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 분석

Title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s in the Music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본 연구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음악교사의 양성 및 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과 국악 관련 교과목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내용을 알아보고, 교육인적자원부의 2005학년도 교원양성대학의 현황 자료를 바탕으로 표집 된 13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이해 영역과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활동 영역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을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을 알아본 결과에 의하면 이해영역에는 여러 가지 장단, 민요의 여러 형식과 음계, 여러 창법에 따른 음악적 특징, 가곡, 시조 등의 성악곡, 연례악, 제례악, 산조 등의 기악곡과 다양한 국악기와 연주형태 등이 제시되어 있다. 활동영역 중 가창영역에는 민요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고, 기악영역에는 단소, 장구 등의 국악기를 사용한 음악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창작영역에는 국악의 여러 음계를 사용하거나 장단을 사용하여 학습하도록 제시되어 있고, 감상영역에는 다양한 전통 성악곡과 기악곡 등이 제시되어 있다. 둘째, 중·고등학교에서 국악교육을 하기 위해 음악교사는 국악의 여러 형식, 음계, 장단, 음악사 등의 이해와 활동영역의 기초가 되는 이론의 이해와 더불어 민요 가창, 단소, 장구 등의 국악 실기 영역에 대한 음악적 능력과 그에 따른 지도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셋째, 서울 소재 13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국악 관련 교과목과의 연계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해영역과 연계한 국악 관련 교과목의 경우 13개 학교에 모두 개설되어 있었다. 활동영역과 연계한 국악 관련 교과목의 경우 13개 학교 중에 7개의 학교에서 국악기악 및 지도법 과목이, 3개 학교에 국악가창지도법 과목이, 1개 학교에 한국음악감상론 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넷째,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 중에는 전공필수 과목으로 설정된 과목이 없었으며, 교과교육학에 관한 과목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국악 관련 교과목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이 국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필요한 교과목 운영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Music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expected to bring up or retrain music teachers. With such a basic conception in mind,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music curriculum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 the relevancy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s to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reupon, address the problems impeding effectiv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suggest their solutions.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secondary music education curriculum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reupon, analyz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s of 13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reference to the data about teachers' training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in 2005. The 7th music curriculum specifies comprehensive, vocal, instrumental, creative and appreciative music activities. So, this study sort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ccording to such categories specified by the 7th music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7th secondary music curriculum and its contents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t was found as follows: the comprehension activities were organized for various beats, diverse forms and scales of folk songs, mus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vocal techniques, vocal pieces including Lieds and Sijo, instrumental pieces including Yeonryeak, Jeryeak and Sanjo, and divers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nd thei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vocal activities were organized primarily for folk songs, while instrumental activities were specified for danso, janggu and the other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creative activities were organized for learning by practicing various scales or bea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the appreciative activities were specified for diverse the korean traditional vocal and instrumental pieces. Second,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t secondary schools, music teachers should well understand various forms, scales, beats and history of ou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other theories required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and additionally, should be able to sing the korean traditional folk songs and perform danso, janggu and other instruments as well as guide students' performance of th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s of the 13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it was found that they were less associated with the 7th music curriculum. All graduate schools were open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s associated with its comprehensive activities, but in term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7 schools were operating instrumental and pedagogics subjects, 3 schools were opening traditional music vocal guide subject and only a single school were oper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subject. Fourth, n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operating any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 as compulsory major subject, whil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dagogic subjects were very poor. Lastly, it is hoped that the methods for an effective oper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useful to enhancement of secondary music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an effective secondary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