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신화-
dc.contributor.author이경은-
dc.creator이경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2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5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5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회음악과가 개설되어 있는 한국의 4년제 대학 13개 중 한국교회음악학회에 속해있는 9개 대학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서 교회음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봄과 동시에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의 개선 및 편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교회음악교육의 폭넓은 보급을 촉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대학의 요람과 각 학교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교회음악과 교육과정을 수집하여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으로 분류하고 내용을 분석, 평가하여 교회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절성을 알아보았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교회음악의 정의와 역할 및 목적을 연구한 후, 교회음악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한국 교회음악교육의 역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적인 교과과정 분석에서는 이를 기초로 하여 각 대학의 교회음악과 교육목표를 정리함으로서 그 목표를 비교하고, 이수학점 현황, 전공과목수, 전공과목의 필수·선택 여부, 이론·실기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각 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연구하여 본 결과, 대학의 교육목표가 대부분 교회음악인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교회음악과 전공생에게 음악적인 전문성과 함께 신앙과 신학적 지식을 요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은 일반대학의 다른 전공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또한 교회음악과목이 전공필수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학교가 많아서, 교회음악인을 양성하는 교육목표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사이에 서로 일관성이 부족한 것이 연구의 결과로 나타났다. 교회음악과가 일반대학의 다른 전공과 차별화를 가지기 위해서는 신학과 관련된 음악과목이 많이 개설되어야 하며, 신학관련 과목을 필수이수 과목으로 지정하여 학생들이 전문적인 교회음악인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교육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대학별로 과목의 이수학점과 이수학기가 제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필수·선택 여부도 대학별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어서 교회음악 전공자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과목이 학생들에게 교육되지 않고 있는 것을 볼 때 대학 상호간의 협의를 통한 과목들을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으로 책정하는 공통적인 기준도 함께 세워야 한다. 위에 언급한 문제점이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교회음악과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선된 교회음악과 교육과정의 실현은 교회음악인을 양성하기 위한 한국 교회음악계의 발전과 성장으로 연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desirable route for church music education, to provide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and new arrangement of a church music program, and to extend church music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of church music curricula of selected universities in Korea. The catalogues of nine four-year universities were collected from their web-sites an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a in order to evaluate their propriety.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exact meaning and role, as well as the purpose of church music, the history of church music and the history of church music education in Korea were examined with related research papers. In the analysis of curriculum, based on the studies described above, the objectives of each university for church music were examined closely and the required credits completed for graduation, number of major courses, required·elective courses for the major and the ratio of theory to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djusted. The main educational goal of each university was to train a church musician who was equipped not only with an expert level of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music history, but also with a solid understanding of Christian theology. However, after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ir curriculum and their course description and a comparison with the program in any other major, it was found that their curriculum was insufficient in order to achieve their educational goal. The total number of courses offered in nine universities was one hundred and forty-one. However, only twenty-two of them had Christian theological relevance. Some of the universities did not even require and church music course as a required course for a church music major.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supplement the weaknesses identified from this study. Firstly,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e program should provide an integrative curriculum in both musical and theological aspects of church music education. The university should form a curriculum committee that identifies the needs of the church and provide appropriate direction for their program. In addition, to establish a supervising institution to monitor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is required because they lack an overall uniformity between universities due to their own self-regulated curriculum and practice in each university. Secondly, in order for the curriculum in church music to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any other major, it should offer a greater number of courses that integrate theological studies as part of their required courses. It is hoped that the above findings and suggestions are able to play a significant role by which the church music world can be the first beneficiary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회음악에 관한 연구 = 6 B. 한국 교회음악교육의 역사 = 9 Ⅲ. 교회음악과 교육과정 연구 = 20 A. 교회음악과 교육목표 = 23 B. 교회음악과 교육과정 분석 = 27 Ⅳ. 결론 = 45 Ⅴ. 제언 = 46 참고문헌 = 49 부록 = 52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49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국 대학의 교회음악과 교육과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icula for Church Music Majors of Four-Year University in Korea-
dc.creator.othernameLee, Kyung-Eun-
dc.format.pageⅶ, 68-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