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서울시 초등학교 주변 유해환경 연구

Title
서울시 초등학교 주변 유해환경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oxious Environment around the Primary School in Seoul
Authors
이기정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운식
Abstract
교육공간은 시역의 확장과 토지구획정리사업이나 택지조성사업과 같은 지역개발에 따른 거주공간의 확대, 그리고 인구분포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학교의 입지는 토지구획정리사업이나 대규모 택지개발 사업 계획시 근린생활 시설로서 선정이 되기보다는 상업 및 주거용지를 우선 배분한 후 입지조건이 열악한 짜투리의 땅값이 싼 부지에 배분한다. 본 연구는 학교주변 유해환경이 개발 시기에 따라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또한 토지이용에 따라 유해환경의 차이가 있는지 실태를 연구·분석하여 이들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또한 그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야외조사를 바탕으로 설립시기에 따른 초등학교 학교주변과 토지이용에 따른 학교주변의 유해환경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교문으로부터 50m까지의 절대정화구역과 200m까지의 상대 정화구역에 대한 유해업소 입지 분포도를 작성하여 학교 주변 유해업소의 분포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시기에 따라 도심집중기(1960년 이전), 발전기(1960년~1980년 사이), 분산기(1980년 이후)에 설립된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각 10개교씩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도심집중기에 설립된 초등학교의 환경이 1등급 102곳, 2등급 129곳, 3등급 117곳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산기에 설립된 초등학교의 주변 환경은 1등급 0곳, 2등급 18곳, 3등급 39곳이었다. 도심집중기에 설립된 초등학교 주변에는 유해업소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특히 술집과 숙박업소가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절대정화구역에서의 유해업소도 1960년 이전에 설립된 초등학교 주변에서만 나타났다. 발전기에 설립된 초등학교 주변 환경은 도심집중기에 설립된 학교주변과 비슷한 패턴을 나타냈으며, 분산기의 초등학교 주변에는 학원, 체육시설, 독서실 등이 70% 이상을 차지해 분산기에 설립된 초등학교는 청소년들의 학습여건 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연구지역을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으로 분류하여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각 5개교씩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상업지역에 설립된 초등학교의 학교주변 환경이 1등급 141곳, 2등급 106곳, 3등급 79곳으로 가장 열악하였으며 주거지역에 설립된 초등학교의 학교주변 환경은 1등급 0곳, 2등급 10곳, 3등급 21곳으로 양호하였다. 공업지역에 설립된 초등학교 학교주변 환경은 1등급 68곳, 2등급 62곳, 3등급 80곳으로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의 유해업소 분포의 점이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학교정화구역내에 많이 분포한 업체를 보면 1위는 학원으로 24.15%를 차지하고 2위는 호프집이 6.6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주거지역의 초등학교 주변에는 유해업소보다 주변에 공원이나 녹지공간이 학교와 함께 있어 학교 주변 환경이 쾌적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서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주변의 환경이 설립시기가 오래 될수록, 토지이용이 상업지역 일수록 정화구역이 잘 지켜지지 않기 때문에 학교 주변의 유해 환경을 개선해야 하며, 이것을 결정하는데 일괄적인 학교보건법을 적용하지 말고 지역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how many harmful environments are there school, to analyze the historial development of normal environments around the school, and to classify the school according to the land utilization pattern. For the study the school zone divided into two : absolute clean zone and relative clean zone. And the school classified into three city centralization period, growth period, and decentralization period from the view points of historical development. The data are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some of data are collected from the field work. The data are analyzed statistically aid of computer techniqu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nvironment around elementary schools founded in the city-centralization period is generally poorest, with many 'adult entertainment' businesses.. The surroundings of elementary schools founded in the growth period are similar to those founded in the city-centralization period,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elementary schools built in the decentralization period are desirable because they have educational institutes, gymnasiums, and libraries around about 70% of schools. Schools in business areas are in the worst condition, and those in residential areas are in a much better condition, thanks to spaces like parks and green zone. Also, the elementary schools in manufacturing areas has characteristics in common in distribution of harmful businesses of residential areas and business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