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姜仁順-
dc.creator姜仁順-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7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6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3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iming at finding the outcome of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to search how much the students who have finished middle school in the area of education of appreciation had achieved the objective described in the curriculum.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347 freshmen who had been sampled randomly from new students in boys high school and girls high school in Chonju. Musical environment, the attitude of appreciation of music, the interests in appreciation of music of those students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as method of study. The writer had measured ability of appreciation through record-test and writing-test, and the data were processed by computer.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 1.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i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city students and rural students by means of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musical environment, the attitude of appreciation of music, and the interests of appreciation of music. 2. Appreciation of music was measured in the real educational situation by means of record-test, and the correlation of appreciation and musical environment, the attitude of appreciation, interests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city and country. 3. The achievement was measured by means of writing-test, and the correlation of the achievement and musical environment, the attitude of appreciation, interest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city and countr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 1. In terms of musical environment, the attitude of appreciation, the interest of appreciation, female students are superior to male students, and students from city are superior to those from rural areas thanks to better environment and have more interest than those from rural area. Such facts show us that the teachers in the educational real situation must teach students purposefully for the purpose of equilibr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 that there may be no gap of male and female, city and country. 2. In the appreciation test by means of record-test, the ratio of right answers of male and female is almost in the same level : therefore it is not easy to find the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In the comparison of students from city and those from rural areas, students from city showed us comparatively high ratio of right answers but not meaningful difference. There was not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of appreciation by recording, musical environment, attitude of appreciation. In the correlation of appreciation by recording and the interest of appreciation, a very meaningful correlation was found. Such a fact makes one think that we teachers must let students enjoy music in daily life, often listen to music and let music be a part of themselves. 3. In the appreciation test by means of writing- test, female students showed us a relatively better ratio of right answers than that of male students, but generally speaking, their levels were low. This told us that evaluation of emotional aspect should be emphasized more than expression of intellectural knowledge in appreciation of music. In the comparison of students from city and those from rural areas, male and female, a very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 therefore I think that the equalized education of appreciation is required in the actual place. It is not found that writing-test is correlated meaningfully with the attitude of appreciation, the interest of appreciation but the education of appreciation of music must be performed actually and experientially since writing test shared a fair meaningful relation with musical environment. Since the education of appreciation in education of music is emphasized in the emotional aspect, more standarized evaluating tools that can satisfy this objective should be developed, and in order to remove the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city and country, teachers should form better balanced musical environment, and the equalized education of music that we teachers can use sufficiently should be formed, too.;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음악 교육의 일환인 감상 교육 영역에서 중학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교육 과정에서 요구하고 있는 목표에 얼마나 도달되었는가를 살펴본 감상 교육의 성과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전주시내 남. 녀고등학교 학생중 1986학년도 신입생 347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질문지를 통하여 음악적 환경, 음악 감상 태도, 음악 감상 흥미를 분석·고찰 하였고, 녹음 test와 지필 test를 통하여 감상력을 측정하였다. 추출된 자료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음악적 환경, 음악 감상 태도, 음악 감상에 대한 흥미를 분석·고찰하여 남학생과 여학생, 도시 출신과 농촌 출신간의 차를 비교 하였다. 2. 녹음 test를 통하여 실지 음악 감상력을 측정하고, 음악적 환경, 감상 태도, 흥미와의 관계를 남. 녀별, 도시. 농촌 출신별로 비교 고찰 하였다. 3. 지필 test를 통하여 목표 달성도를 측정하고, 음악적 환경, 감상 태도, 흥미와의 관계를 남. 녀별, 도시. 농촌 출신별로 비교 고찰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음악적 환경, 감상 태도, 감상 흥미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농촌출신 보다는 도시 출신이 보다 좋은 환경, 높은 관심을 나타내어, 음악 교육의 교육적 환경의 평준화와 남. 녀간, 도시. 농촌간의 격차없는 현장 교사들의 관심있는 지도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녹음 test를 통한 감상력 test에서는 남. 녀간 정답율이 거의 같은 수준으로 남. 녀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도시. 농촌 출신간의 비교에서는 도시 출신이 비교적 높은 정답율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녹음 감상력과 음악적 환경, 감상 태도와의 관계에서도 의미있는 차가 보이지 않았다. 녹음 감상력과 감상 흥미와의 관계에서는 매우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평상시 음악을 가까이 하고 자주 들으며 일상 생활속에서 음악의 생활화가 되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겠다고 생각된다. 3. 지필 test를 통한 감상력 test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비교적 높은 정답율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는 낮은 결과를 보여 음악 감상력은 지적인 지식의 표출보다 정의적인 측면의 평가가 강조되어야겠다. 남. 녀간 도시. 농촌 출신간의 비교에서는 퍽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평준화된 감상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지필 test가 감상 태도, 감상 흥미와는 의미있는 관계가 보이지 않았으나 음악적 환경과는 상당히 의의있는 관계를 보였기 때문에 음악감상 교육은 실제 체험적으로 이루어져야 되겠다고 생각한다. 음악 교육중에서도 감상 교육은 정의적 측면이 강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부응한 보다 표준화된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남·녀학생간, 도시 농촌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균형있는 음악적 환경을 조성하고, 이것을 더욱 충분히 활용하는 평준화된 음악 교육이 이루어져야 되겠다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 내용 = 3 D.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음악 감상 교육의 목적과 의의 = 4 B. 음악 감상 교육의 내용과 목표 = 7 C. 음악 감상 평가 = 1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4 A. 연구의 대상 = 14 B. 감상 교육 목표 수준 설정 = 14 C. 평가 관점의 추출 = 16 D. 평가를 위한 이원 분류 = 18 E. 평가 도구 작성 및 평가 실시 = 19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21 A. 감상 교육의 관련된 음악적 환경 분석 = 21 B. 음악 감상 태도에 대한 분석 = 22 C. 음악 감상의 흥미에 대한 분석 = 25 D. 성별 도·농간 음악적 환경과 감상 태도. 감상 흥미의 비교 분석 = 27 E. 음악 감상 평가 결과 = 29 F. 감상 능력과 음악적 환경. 감상 태도. 감상 흥미와의 관계 = 31 Ⅴ. 결론 = 36 참고문헌 = 39 부록1. 평가를 위한 이원 분류 (녹음 평가) = 42 부록2. 감상력 평가 계획서 (녹음) = 45 부록3. 감상력 평가 계획서 (지필) = 50 부록4. 질문지 = 56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853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과정-
dc.subject음악감상-
dc.subject교육성과-
dc.title중학과정의 음악감상 교육성과에 관한 평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Evaluational Study on Appreciation Education of Music in Middle School-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