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시각기의 구조와 기능」단원에서 동물 해부실험 수업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시각기의 구조와 기능」단원에서 동물 해부실험 수업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using Animal Dissection of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dissection experiments in 「structure and function of visual organs」for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황혜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시각기의 구조와 기능」단원을 학습할 때 소 눈을 이용한 동물 해부실험 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광명시 소재의 남녀공학인 K중학교 2학년 4개 학급 138명을 대상으로 하여, 2개 반은 실험 집단, 2개 반은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동물 해부실험을 이용한 수업을, 통제 집단에는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여 2차시에 걸쳐 처치를 하였다. 수업 처치 전·후에 학업성취도 검사와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후에 실험 집단에 한하여 해부실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글쓰기 활동을 실시였다. 검사 결과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과 이원공변량분석(two-way 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 해부실험을 이용한 수업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 .05). 성별과 성취수준에 따른 수업 처치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동물 해부실험을 이용한 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학업성취도면에서 남학생에게 효과적이었으나(p< .05), 여학생에게는 효과적이지 않았다(p> .05). 그리고 성취 수준별로는 중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나(p< .05), 상위 및 하위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p> .05). 둘째, 동물 해부실험을 이용한 수업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중학생의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 .01). 성별과 성취수준에 따른 수업 처치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동물 해부실험을 이용한 수업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면에서 남·여학생들 모두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 .05). 성취 수준별로는 상위 집단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p> .05), 중위 집단(p< .01), 하위 집단(p< .05)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를 해부실험에 대한 인식, 해부실험에 대한 흥미, 해부실험의 필요성의 3개 하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동물 해부실험을 이용한 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해부실험에 대한 흥미, 해부실험의 필요성 영역에서 효과적이었다(p< .01). 셋째, 수업 처치 후 동물 해부실험을 이용한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에 한하여 글쓰기 활동을 통한 해부실험에 대한 느낌을 분석한 결과 ‘소에게 고마움을 느꼈다’(30.6%), ‘시각기의 구조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13.5%), ‘신기했다’(8.2%), ‘재미있었다’(6.1%) 등의 긍정적인 인식(58.4%)이 ‘냄새가 심했다’(18.4%), ‘징그러웠다’(13.9%), ‘미안했다’(5.7%), ‘불쌍했다’(2.0%) 등의 부정적 인식(40.0%)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징그러웠다’고 생각을 하는 비율이 높았다. 위 결과로 볼 때 소 눈을 이용한 동물 해부실험 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와 해부실험에 대한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tudents are influenced by cow-eye dissection compared to traditional way of teaching in their study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dissection experiments when learning abou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visual organs in unit 「stimulus and reaction」 of middle second grad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8 students form 'k' middle school in Gyoung-Gi-Do Gwang-Myoung City. Two classes were an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two classes were a control group. Both groups had classes twice : Experiment group had cow-eye dissection classes whereas control group had only traditional classes. Achievement and attitude tests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classes, and writing activities were only done by experiment group. ANCOVA and two-way ANCOVA were done on the result of these tests being SPSS 12.0 statistic program. Summary it the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effect cow-eye dissection class was significant compared to traditional classes(p< .05). The effect of these class was analysed according to gender and achievement level and it showed that lessons with cow-eye dissection were effective for male students(p< .05), but not for female students(p> .05). For achievement level, the dissection was significant for students in mid-level (p<. 05), but not so significant for students in mid-low level(p> .05). A cow-eye dissection was significant is improving attitude toward dissection(p< .01). A cow-eye dissection was more significantly effective for male(p< .01), and female(p< .05) students in attitude than a traditional class. For achievement level,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for students in high level (p> .05), but significant effect students in mid(p< .01) and low(p< .05). The analyzed results classified understanding, pleasure and necessity of dissection from attitude of dissection was that pleasure and necessity of dissection were effective compared to traditional class(p< .01). In writing activity about dissection, the largest number of opinions are 'thankful'(30.6%) and the others are 'disgusted'(18.4%), 'repulsive'(13.9%), 'very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is unit'(13.5%), 'marvelous'(8.2%), 'funny'(6.1%), 'Sorry'(5.7%) and 'pitiful'(20.0%). Especially, more female students have opinions 'repulsive' than male students. By considering this results, a cow-eye dissection class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achievement and attitude than traditional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