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중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실태 조사 연구

Title
중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실태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dition of junior high school music appreciation
Authors
김정은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과서의 감상 제재곡을 살펴보고 실제 중학교에서 감상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감상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 향후 교과서 개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음악 감상 교육의 중요성과 감상 방법, 중학생 시기의 감상 교육,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감상 영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실제 중학교 음악 수업에서 접하는 감상곡을 살펴보기 위한 방법으로 교과서의 감상 제재곡을 분석하였으며, 제재곡의 수와 국가별 시대별 분포를 알아보았다. 중학교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감상 수업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로 첫째, 학교 음악 감상 학습에 대한 의견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많은 학생들이 감상 영역에 가장 흥미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감상 영역보다는 가창 중심의 교육이 행해지고 있어, 다양한 음악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음악 교육은 무엇보다도 다양한 음악적 체험을 해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어느 한 영역에 치우친 교육보다는 가창, 기악, 감상, 창작 등 모든 영역의 수업을 조화롭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감상 방법이나 평가도 정해진 틀에 얽매이기 보다는 스스로 음악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다양하고 통합적이며 창의적인 방법들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음악 교과서 내 감상 제재곡에 대한 의견을 살펴본 결과, 대다수 학생들이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곡의 분량과 나라별, 시대별 작품의 분포는 적당하다고 대답했으며, 시대별로는 현대 음악에 관심이 가장 높았고 작곡가는 베토벤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학생들의 다수는 대중음악이나 유행음악이 너무 자극적이고 상업적이며 유행이 쉽게 바뀌기 때문에 교과서에 실리기 어렵다고 답했으며, 교과서가 틀에 박히고 딱딱한 책이라서 대중음악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끝으로, 학생의 개별적인 음악 감상 성향을 살펴본 결과 하루에 음악을 듣는 시간이 1시간 미만인 학생이 55%나 차지한 것을 보아 음악을 접하는 시간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음악 시간을 이용한 바람직한 감상 교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학생들은 음악 감상시에 주로 MP3플레이어를 이용하며 대다수의 학생이 대중음악을 좋아한다고 답했다. 특히 국내 가요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으며 학교에서도 이러한 대중음악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듣기를 원하며 수준 높은 연주와 좋은 음향에도 신경 써주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장르나 시대에 상관없이, 음악적으로 또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곡목을 다양하게 선정하여 학생의 흥미를 반영할 수 있는 감상 수업이 이루어져야겠다. 전반적으로 음악 수업에서 감상 수업의 비중이 너무 낮아서 바람직한 감상 교육을 시행하는 데 제약이 따랐고, 제재곡들도 학생의 흥미와 요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올바른 감상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을 받는 주체인 학생들의 의견을 잘 수렴하여 현재의 교육여건에서 개선되어져야 할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자료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matic appreciation tunes in junior high school textbooks and how appreciation lessons are conducted in present junior high schools. By doing so, this study may provide applicable information that would be influenced on revisions of future textbooks. It also seeks a desirable course for appreciation lesso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cerning the significan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e appreciation methods for the stag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appreciation field of the 7th curriculum. To observe what tunes students were listening to in real music classes, thematic tun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numbers, national and periodical range. To clarify how appreciation classes were conducted in junior high schools, a questionnaire was made to firstly inquire the views on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Consequently, almost every student were interested in music appreciation, but in most cases, a large part of music classes in junior high school were based on singing. This shows that the students were not being exposed to diverse musical experiences even though it should be the foremost point in music education at schools. Also, rather than making appreciation methods or evaluations standardized, synthesized and creative methods should be introduced to enable students to feel and experience music by themselves. Secondly, students' views on thematic tunes for appreciation were examined.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quantity, national and periodical range was appropriate. Also, it was foun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modern music and preferred Beethoven than other composers. Moreover, most students said that pop music was too sensational and passed vogue too quickly to be listed in textbooks. They also thought that textbooks were too conventional for such. Finally, the personal musical preference of the students were examined. 55% students listened to music for less than an hour per day, showing the lack of time for musical experiences. Thus, desirable appreciation education in music class at school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matter. When listening to music, students mostly used MP3 players and liked pop music. The students showed especially high interest in Korean songs and wanted to hear diverse kinds of music at school. They also demanded high quality performances and good acoustics. Therefore, musically and educationally advisable programs regardless of genre or periods that reflect students' interest should be selected for lessons. On the overall, the appreciation classes had less importance in music lessons. Accordingly, there were limitations on carrying out such education as would be desirable. It was also found that in choosing thematic tune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students concerning their interests and needs. Therefore, to conduct an appropriate appreciation education, students' opinions must be collected and current education conditions that need improvement must be understood. To do so, varied studies should be followed to support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