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 분석

Title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Peer Conflict in 2 years old(31~36 months) Children
Authors
김주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of characters, observation categories, entities of cause, response strategies, and entities of settlement between female and male children and institutionally experienced(re-enrollment) and inexperienced children(new enrollment), who are starting to develop the peer relationship in their 2 years old (31 to 36 months) children, at the morning-indoor- play hours through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onflicts. For fulfilling the purpose of the study, subjects were set as below. 1. What are the characters of peer-conflict in 2 years old children?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of peer-conflict between genders?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of peer-conflict between the institutionally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one? 2. What are the observation categories of peer-conflict in 2 years old children?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observation categories of peer-conflict between genders?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observation categories of peer-conflict between the institutionally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one? 3. What are the entities of cause of peer-conflict in 2-year-old children? 3-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ntities of cause of peer-conflict between genders? 3-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ntities of cause of peer-conflict between the institutionally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one? 4. What are the response strategies of peer-conflict in 2-year-old children? 4-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ponse strategies of peer-conflict between genders? 4-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ponse strategies of peer-conflict between the institutionally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one? 5. What are the entities of settlement of peer-conflict in 2-year-old children? 5-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ntities of settlement of peer-conflict between genders? 5-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ntities of settlement of peer-conflict between the institutionally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one? The participants for observation were 21 children in their 2 years old(32 to 37 months) children in S Child day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The methods applied to the study were video-taping and descriptive recode of events during the morning-indoor-play-hours. The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es referred to were as below. The characters of peer-conflict studied by Park Myung Hee(1999). The observation categories for the studies and researches quoted above were modified, supplemented, and sorted into 8 kinds so as to mee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observation categories of peer-conflict by Park Myung Hee(1999). The observation categories were categorized into two-unit-exchanges and more than three-unit- exchanges. The response strategies studied by Park Myung Hee(1999). Observation factors of the response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9 categories. The entities of settlement of peer-conflict were indebted to the studies by Park Myung Hee(1999). Observation type were divided into 5 varieties. Data collected as noted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mposition percentage.The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First, the characters of peer-conflict in 2 years old (31 to 36 months) children were noted that gender compositions and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factor to vary the characters. Between male children, occupation of subjects, physical attack, and occupation of space were recognized in order of higher frequency. Moreover,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the characters were occurred in the same order as between male children. However, between female children, occupation of subjects, interruptions, and rejections of suggestion or help were observed in this order. Also, between inexperienced children, occupation of subjects, physical attack, and occupation of space were recognized in this order. Between inexperienced and experienced children, occupation of subjects, interruptions, occupation of space, destruction, and physical attack were noticed, but, between experienced children, occupation of subjects, rejections of suggestion or help were occurred in order of higher frequency. Second, the observation categories of peer-conflict in 2 years old (31 to 37 months) children did not vary depend on factors. The observation categories of peer-conflicts were recognized three categories, four categories, and two categories exchange in order of higher frequency without any relationship with gender or experiences. Third, the entities of cause of peer-conflict in 2 years old (31 to 36 months) children children were different from gender compositions and experiences. Male children and inexperienced children were caused the peer-conflict. Forth, the response strategies of peer-conflict in 2 years old (31 to 36 months) children were observed that gender compositions and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factor to vary the response strategies. The response strategies between male children were obedience, simple insistence, and physical appeal, although, between female children, excuses, explanations, compromise, obedience were detected frequently. Fifth, the entities of settlement of peer-conflict in 2 years old (31 to 36 months) children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tween experienced and experienced children although gender composition did not affect the result. Irrespective of gender, self settlement, teacher’s voluntary arbitration, and help request were ranked on top. Between inexperienced or inexperienced and experienced children, self settlement, teacher’s voluntary arbitration, and help request were noticed in higher frequency; between experienced children, self settlement, teacher’s voluntary arbitration, and teacher’s or children’s voluntary arbitration was ranked.;본 연구의 목적은 본격적으로 또래관계가 발달하기 시작하는 만 2세아(31~36개월)가 또래와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갈등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갈등의 내용, 갈등의 단위, 갈등야기주체, 갈등해결전략, 갈등해결주체에 있어 성별(남, 여)과 기관경험(신입원아, 재원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내용은 어떠한가? 1-1.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내용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내용은 기관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단위는 어떠한가? 2-1.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단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단위는 기관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야기주체는 어떠한가? 3-1.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야기주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2.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야기주체는 기관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은 어떠한가? 4-1.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2.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은 기관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해결주체는 어떠한가? 5-1.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해결주체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2.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해결주체는 기관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S 어린이집 만 2세아(31~36개월)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오전실내자유놀이시간 중 갈등을 기본단위로 하여 비디오 촬영과 함께 서술식 사건기록법으로 기록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갈등의 내용은 박명희(1999)가 사용한 관찰범주를 참고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총 8개의 관찰범주로 분류하였다. 갈등의 단위는 박명희(1999)의 연구를 참고로 두 단위 교환과 세 단위 이상 교환으로 분류하였다. 갈등해결전략은 박명희(1999)가 사용한 관찰범주를 참고로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총 9개의 관찰범주로 분류하였다. 갈등해결주체는 박명희(1999)의 연구를 참고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총 5개의 관찰범주로 분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간 갈등의 쟁점이라고 할 수 있는 갈등의 내용을 살펴보면 사물 소유하기, 신체적으로 공격하기, 영역 소유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놀이 끼어들기, 차례 지키지 않기, 행동 중단시키기, 제안 및 도움 거부하기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의 내용은 성별과 기관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갈등의 내용을 살펴보면 남아-남아간에는 사물 소유하기, 신체적으로 공격하기, 영역 소유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남아-여아간에는 사물 소유하기, 신체적으로 공격하기, 영역 소유하기, 여아-여아간에는 사물 소유하기, 놀이 끼어들기·제안 및 도움 거부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관경험에 따른 갈등의 내용을 살펴보면 신입원아-신입원아간에는 사물 소유하기, 신체적으로 공격하기, 영역 소유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입원아-재원아간에는 사물 소유하기, 놀이 끼어들기·영역 소유하기, 망가뜨리기·신체적으로 공격하기, 재원아-재원아간에는 사물 소유하기, 제안 및 도움 거부하기, 놀이 끼어들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 2세아(31~36개월)의 갈등의 단위는 세 단위 교환, 네 단위 교환, 두 단위 교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래간 갈등의 단위는 성별과 기관경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성별과 기관경험에 관계없이 세 단위 교환, 네 단위 교환, 두 단위 교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시 갈등을 야기하는 주체는 성별과 기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여아보다는 남아가, 재원아보다는 신입원아가 좀 더 많은 갈등을 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만 2세아(31~36개월)가 또래간 갈등시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은 순응하기, 단순주장·부정하기, 이유대기·설명하기, 힘 행사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나 또래에게 도움 요청하기, 되찾아오기, 무시하기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만 2세아(31~36개월)가 또래간 갈등시 사용하는 갈등해결전략은 성별과 기관경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갈등해결전략을 살펴보면 남아-남아간에는 순응하기, 단순주장·부정하기, 힘 행사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남아-여아간에는 순응하기, 단순주장·부정하기, 울기, 여아-여아간에는 이유대기·설명하기, 타협·대안 제시하기, 순응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관경험에 따른 갈등해결전략을 살펴보면 신입원아-신입원아간에는 순응하기, 힘 행사하기, 단순주장·부정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신입원아-재원아간에는 순응하기, 이유대기·설명하기, 단순주장·부정하기, 울기, 재원아-재원아간에는 이유대기·설명하기, 타협·대안제시하기, 순응하기, 단순주장·부정하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만 2세아(31~36개월)의 또래간 갈등상황에서 갈등을 해결하는 주체는 영아 스스로 해결한 경우,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한 경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만 2세아(31~36개월)의 갈등해결주체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나 기관경험에 따라서는 다르게 나타났다. 갈등해결주체는 성별에 관계없이 영아 스스로 해결한 경우, 교사가 자발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한 경우,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한 경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관경험에 따라 살펴보면 신입원아-신입원아간, 신입원아-재원아간에는 영아 스스로 해결한 경우, 교사가 자발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한 경우,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한 경우 순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재원아-재원아간에는 영아 스스로 해결한 경우, 교사가 자발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한 경우, 교사와 또래가 자발적으로 개입하여 해결한 경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