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5 Download: 0

교사가 지각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따른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

Title
교사가 지각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따른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and the teachers'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Authors
이혜경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를 살펴보고,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따른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가 지각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어떠하며, 이는 원장의 학력, 전공, 자격증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 학력, 월평균 급여,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따른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52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Hsue(1997)가 개발한 교사용 질문지를 김창걸이 제시한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변인 4가지 요소에 따라 재구성한 이연승(2004)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도구는 4개의 하위요인과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Likert 식 5점 척도로 되어 있다. 자기장학의 수행 정도에 관한 측정도구는 이정은(1997)이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및 수행현황」에서 사용하였던 교사용 질문지를 기본으로 본 연구의 실정에 맞게 다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기장학에 대한 측정도구는 4개의 하위요인과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Likert 식 5점 척도로 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사후 비교를 위해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보통 이상(M=3.8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성과기대(M=3.85)가 가장 높았고 선도적 추진성(M=3.84), 개인적 배려(M=3.78), 비전제시(M=3.73)순으로 변혁적 지도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변혁적 지도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원장의 학력, 전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원장의 학력이 대학원 졸업이상(M=3.90)일 때 변혁적 지도성 전체 및 모든 하위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원장의 전공이 유아교육(M=3.84) 및 교육관련(M=3.78)일 때 기타전공(M=3.41)에 비하여 변혁적 지도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전제시 요인에서는 원장의 전공이 유아교육일 때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는 보통이상(M=3.41)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인식(M=3.69)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평가(M=3.46), 계획(M=3.30), 실행(M=3.21)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사의 경력, 학력, 월 평균 급여, 현재직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의 경력이 7년 이상(M=3.64)일 때 자기장학 수행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3년 미만(M=3.26) 경력의 교사가 가장 낮은 수행정도를 보였고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대학원 이상(M=3.71)의 학력을 가진 교사가 대졸학력(M=3.43)과 전문대졸(M=3.30) 학력을 가진 교사보다 자기장학 수행정도가 높았으며,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급여에 따라서는 150만원 이상(M=3.56)의 급여를 받는 교사가 자기장학을 가장 높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인식과 실행, 평가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현재직급이 원감(M=3.95)일 경우 주임교사(M=3.51), 교사(M=3.35)에 비하여 자기장학 수행정도가 높았으며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따른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정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t=7.08, 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높게 지각하는 교사 집단(M=3.60)이 낮게 지각하는 교사집단(M=3.19)보다 자기장학의 수행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장학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 지도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따른 자기장학 수행정도 역시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즉,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요인인 비전제시, 개인적 배려, 선도적 추진성, 성과기대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교사집단이 낮게 지각하는 교사집단에 비하여 높은 자기장학 수행정도를 보였으며, 자기장학의 하위요인에서도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of their directors differed by directors’ education level, major, and possession of certificate, and whether teachers’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differed by their length of experiences in the field,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 the ranks in their positions. Also,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of their directors and teachers’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are related to each other. Four-hundred ten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its suburban areas (Kyung-gi) answered the surveys and three-hundred fifty two out of them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method to measure kindergarten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the Leadership Practice Survey (LPS) modified by Lee (2004),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Hsue (1997). The LPS consisted of five-point scaled twenty questions characterized into four subscales. To measure teachers’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was the Self-Supervision Practice Survey (SSPS) developed by Lee (1997) was modified for the study and used. The SSPS consisted of five-point scaled sixteen questions characterized into four subscale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for post-hoc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study found that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rectors’ educational level and major. In other words, directo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were more likely to be positively perceived by teachers. Also, directo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the most positively perceived by the teachers regarding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study also found that teachers’ length of experiences in the filed,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and the ranks in their posi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 of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In other words, longer experiences,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income level, and higher rank in position were related to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practice of self-supervis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erally,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s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and the degree of their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are positively related.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high perception of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re more likely to positively perceive their practices of self-supervi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