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특성화고 학생의 몰입(flow) 경험과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

Title
특성화고 학생의 몰입(flow) 경험과 진로결정효능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Betwee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Authors
정재희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relations between flow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i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practice. A specialized high school aims at training students with similar talent, aptitude, and abilities as experts in a certain field. It is, therefore, so important to help students get interested in their major field, develop abilities, and select and decide on desired career for three years. In this sense, career counseling should be an approach to assist in selecting a proper point on which they can think of themselves as efficient by exerting their abilities sufficiently. As a basic research to apply flow theory to career counseling,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flow experience during practices in specialized fields can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rational career search and decision-making. Furthermore, it also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to use for career counseling.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es flow which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during practices in required course for their major vary by majors (fields), gender, and ranking in a section? Second, do self-respec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acilitate flow experience? Which variable has the greatest effect on promotion of flow experience? Third, does flow experience correlate with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Does flow experience correlate with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by gender, majors (fields)?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1 eleventh-graders majoring design, Internet, or cooking from three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To prepare a questionnaire, self-respect,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cales were implemented before participation in practice and flow and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scales were carried out right after the practice.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degree of flow which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during practices in required courses for their majo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majors (fields) and gender, which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t seems that this finding was due to similarity in subjects' grades for entrance into a school and to the fact that the general motive of the entrance was ‘to meet their interest and aptitude.’ As for ranking by section, students within 20 percent to 60 percent showed a high level of flow experience, which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Second, self-respec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flow. Self-efficac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experience in flow.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had significant effects on experience in flow; particularly, self-efficacy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level of experience in flow. It was, however, found that self-respec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From these findings, psychological variables could be identified which affected experience in flow. Third, there was strong static correlation between flow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And there was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flow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regardless of gender, in all three majors (fields).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 significant as psychological variables in facilitating flow and self-respect had no significant effect. It was most of all found that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flow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thereby confirming the role of flow experience in relation to rational career selection and decision-making.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it related the flow theory to the issue of career among high school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career counseling practices and help develop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applying flow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for further researches. Firs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many other variables which can affect career decision-making efficacy including flow experience and compare them with these finding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if the same conclusions will be drawn from practical major courses in other specialized high schools.;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실습수업에서 몰입 경험과 진로 결정 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는 소질과 적성 및 능력이 유사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 분야의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3년 동안 학생들이 전공 분야에서 흥미를 발견하고 능력을 개발하여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은 매우 중요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진로상담은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나타나는 유능감을 느낄 수 있는 적절한 지점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접근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몰입 이론을 진로 상담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특성화 분야에서 실습수업 중 몰입 경험이 합리적인 진로 탐색과 진로 결정을 돕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한다. 더 나아가 진로상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이 전공하는 전공 필수 과목에서 실습수업 중에 경험하는 몰입은 전공(분야)별, 성별, 계열 석차별로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학교 생활 만족도는 몰입 경험을 촉진시키는가? 몰입 경험을 촉진시키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셋째 실습수업을 통하여 경험한 몰입 경험과 진로 결정 효능감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성별, 전공(분야)별로 실습수업에서 경험한 몰입 경험과 진로결정효능감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위와 같은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소재 3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디자인, 인터넷, 조리 분야 2학년 학생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작성은 실습수업을 참여하기 전에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학교 생활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고, 실습수업이 끝난 직후 몰입 상태 척도, 진로결정 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전공 필수 과목에서 실습수업 중에 경험하는 몰입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공(분야)별, 성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연구 대상 학생들의 입학 시 성적이 유사하고, 입학 동기가 '흥미와 적성에 맞아서'가 대부분이었던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계열 석차별로는 20~60%이내의 학생들이 몰입 경험의 수준이 높았으나 그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둘째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학교 생활 만족도는 몰입 경험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중 자기 효능감은 몰입 경험과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기 효능감, 학교 생활 만족도는 몰입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자기 효능감은 몰입 경험의 수준을 예측해 주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아 존중감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몰입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몰입 경험과 진로 결정 효능감은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공(분야)별로 3개 분야에서, 성별로 남녀 모두 몰입 경험과 진로 결정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에서 분석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몰입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심리적 변인으로 자기 효능감, 학교 생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작용했으며, 자아 존중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몰입 경험과 진로 결정 효능감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확인하여, 합리적인 진로 선택 및 결정에 있어서 몰입 경험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몰입 이론을 진로 문제와 관련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 진로상담 장면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몰입 경험을 적용한 진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이 있다. 첫째 몰입 경험을 포함하여 진로 결정 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많은 관련 변인들을 파악하여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다른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공, 실습 과목에서도 같은 결론이 나올지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