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용환승-
dc.contributor.author이도봉-
dc.creator이도봉-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26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5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82-
dc.description.abstract제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됨에 따라 교육 현장은 개별적으로 지식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전통적인 학습 방법을 탈피하여 팀 단위의 협동적인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해 고등 사고력이나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적 기술 등을 기를 수 있는 팀 프로젝트 학습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도입된 수행 평가로 인해 학생들뿐만 아니라 교사가 해야 할 일들이 점차 많아졌다. 수행 평가는 혼자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 팀 단위, 모둠 단위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은데, 그 팀과 모둠까지 다양한 종류의 업무 과다인 교사가 신경 써서 배분해 주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급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교우관계 지도가 표면적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부적응 학생 혹은 일명 왕따라고 불리는 학생들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문제의 경우도 교사가 일일이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인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학급에서 일어나고, 수업에서 발생되는 이러한 다양한 문제들을 효과적이고 실제적으로 교사가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GIS(지리정보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것은 현실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팀 프로젝트 시에 학생들을 임의적으로 배분하지 않고, 방과 후 가까운 거리의 학생들끼리 조를 배치하여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울 뿐 아니라, 새 학기 교우관계 형성 시에나 부적응 학생들을 통학을 함께 할 수 있는 학생들과 학급 자리배치를 실시 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현장 학습 시 교통편이 같은 학생들 끼리 조를 편성하여 한반의 학생을 통솔하기 어려운 외부에서의 현상학습을 나가게 될 때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carried out, in education fields, the use of team project learning method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method of merely memorizing and understanding individual facts, are on the gradual increase, which enables the learners to cultivate a high level of think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skills by means of cooperative problem solving solutions in a group. In addition, the workload of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troduced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lthough man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may be done by one single student, they are usually carried out by a group or a small discussion unit. Since teachers' workload is already so heavy with various kinds of work, it is not easy for them to take great care of and allocate such teams or discussion units. Furthermore, since instruction of peer relationships in a class is likely to be conducted in a superficial manner, there are frequent occasions when students showing maladjustment or called "cast-off" appear. In this regard as well, it seems beyond teachers' capacity to handle each of such problems. Thus, this study has introduce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teachers to take care of such various problems in classes efficiently and practically. Facing up to reality, this enables students to use time efficiently by assigning in the same group those who are living in the neighborhood rather than assigning them randomly when a team project is needed after school. Besides, This has designed and embodied a class seat placement system which can be helpful for peer relationships when a new semester comes, and which has the partner attend school together with the other one who shows maladjustment. This further organizes the students who use the same transportation route into groups when they go on a field trip so as to take advantage of this system even during occasions outside such as field trips which are hard for the teacher to control all the students in the cla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1.1 연구 배경 = 1 1.2 연구 목적 및 내용 = 3 Ⅱ. 시스템의 이론적 배경 = 5 2.1 학급 경영 = 5 2.1.1 학급 경영에서의 교사의 역할 = 5 2.1.2 학급 관리에서의 교사 업무 분석 = 8 2.1.3 학급에서의 생활지도 = 9 2.2 수행평가와 협동학습 = 10 2.2.1 수행평가 = 10 2.2.2 협동학습 = 11 2.3 GIS에 관한 이론 고찰 = 12 2.3.1 GIS에 관한 정의 = 12 2.3.2 GIS 데이터 유형에 따른 특징 = 14 2.3.3 GIS 데이터 구조 = 17 2.3.4 GIS 데이터 형식 (GIS상에서의 공간 데이터 형식) = 21 Ⅲ. GIS를 활용한 교사 도움 시스템의 설계 = 23 3.1 교사 도움 시스템의 제안 = 23 3.2 교사 도움 시스템의 전체 구조 = 24 3.3 교사 도움 시스템의 지도데이터 구성 = 27 3.3.1 서울시_구 데이터 = 27 3.3.2 서울시_행정동 데이터 = 28 3.3.3 서울시_길 데이터 = 29 3.3.4 서울시_건물 데이터 = 30 3.3.5 서울시_강 데이터 = 31 3.3.6 서울시_POI 데이터 = 31 3.4 교사 도움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설계 = 32 3.4.1 학생 정보와 주소 매핑 데이터베이스 = 33 3.4.2 속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 37 Ⅳ. 교사 도움 시스템의 구현 = 40 4.1 시스템 구현 환경 = 40 4.2 시스템의 구성 = 41 4.2.1 사용자 관리 기능 = 42 4.2.2 라벨링의 기능 = 43 4.2.3 지번 검색 표시 기능 = 46 4.2.4 학생 주소 위치 표시 기능 = 49 4.2.5 그룹 지정 기능 = 53 4.2.6 인쇄하기 기능 = 55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 57 참고문헌 = 59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98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GIS와 학생 주소 정보를 활용한 교사 도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sign and Embodiment of the Teacher Assistance System Utilizing GIS and Student Address Information-
dc.creator.othernameLee, Do-Bong-
dc.format.pageix, 62-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컴퓨터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