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운조-
dc.contributor.author백미선-
dc.creator백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2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6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646-
dc.description.abstract현행 중학교 음악교육에서 전통음악의 중요성은 매우 강조되고 있다. 교과서에도 그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조사에 의하면 현장의 많은 교사들이 전통음악을 지도하기 어려우며 학생들도 흥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현장에서 국악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과서에 제시된 사물놀이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사물놀이와 관련한 기초이론인 풍물놀이, 사물놀이와 풍물놀이의 차이점,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징과 연주곡, 사물악기 연주법 등에 대해 살펴보고, 사물놀이의 교육적인 의의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론에서는 제6차~제7차 교육과정의 사물놀이 내용을 확인하고, 어떠한 내용이 게재되었는지 알아본 후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전 9종의 음악교과서의 사물놀이 내용을 사물놀이 소개, 풍물놀이, 사물놀이와 풍물놀이 비교, 사물놀이 악기 주법으로 나누어 자세하게 비교·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제6차~제7차 교육과정의 사물놀이 학습곡을 확인해 본 후 곡명, 장르, 활동영역, 학습목표 및 학습활동, 악보형태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제7차 음악 교육과정에서 사물놀이와 관련한 교과서의 내용은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기 어려울 정도로 그 내용과 양이 부족하며, 지도 방법에 관한 자세한 제시가 되어 있지 않았다.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학습곡을 분석한 결과 학습곡의 통일성과 연계성이 부족하며, 사물놀이 장단이 소개되는 경우 보다 민요의 반주장단으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활동영역이 기악이나 가창에 치우쳐 있고, 기보법은 통일성이 부족하고 다양한 형태로 게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의 교과서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관성 있고 연계성있는 사물놀이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사물놀이와 관련된 내용과 학습곡을 기초부터 활동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교과서에 서술해야 한다. 둘째, 사물놀이 주법과 관련해서는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반드시 사진이나 그림 자료를 첨부해야 한다. 셋째, 반주형태의 전통민요 학습곡 보다는 사물놀이를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는 학습곡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사물놀이 활동에 있어서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4가지 활동이 통합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물놀이 기보와 관련한 통일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간보, 리듬보, 구음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기보법이 교과서 마다 다르게 제시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물놀이와 관련한 내용이 교과서에 좀더 명확하고 연계성 있게 제시된다면 학교 현장의 교사는 더 적극적으로 국악교육을 지도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가 이를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music is very much emphasized in current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Although its importance has been increased in the textbook as well,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many of the teachers in the field responded that it is hard to teach traditional music and students don't have the interest for it. Therefore, in order for teachers to apply Korean music education actively in the field, this study will look through the problems and provide plans to improve by comparing and analyzing contents of the Samulnori presented in the textbook. For a theoretical foundation, in prior to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 investigated on the reference datas related to Samulnori. I have researched on the Poongmulnori which is the origin of Samulnori,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amulnori and Poongmulnori, and presented musical features of Samulnori, its music, and the playing method of Samul instruments. Second, I considered the educational effect of Samulnori.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instruments, Samulnori is very easy to play because instruments used in Samulnori are rhythm instruments which make easier for students to approach. And because of its merit, it is used widely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Also it gives a great opportunity for students to cooperate and unify the class because Samulnori is based on the group learning which is very effective on unifying a class. In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based on its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tents on Samulnori was insufficient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to be applied in the teaching field for a practical use, and none of the teaching method was presented. An introduction of Samul instruments, photos, playing methods, and musical notations were not unified and the connections between grades were insufficient. As a result of analyzing musical pieces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lack of unity and the connection between pieces were found and more Korean folk song rhythm was introduced than the Samulnori rhythm so that it seemed hard to apply for a practical Samulnori activity. Also, its activity was mainly focused on the instruments and singing and the notation was not unified as well. Therefore, the desirable textbook contents regarding on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have a consistent and connected Samulnori class, it is necessary to describe contents and learning pieces from basic to activities by steps. Second, attaching photographs or pictures related to Samulnori execution to show clarity on how to play is necessary. Third, instead of giving accompaniment pieces, music pieces which Samulnori can be directly applied should be presented. Fourth, the ways to put all four forms in Samulnori activity-singing, instrumental playing, creating and music appreciation- should be found. These various activities will give students a thorough comprehension of Korean music. Fifth, unified notation of Samulnori should exist. Different score notations such as Junggan Score, Rhythm Score, Gueum Score used in every different textbook are not preferable. The more precise contents on Samulnori are presented connectively in textbook, the more constructively educators in the field will be able to teach Korean music. I expect for this study to be used as one of the fundamental data of Samulnori and provide information that are needed when teaching in the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D.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사물놀이 = 5 B. 사물놀이의 교육적 의의 = 22 Ⅲ.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사물놀이 학습내용 비교·분석 = 24 A.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사물놀이 내용 비교·분석 = 27 B.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사물놀이 학습곡 내용 분석 = 41 Ⅳ.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6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83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사물놀이 학습내용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on Samulnori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focu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Education-
dc.creator.othernameBaek, Mi-Sun-
dc.format.pagevii, 60-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