지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동료의 정서적 지원(Emotional Support)'과 '행정지도자의 정서적 지원(Emotional Support)'의 두가지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추출되었다. 셋째, "직무 환경(Job Facets)"은 '도전 의식(Challenge)', '승진기획(Promotion)', '편안감(Comfort)', '보수(Rewards)'의 네가지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추출되었다. 넷째, "정신 건강(Mental Health)"은 '심리적 위측(Depression)', '신체 이상(Somatic Complaints)', '신경 과민(Irritablity)' 등 세가지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추출되었으며, 다섯째, "스트레스(Stress)"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과중한 업무(Workload)', '애매한 역할(Role Ambiguity)', '역할 갈등(Role Conflict)'의 세가지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추출되었다. 여섯째, "정서적 탈진(Burnout)"애 대한 요인 분석 결과, '개인적 성취감(Personal Accomplishment)', '정서적 탈진상태 (Emotional Exhaustion)'의 두가지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추출되었다. 요인 분석 후 각 요인별 요인 점수(Factor Score)를 산출하여 특수 교사들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별로 일원 변량 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직무 태도(Job Dimension)"에 있어서 특수 교사로서 직무에 만족할수록 더 자율적인 반면, 직무에 불만족할수록 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에 있 어서는 직무 만족 집단이 불만족 집단에 비해 동료 및 행정지도자의 정서적 지원을 더 많이 받으며, 셋째, "직무 환경(Job facets)"에 있어서는 특수 교사로서의 직무에 만족할수록 도전의식이 더 강하며, 승진기회에 대해 공평하다고 느끼고 있는 반면, '편안감(Comfort)', '보수(Rewards)'에 있어서는 직무 만족/불만족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Stress)"에 있어서는 업무량이 과중하거나 그 역할이 애매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신 건강(Mental Health)"에 있어서는 정신지체 담당 교사가 감각장애 교사에 비해 신경적인 과민 증세가 더 심하고, 특수 교사로서 직무에 만족도가 낮을수록 더 과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서적 탈진(Burnout)"에 있어서는 특수 교사로서 경력이 많을수록 개인적 성취감이 더 크며, 직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개인적 성취감이 더 큰 반면, 정신지체 담당교사가 감각장애(시청각) 또는 지체장애에 비해 정서적인 탈진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수 교사로서 직무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직무에 대해 보다 자율적이고 적극적이어야 하며, 아울러 특수 학교의 교육 근무 여건, 교육 환경, 그리고 행정적인 제반 문제들이 보다 개선되어야 하며, 나아가 특수 아동 및 특수 교육에 대한 전국민적인 관심이 증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문제 설정 = 2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한계 및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직무 만족에 대한 개념 정의 = 6 B. 직무 만족 요인 = 7 1. 직무 태도 = 9 2. 사회적 지원 (Social Support) = 10 3. 직무 환경에 대한 인식 = 12 4. 정서적 긴장 (Stress) = 14 5. 정신건강 (Nental Health) = 22 6. 정서적 탈진 (Burnout) = 22 Ⅲ. 연구 방법 = 28 A. 연구 대상 = 28 B. 측정 도구 = 28 C. 검사 절차 및 채점 = 31 D. 자료 처리 방법 = 31 Ⅳ. 연구 결과 = 32 A. 특수 교사들의 직무 만족 분석 = 32 B. 직무 만족에 대한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 35 C. 우리나라 특수 교육 발전을 위한 의견 = 59 Ⅴ. 논의 및 제언 = 62 A. 논의 = 62 B. 제언 = 65 참고문헌 = 66 부록 = 71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86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특수 교사-
dc.subject직무 만족-
dc.subjectSPECIAL TEACHER-
dc.title특수 교사들의 직무 만족에 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지역 특수 교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PECIAL TEACHER'S JOB SATISFACTIO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