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음절훈련과 낱말훈련이 청각장애아의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Title
음절훈련과 낱말훈련이 청각장애아의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Authors
金亨淑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음절훈련낱말훈련청각장애아조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음절훈련과 낱말훈련이, 청력손실도가 높은 청각장애아의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청각장애아에게 의미없는 음절과 의미있는 낱말을 훈련자극제로 사용해서 조음훈련을 실시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파열음 /ㅂ/,/ㄷ/,/ㄱ/과 파찰음 /ㅈ/과 마찰음 /ㅅ/의 음소를 모방 산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난이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의 검증에 사용한 통계적 방법은 t검증이며 여기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열음 /ㅂ/, /ㄷ/, /ㄱ/과 파찰음 /ㅈ/ 그리고 마찰음 /ㅅ/을 모방해서 조음산출 하는데 있어서 음절훈련 집단과 낱말훈련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음절훈련 집단과 낱말훈련 집단간에는 실험음소를 모방해서 조음산출하는데 있어서의 난이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평균치로 볼 때는 의미있게 나타났다. 집단별 평균치는 음절훈련 집단이 87.81이고 낱말훈련 집단은 91.96이다. 즉 낱말훈련 집단이 음절훈련 집단보다 4.15점 높다. 또 각 음소별 모방 조음산출의 난이도 순서를 보면 다음과 같다:음절훈련 집단은 가장 점수가 높은 /ㅂ/에서 부터 /ㄷ/→/ㅈ/→/ㅅ/→/ㄱ/의 순으로 나타났고, 낱말훈련 집단은 /ㄷ/이 가장 점수가 높고 그 다음 /ㅂ/→/ㅅ/→/ㅈ/→/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아의 경우에 있어서 음소 /ㄱ/이 두 집단 모두가 모방 조음산출하는데 가장 어려웠고, /ㅂ/·/ㄷ/ 음소가 가장 쉬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정상아의 음운발달순서는 3세이전에 /ㅁ/·/ㅂ/→/ㄷ/·/ㄱ/ 서열로 획득되며, 4세초기에 /ㅈ/이, 5세초기에 /ㅅ/이 각각 획득된다. 이러한 사실을 전제로 청각장애아를 위한 언어훈련이 실시될 때 보다 더 바람직한 교육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자는 언어교육을 시킴에 있어서 정상아의 언어발달순서 및 과정을 이해하는 동시에 청각장애아의 청력손실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시각적으로 모방산출하기 쉬운것 부터 단계적으로 어려운 것을 훈련시키는 것이 보다 나은 교육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cate the efficacy of speech training using non-meaningful syllables and meaningful words among profoundly hearing-impaired children. Ten children were trained using non-meaningful syllables while the other ten children were trained using meaningful words. The subjects ha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rincurred prelingually with unaided hearing of 80dB or greater in the better ear averaged over the frequencies 500HZ, 1000H2, and 2000HZ ( ISO ). The Training involved direct imitation by the subject of training stimuli presented orally by the experimenter. Subjects were given auditory and visual cues during stimuli presentation, but no manual signs were given. For the syllable training, the experimenter presented on oral model of the subject's training phoneme in the initial position in a syllable stimulus. For the word training, the experimenter presented an oral model of the subject's training phoneme in the initial position in a word stimulus and the appropriate picture car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test was us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or both groups, corect imitative production of trained phonemes showed an improvement. Bu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improvement were not evident. In the articulation of stops /ㅂ/,/ㄷ/,/ㄱ/ and Affricative /ㅈ/ and Fricative/ㅅ/,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a meaningful improvement in each phoneme was found. That is, the mean of the gain in correct imitative production in the word training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in the syllable training group. In conclusion, training in syllable and word among the hearing impaired improved the imitative production of target phoneme in trained contex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improving the articulation of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one is better off to use the two methods combin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