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희-
dc.creator이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43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1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182-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to extract the corelation between perspective taking and Moral judgment, and further, it is aimed at find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developing tendencies accompanied by variable factors with distinction of sex. The questions of this study for these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is there a static corelation between perspective taking and moral judgment of children? Secondly, is there any difference on the perpective taking with regard to distinction of age and sex? The subjects for the study are 60 in numbers of 5, 6 years old, who attend D Kindergarten with their parental status of middle class home Level. The survey instruments of perspective taking as the three tasks of perspective taking by Kurdek and Rodgen.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instruments of moral judgment have been applied through the four divisional cases on the moral judgment of Hebble-good intention-little loss , good intention-much loss, bad intention-little loss and bad intention-much loss. The data of the studies result have been revealed to obtain coefficient of probability of Pearson for finding out the corelation between perspective taking and moral judgment, and analized binary dualistic variable quanti ies to investigate the dissimilarities by variable factors of age and sex for perspective taking and moral judgment .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exists a statically significant corelation by only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and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between perspective taking and moral judgment, not by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2. The corelation between perspective takings is found to below. The corelation between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and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is revealed as the highest with static significant relation. 3. Only the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exposed an intentional difference in perspective taking and variable factors by age and sex. The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showed a deliberate differ-once in the variable factors by age and sex. The emotional perspective taking has no difference accompanied by age and sex. Therefore, it may by judged that only the perceptual perspective taking and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is tended to be developing as age increases. Since there is no difference of variable factors by sex between cognitive perspective taking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it may also come to judgment that no sex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above corelation. Therefore, it may be observed that the levels of moral judgment are bound to be enhanced as age grows.;본 연구는 조망수용능력과 도덕적 판단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고, 나이와 성별 변인데 따른 조망수용능력과 도덕판단력의 발달경향을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도덕적 판단력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조망수용능력과 성별과 관계가 있는가? 연구대상 유아들은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D유치원의 5·6세 원아 60명이었다. 이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중류인 가정의 아동들이다. 조망수용능력의 측정도구로는 Kurdek과 Rodgon의 3가지 조망수용과 제인 지각조망검사, 인지조망검사, 감정조망검사를 사용하였고, 도덕적 판단력의 측정도구로는 Hebble의 도덕성 판단을 위한 4개의 사태에 준하여 구분한 좋은의도-적은손실, 좋은의도-많은손실, 나쁜의도-적은손실, 나쁜의도-많은손실의 4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검사결과로 얻어진 자료는 조망수용능력과 도덕판단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내었고, 조망수용능력과 도덕판단력의 각각 나이와 성별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망수용능력과 도덕적 판단력 간에는 지각적 조망수용능력과 인지적 조망수용능력만이 정적으로 의의있는 상관을 나타내었고, 감정적 조망수용능력은 도덕적 판단력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조망수용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는 낮았다. 지각적 수용수용능력과 인지적 조망수용능력 간에만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의의있는 관계로 나타났다. 3. 조망수용능력과 나이·성별 변인에서 지각적 조망수용능력만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인지적 조망수용능력은 나이변인에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감정적 조망수용능력은 나이·성별 변인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지각적 조망수용능력과 인지적 조망수용능력만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 인지적 조망수용능력과 감정적 조망수용능력 간에는 성별변인의 차이가 없으므로 이 두 조망수용능력간의 성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1 Ⅰ. 서론 = 3 A. 연구의 필요성 = 3 B. 연구의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조망수용 (perspective taking) = 7 1. 지각적 조망수용 = 9 2. 인지조망수용 = 13 3. 감정조망수용 = 17 B. 도덕성 = 23 1. 도덕성의 개념 = 23 2. 도덕성과 아동 = 31 Ⅲ. 연구방법 = 36 A. 대상 = 36 B. 연구도구 = 36 1. 조망수용검사도구 = 36 가. 지각조망수용검사도구 = 37 나. 인지조망수용검사도구 = 38 다. 감정조망수용검사도구 = 39 2. 도덕적 판단력 측정도구 = 40 C. 연구 절차 = 42 1. 예비검사 = 42 2. 본검사 = 42 가. 조망수용검사 = 42 (1) 지각조망수용 = 43 (2) 인지조망검사 = 43 (3) 감정조망검사 = 44 나. 도덕적 판단력 측정 = 45 D. 자료처리 = 45 Ⅳ. 결과 및 해석 = 46 A. 조망수용능력과 도덕판단과의 관계 = 46 B. 3가지 조망수용능력의 상호관계 = 46 C. 3가지 조망수용능력과 나이와 성별변인간의 차이 = 47 Ⅴ. 논의 및 결론 = 50 A. 논의 = 50 B.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9 부록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7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조망수용능력-
dc.subject도덕판단력-
dc.subject유아교육-
dc.title5·6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도덕판단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relational study on perspective taking and moral judgment of 5-6 years old children-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