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조형 활동에 자발적 참여 빈도가 높은 여아에 비해 참여도가 낮은 남아들의 자발적 참여 증진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실행하며, 그 과정을 통해 성취한 것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조형활동에서 남아의 자발적 참여 증진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2. 조형활동에서 남아의 자발적 참여 증진을 위한 방법을 통해 성취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신은유치원 초록반에 재학 중인 만 5세 남아 12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3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로 이 기간 동안 초록반 유아들의 조형활동 참여양상을 관찰하고 참여도가 높은 유아와 참여도가 낮은 유아를 인터뷰하였다. 그 결과에 따라 조형활동에 남아의 자발적 참여도 증진을 위한 방법을 계획, 실행 및 평가 하였다. 자료 수집은 유아의 설치미술활동 녹화 내용, 유아 면담 녹음 내용, 교사 면담 녹음 내용, 대집단 이야기 나누기 녹화 내용 등을 정리한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가 이루어지는 기간 동안 교사저널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활동에 참여도가 떨어지는 남아의 자발적 참여 증진 방법으로 현대미술의 한 장르인 설치미술을 도입하고 유아에게 친숙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화가 가능하며 다른 재료와의 접목이 쉬운 천을 재료로 선정하여 제시한 결과 남아의 자발적 참여도가 높아졌다. 조형활동에 자발적 참여도가 낮은 남아들은 동성의 친구들과 거친 신체놀이를 하거나 쌓기 놀이영역에서 노는 것을 즐기는데 설치미술은 이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미술관 견학을 통해 설치미술작품을 포함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감상하고 토론하는 기회를 가진 결과 유아들은 미적 안목을 넓히고 새로운 재료의 다양한 활용방법을 직접 눈으로 보고 느끼고 경험하는 기회가 되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게 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천이라는 새롭고 매력적인 재료의 제시로 활동적인 남아들의 특성을 충분히 만족시키며 탐색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된 결과 남아들은 자기표현에 자유롭게 되었고 새로운 도구 사용하기를 시도하거나 다른 재료를 접목시켜보는 등 다양한 표현활동의 모습을 보였다. 넷째, 유아에게 직접 천을 설치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 유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해준 결과 다양하고 창의적인 활동이 나타났다. 유아에게 자발적 흥미를 이끄는 가장 큰 요소가 내적 동기라고 했는데 이는 유아가 느끼는 진정한 자유로움 안에서 발생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1차 시도가 교사의 관찰결과를 바탕으로 계획, 실행되었다면 2차 시도는 유아와 교사가 함께 계획 및 실행을 시도한 결과 유아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며 능동적으로 설치미술작품을 전개해 나갔고, 자신들의 활동에 필요한 재료나 의견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섯째, 본 연구를 통해 성취한 것은 조형활동에 남아의 자발적 참여 증진을 가져오게 했다. 평소 남아들이 즐기는 거친 신체놀이와 같이 자유롭고 활발한 설치미술활동은 남아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동기부여를 지속적으로 하게하는 계기가 되었다. 함께 하는 작업의 긍정적 역할 수행은 자연스러운 또래 친구와의 관계 형성을 이루어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를 제공하게 해 주었다. 이와 같은 자발적 참여 방법은 유아에게 내일의 활동에 대한 흥미유발로 동기부여를 해줌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높이게 되었고 다양한 탐색활동과 연계성을 형성하여 표현력 향상의 발달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돕는 결과를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교사로서는 매일 관찰일기와 교사저널을 기록하며 유아들의 말 한마디 행동 하나하나에 의미를 두고 생각해보며 연구자가 행한 그동안의 교수방법을 되돌아보고 반성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This thesis is aimed to plan, implement, and evaluate schemes to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of boys, who participate less actively than girls in visual art activities, and analyze what kinds of educational values the schemes have. Based on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the present author set up concrete topics to study as follows: 1. What are the schemes to visual art activities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of boys in visual art activities? 2. What kinds of educational effect do the schemes have in visual art activities?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12 5-year-old boys attending the Green Class at Shin-eu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Korea.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informal cultural and technological interviews with the boys and teaching colleagues working for the kindergarten and, at times, large-group conversations. Materials were also gathered from active participations and observations (including episode records, teachers' journals, observation records, digital camera photos, and video clips), and these were all decaled after a brief sketch of the scen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are listed below. First, it was observed that boys, who participate less actively in visual art activities, enjoy rough-and-tumble play or block play along with their same-sex friends. Schemes to promote voluntary participation of such boys in visual art activities include the introduction of installation art, a genre of modern art, and the selection of such fabric as a material for the art that is familiar to children, can be transformed in a variety of ways and easily grafted onto other materials. Second, opportunities to take a field trip to art museums were provided to boys so that they might appreciate and discuss artistic works of various genres, expand their aesthetic eyes, personally see, feel, experience how diversely new materials could be utilized, and, based on the experience, make an attempt to create new works by themselves. Third, fabric, a fresh and attractive material, incited the interest of boys, who began to search for other new materials. Moreover, free and open attitudes of teachers fully satisfied the characteristics of active boys, who developed more deeply their search activities. As the research went on, the activities of boys became freer for expressing their own selves and the boys made various trials to use tools or graft other materials into their activities. Fourth, the first trial was planned and executed on the basis of teachers' observation results while the second in cooperation of children with their teachers.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from the planning stage of visual art activities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ir activities and creatively expressed materials or opinions needed for their activities. Fifth, the educational values of this action research was that the boys, while cooperating with their peers, naturally offered stimuli to the peers, who more actively participated in visual art activities and develop their sociality since the boys and their peers could enjoy the outcome of their collaboration. Moreover, the free and open environment provided to the children naturally led to their creative activities. This research is educationally valuable in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visual art activities contributed to a hope and expectation of their future activities. In the meantime, teachers ruminated over the words and actions of the children while keeping their daily observation diaries and journals, reflecting and reconsidering their previous teaching skills and techniq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자 배경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유아 조형활동 = 6 B. 조형예술과 설치미술 = 11 C. 남녀유아의 놀이성향 = 13 Ⅲ. 연구방법 = 18 A. 실행 연구 = 18 B. 연구 대상 = 19 1. 신은유치원 = 19 2. 초록반 교사와 연구자 = 20 3. 초록반 = 21 4. 유아들 = 24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31 Ⅳ. 연구 결과 = 32 A. 조형활동에 남아의 자발적 참여를 증진시키는 방법 = 32 B. 남아의 자발적 참여 증진 방법을 통해 성취한 것들 = 46 Ⅴ. 논의 및 결론 = 55 A. 논의 = 55 B. 결론 및 제언 = 61 참고문헌 = 65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997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조형활동에서 남아의 자발적 참여 증진을 위한 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Promoting Boys' Participation in Visual Art Activities in Kindergarten-
dc.creator.othernameKim, Jee-Un-
dc.format.pageviii, 72-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