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고민정-
dc.creator고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4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current situation of the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and teachers' understanding. Thereby,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methods to utilize the cooking activities by enlightening the importance of the activities. The following list contain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1. What is actual situation of the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1-1 What is actual situation of the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1-2 What is actual situation of the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teachers' experience, education, institutional status (e.g. public schools or private schools)? 2. How do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2-1. How do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2-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eachers'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teachers' experience, education, institutional status (e.g. public school or private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rvey of 370 teachers working for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 school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The research tool is composed of 31 questiona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 and based on the documents and research related with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2.0 program, I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by each items and also conducted x²-test to see whether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understanding on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and actual situation .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planed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once or twice a month with books of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on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desig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y spent 10 to 30 minutes at a time on their own or with the help of an assistant teacher in conducting the cooking activities. 5 to 10 children per a teacher participated in the cooking activities. Kitchen tables, waterworks and electrical supplies were equipped in the area for cooking activities Teachers applied teaching materials such as recipe, charts and storybooks to the cooking activities. Teachers and children used cookers, machines, measuring tools, and sanitary goods such as aprons and gloves properly. They taught their children to let them explore and participate actively in cooking activities and evaluated them according to the way that children discussed with each other or collected their works and paintings. The most often made dish was Songpyun, fruit salad, Kimchi, popcorn and rice balls. The time, the availability of assistant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Second, most of teacher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since they regarded it as an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y of which educational effect was significant. The teachers believed that 5 to 10 3-year old children per a teacher participated in cooking activities once or twice a month was the proper standard of the activities. And they were convinced that they had to plan the activities relevant to the theme of the activiti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children and safety and teach them thinking of exploration-activities-lesson such as math, science and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health-activities-lesson. They were also well aware that they had to evaluate the children considering whether the activities went for the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and they were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The teachers rated the lack of manpower who could assist them as the most challenging part in their conducting cooking activities. And also they were of opinion that they needed integrated training programs which, first, not only theory but also teaching practice were provided, second, included cook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finally, connected with normal life or oth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eachers' understand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when children could participate and evaluation methods.;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유아 요리활동의 실태를 조사하고,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요리활동의 중요성을 재고해보고 활용방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1-1.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는 어떠한가? 1-2. 교사들의 배경변인(학력, 경력, 근무 기관의 유형, 근무 유치원의 규모)에 따른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2.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들의 배경변인(학력, 경력, 근무 기관의 유형, 근무 유치원의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 중 요리활동을 하고 있는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교사 37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 요리활동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유아 요리활동과 관련된 문헌 및 관련 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로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질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인식과 실태의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요리활동은 월 1~2회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과 교육부 개발 요리활동 자료를 이용하여 교사가 계획하며, 교사 1인당 5명 이상 10명 미만 유아의 참여로 보조 교사의 도움 혹은 교사 혼자서 1회당 10분 이상 30분 미만의 시간을 소요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리활동을 위한 공간은 조리대가 있고 전원 및 물 사용이 가능하며 교사가 요리를 하는 동안 다른 영역을 살펴볼 수 있는 곳으로 필요에 따라 요리 영역을 마련되고 있었다. 교사들은 주로 요리순서도와 요리 관련 동화책을 교수자료로 이용하고 있으며 요리용 도구와 기계, 측정 도구, 열사용 도구, 소품을 교사와 유아가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교사는 요리과정에서 유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탐색하여 활동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토의, 유아의 그림이나 작품 수집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실제 유치원에서 가장 많이 하는 요리가 송편 78.9%, 과일 샐러드 67.8%, 김장 67.5%, 팝콘 60.2%, 색깔 주먹밥이 50.1%로 나타났다. 요리활동의 실태에 있어서 지도 내용은 유아가 가족과 함께 요리를 실시해 볼 수 있도록 돕는다는 교사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요리활동 1회당 걸리는 시간에서는 교사 학력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요리활동의 보조자와 요리활동의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근무하는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 요리활동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는 요리활동이 중요하며 그 이유는 교육적인 효과가 뛰어난 통합적인 활동이기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요리활동을 만 3세 이상의 유아가 교사 1인당 5명 이상 10명 미만의 참여로 월 1~2회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의 발달 수준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주제와 연관된 활동으로 계획하고 탐구생활 영역과 건강생활 영역을 염두에 두고 지도하여야 하며 유아 발달단계와 적합성, 요리활동에 대한 흥미도를 고려하여 평가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는 요리활동에서 보조 인력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이론과 실습이 겸해진 방법, 유아 발달 단계에 적합한 요리활동과 생활주제나 다른 활동과 연계된 통합된 내용의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요리활동의 인식에 있어서 요리활동이 가능한 연령은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요리활동의 교사 평가 내용은 기관의 유형, 유치원의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요리활동의 교육적 가치 = 5 B. 요리활동의 전개 과정 = 10 C.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교수신념과 교수행위 = 16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도구 = 19 C. 연구절차 = 20 D. 자료분석 = 20 Ⅳ. 연구결과 = 21 A. 유아 요리활동의 운영실태 = 21 B. 유아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 36 Ⅴ. 논의 및 결론 = 47 A. 논의 = 47 B.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6 부록 = 60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08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아 요리활동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Current Situation of the Children's Cooking Activities and Teacher's Understanding-
dc.creator.othernameKo, Min-Jeong-
dc.format.pageⅷ, 73-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