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은정-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31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6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6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종교성향과 영적 안녕이 불안과 우울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먼저 청소년의 종교성향, 영적 안녕은 배경변인들(성별, 학년별, 종교의 유무, 종교의 종류, 신앙 연수)과는 어떤 관계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종교성과 불안·우울, 영적 안녕과 불안·우울의 관계를 각각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종교성향의 하위 영역과 영적 안녕의 하위영역 어느 영역이 불안 및 우울에 더 관계가 있는가를 보았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291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검사도구로는 Allport와Ross가 개발한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척도, Paloutz ion과 Ellison(1982)이 개발한 영적 안녕 척도, Spielberger의 특성불안검사, 우울검사지로는 Zung의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를 사용하였다.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척도 및 영적 안녕 척도는 종교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응답하게 하였다. 자료의 처리로는 T-검증, 상관분석,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라 내재적 종교성향, 외재적 종교성향, 실존적 안녕, 종교적 안녕을 t검증 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외재적 성향이 높았다. 학년별로는 외재적 종교성향에서만 각 학년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후 검증한 결과 고2의 외재적 종교성향이 중2, 중3의 외재적 종교성향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유무에 따른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 종교적·실존적 안녕의 차이는 내재적 성향, 종교적 안녕에서 종교를 가진 사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있는 사람 중 종교의 종류에 따른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 종교적·실존적 안녕의 차이는 내재적 성향과 실존적 안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성향의 사후검증결과 특정 집단끼리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실존적 안녕의 경우 개신교집단이 천주교, 불교, 기타 종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기간별로는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종교성향과 불안·우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종교성향의 하위 영역인 외재적 성향이 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외재적 성향은 점수가 높을수록 성향이 낮은 것을 의미하므로 외재적 성향이 높을수록 불안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3. 영적 안녕과 불안·우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영적 안녕의 하위 영역인 실존적 안녕은 불안·우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종교적 안녕은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4.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 종교적·실존적 안녕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존적 안녕 변인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4가지 하위 영역 중에 실존적 안녕이 불안·우울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불안 전체 변량의 40%를, 우울 전체 변량의 52%를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 종교적·실존적 안녕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종교성향과 영적 안녕은 불안·우울과 관계가 있으며 특히 실존적 안녕을 높이는 것은 불안·우울을 극복하는 데 많은 영향력을 미칠 것임을 예측해 볼 수가 있다.;The study assumed that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helped to overcome anxiety and depression. First, it examined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sex, grade, having or not having religion, religious type, period adolescents believed in a religion for and then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anxiety and depression. Finally, it examined which had some more connection with anxiety or depression between the lower provinces of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lower provinces of Spiritual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300 and 291 data were used. The measurements were Allport and Ross'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Scale, Paloutzion and Ellison's Spiritual well-being Scale,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m-2,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Scale, Spiritual well-being Scale were responded by all of religious group and non-religious group.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test,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test on sex, in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at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only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n grad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that the second grade in high school was higher than the second and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In Religious Spiritual well-being and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n religious group and non-religious group, religious group was higher than non-religious group. I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on religious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eligious types. As a result of the ex-post validation, Christian group was higher than other religious groups i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period adolescents believed in a religion f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종교성, 종교성향 = 7 B. 영적 안녕 = 12 C. 청소년기의 불안 = 16 D. 청소년기의 우울 = 19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 23 B. 연구도구 = 24 C. 연구절차 = 28 D. 자료분석 = 28 Ⅳ. 연구결과 = 29 A. 배경변인과 종교성향, 영적 안녕의 하위영역별 비교 = 29 B. 종교성향, 영적 안녕, 불안, 우울간의 관계 = 33 C. 종교성향, 영적 안녕이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 34 Ⅴ. 요약 및 논의 = 37 참고문헌 = 44 부록 = 49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17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청소년의 종교성과 영적안녕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Religious Orient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Adolescents on Anxiety and Depression-
dc.creator.othernameKim, Eun-Jeong-
dc.format.pagex, 5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