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수정-
dc.creator하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2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290-
dc.description.abstractIdiomatic expression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 expressions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2LLs) to understand and acquire. Because they contain third meanings apart from other vocabulary expressed. 2LLs need to use a great cognitive effor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se idiomatic expressions.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the physical words that are frequently used by the Target Language (TL), it is not easy for 2LLs to understand the meanings that are implied by these idioms. This thesis is destined to research the process that 2LLs understand the idioms centering on the body. Idioms focusing on the eyes, ears, nose, and mouth. This thesis has targeted those learners coming from Japan. Japanese Learners (JLs) linguistic background is similar to that of Korea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idioms and Japanese idioms, we're going to learn the extent of 2LLs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levels of idioms depending on the fluency of Korean. Various strategies for decoding these expressions are explored and expanded on in that process. Furthermore, this thesis will also look for differences in using strategy use between High Level Learners (HLLs) and Mid Level Learners (MLLs) according to the linguistic ability of the learner. Chapter Ⅰ: will outline the objectives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t will also look over previous research concerning Korean idiom education. The thesis will specifically be targeted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nd these addressing second language understanding of these idioms. Chapter Ⅱ: Will explore theoretical background. The idea of semantic characteristics of idioms, and in contrastive analysis are focused and analyzed. The transfer of mother tongue as a strategy to understand idioms in TL is expanded upon. The transfer of mother tongue strategies discusses positive transfer and negative transfer of mother tongue (MT) into TL idioms. The-understanding strategies, which Cooper presented in an interview, categorized 2LLs idiom understanding process into 8 types, these will be used as the basis for questionnaires to test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idioms. Chapter Ⅲ: The hypothesis will be set out and a list of the idioms used for comparison, the objectives of the experiments, the actual experiments, the questionnaire style, sample gathering process, and procedure for administering the questionnaire, treatment of the subjects and sample analysis are all outlined in explicit detail. Chapter Ⅳ: This section will center on around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It has been divided into three parts as discussed in Chapter III. 1. Type A: These are idioms that Koreans and Japanese share. They have the same meaning in both languages. Type B: Those idioms that are similar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ype C: Those idioms that solely exist in Korean. The three types have been analyzed and will show how they differ in understanding. 2.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comprehension of the types of idioms between HLLs and MLLs. This is for determining if there a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First language transfer between high and middle level groups. 3. Analyzes the concrete strategies in the idiom understanding process for various learners, and how the strategies are different for Type A, Type B, Type C. Moreover, this thesis has analyzed if there is any meaningful gaps in using different strategies. Especially between high level and middle level learners. The Conclusions drawn have integrated the research outcome and summarized the results into three categories and referenced back to this study. 1. Type A tests showed the highest comprehension of idioms. Type B tests showed next highest score in understanding. And the Type C tests showed the lowest scores. 2. There was a clear gap in decoding idioms between high level and middle level learners. In type A, the two groups showed similar results, they were generally very high. In type B, while the high-level group scored quite well, the mid level group found difficulty in decoding type B idioms. In Type C both group found decoding very difficult. 3. The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from Japan have showed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learner levels. It was found that learners who were good at the target language used effective strategies in each cas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2LLs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meaning of idioms according to its relation with the learner's mother tongue. The second language learner-learning burden of idioms can be lowered by presenting the idioms that are identical with mother tongue in the beginning and early stage of language acquisition. The idioms can also be presented by grading the idioms as to what type and how similar they are to MT. The studies results show high-level learners use effective strategies to interpret idioms. So, when we teach Korean idioms, we must provide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many different approaches, and cultivat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learner's abilities.;관용어는 그 의미가 일반 어휘들과는 달리 제 3의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에 L2 학습자가 그 의미를 이해하고 습득하기에 매우 어려운 표현 중의 하나이다. 즉 L2 학습자가 관용어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기본적인 어휘로 구성되어 일상생활 속에서 모국어 화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사용되는 투명도가 높은 신체 관용어인 경우에도 L2 학습자에게는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눈, 코, 귀, 입의 신체 관용어를 중심으로 L2 학습자의 관용어를 이해하는 과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국어와 그 유사성이 매우 높은 언어권인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일본어와 한국어 관용어의 연관성에 따른 유형별로 L2 학습자의 이해도와 그 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이해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며, 또한 언어 능숙도에 따른 고급학습자와 중급학습자 집단 간에 이해 전략사용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기존의 L2 관용어 이해 과정을 연구한 논문들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어 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관용어의 의미특성에 관한 논의를 하였고, 대조분석이론에서 L2 학습자에게 일어나는 모국어에 의한 긍정적인 전이와 부정적인 간섭현상을 중심으로 목표언어를 이해하는 전략으로서 모국어의 전이 현상을 짚어보았다. 특히 Cooper가 인터뷰를 통한 실험으로 L2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과정을 유형화하여 8가지로 제시한 관용어 이해전략을 검토하고 본고의 설문지 제작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에 필요한 신체 관용어 목록을 선정하였고, 실험대상, 실험설문유형, 자료 수집 기간 및 절차, 통계처리와 자료 분석방법에 대해 밝혔다. Ⅳ장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로써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첫째, 한국어 관용어와 일본어 관용어가 동일한 A유형, 유사성이 있는 B유형,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C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의 유형에 따라서 이해도에 어떠한 차이를 드러내는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어 고급집단과 중급집단 학습자들의 관용어 A, B, C유형에 따른 관용어 의미 이해에 그 차이가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는 모국어 전이에 대한 고급과 중급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관용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략들에는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분석했으며, 이러한 관용어 이해 전략들이 한국어와 일본어가 동일한 A유형과 비슷한 B유형,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C유형에 따라서 어떻게 다르게 사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고급학습자와 중급학습자의 집단 간에 따른 이해 전략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는지를 분석하였다. Ⅴ장에서의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실험의 결과를 세 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하고 본 논문이 가지는 의의를 돌아보았다. 첫째, 일본어와 형식과 의미가 동일한 A유형에서 피험자들이 가장 높은 정답률을 나타내었고, 일본어와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는 같은 B유형은 그 다음의 정답률을 보였고, 일본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C유형에서는 가장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둘째, 고급집단과 중급집단에 따른 관용어에 대한 이해도에는 분명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일본어와 동일한 A유형에서는 두 집단 모두 비슷한 매우 높은 정답률을 보였으나,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가 동일한 B유형에서는 고급 집단은 비교적 그 의미를 잘 유추하는 반면에 중급 집단은 C유형과 별 차이 없이 B유형을 매우 어려워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국어에만 있는 C유형에서는 집단에 상관없이 그 의미 파악을 매우 어려워하였다. 셋째,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신체 관용어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이해 전략은 관용어 A, B, C 유형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이해전략은 언어 능숙도에 따른 집단 간 사용빈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목표언어에 능숙한 학습자일수록 유연하게 관용어 유형에 알맞은 효율적인 전략을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활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에서는 모국어와의 연관성의 정도에 따른 유형별 관용어에서 L2 학습자가 관용어의 의미를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L2 학습자에게 모국어와 동일한 관용어를 학습초기 단계에서 우선 제시함으로써 관용어 학습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음을 밝혀주었다. 또한 한국어 관용어의 교재 개발 시 이러한 모국어와의 동일성의 유무에 의한 분석을 바탕으로 관용어를 등급화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급 학습자일수록 중급 학습자에 비해 관용어 유형에 따른 알맞은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는 본고의 실험결과는 한국어 관용어 교수 학습 시 L2 학습자들의 관용어 이해 전략에 대한 다양한 학습기회 부여와 효율적인 전략사용의 활용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2 Ⅱ. 이론적 배경 10 A. 관용어의 개념 10 B. 관용어의 의미적 특성 11 1. 의미의 중의성 12 2. 의미의 비합성성 13 3. 의미의 불투명성 15 C. L2 관용어 이해 과정 17 1. 언어 전이와 대조 분석 가설 17 2. 이해 전략으로서의 언어 전이 19 3. L2 학습자의 관용어 이해 전략의 유형 23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문제 27 B. 연구 가설의 설정 28 C. 설문 제작에 필요한 신체 관용어 목록 선정하기 29 1. 한국어와 일본어의 신체 관용어의 비교 29 2.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신체 관용어 33 3. 실험에 사용할 신체 관용어 목록선정 34 D. 실험 설문지 제작 35 E. 실험 대상 36 F. 자료수집 기간 및 자료 분석 방법 3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7 A. 사지선다형실험분석 37 1. 전체 집단의 관용어 유형별 정답률 비교 37 2. 중급과 고급의 집단에 따른 유형별 정답률 비교 44 B. 관용어 이해 전략 설문분석 47 1. 관용어 유형에 따른 전체 집단의 관용어 이해 전략 비교 47 2. 관용어 유형에 따른 중급과 고급 간 관용어 이해 전략 비교 54 가. 한국어와 일본어가 동일한 관용어 A유형 55 나. 한국어와 일본어의 형식은 다르나 의미는 같은 관용어 B유형 58 다. 한국어에는 있고 일본어에는 없는 관용어 C유형 61 Ⅴ. 결론 67 참고문헌 71 부록 74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38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신체 관용어 이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nderstanding of Body Centered Idioms for Japanese Students Learning of Korean Language-
dc.creator.othernameHa, Soo Jeong-
dc.format.pageⅹ, 91-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