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4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435-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지식의 양적 폭발과 급격한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정보화·지식사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과 변화 추세에 따라 학교 교육체제는 개인의 창의성과 능력을 최대한 개발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도입하여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교수·학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대응이 아닌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함수 개념을 지도할 때, 다양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을 할 경우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비례로서의 함수를 지도하고자 할 때, 학습 자료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에 의한 활동적인 수업을 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간에 학업성취도면에서 두 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함수의 표현 가운데 표를 식으로 적절히 나타내기, 상황·언어적 묘사에서 식으로 모델링하기, 식을 그래프로 스케치하기, 그래프를 식으로 나타내기의 네 영역에 있어서 두 집단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두 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천광역시 소재 B중학교 1학년 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5차시에 걸쳐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습 자료 중심의 상호작용을 한 집단과, 교과서와 활동지만을 이용하여 수업을 한 집단간의 학업성취도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상황 속에서 학습 자료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을 한다면, 학생-학습 자료-학생사이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함수개념을 올바르게 인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Janvier(1987)의 표현들간의 번역 유형에 따라 대응표를 식으로, 상황·언어적 묘사를 식으로, 식을 그래프로, 그리고 그래프를 식으로 바꾸는 문항을 분석하였다. 이 경우 네 부분의 정답률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식을 그래프로 나타내는 문항에 있어서는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즉 다양한 학습 자료를 이용한 상호작용은 함수표현들간의 번역을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개인이 어떤 행동이나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측정한 자기효능감 검사에서 두 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세 개의 하위 영역 중 자신감을 제외하고,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수준 선호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얻은 결과를 통하여 비례로서의 함수개념을 도입함에 있어 다양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학습 자료-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앞으로 학생들 수준에 맞는 다양한 자료개발이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교수-학습방법으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 Recent Society is the societ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which have a explosion of knowledge and feature of changes rapidly. According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a trend of change, The school education system have to get the study method for maximum developing individual creativity and ability and to develop the variable materials and is demanded to have a learning and studying. So according 7rd mathematics curriculum, when teaching a function concept not correspondence but proportional relation, I would like to know the effect if using various learning material. For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Is there a the attentive difference at school achievement in two parts groups which active studies by correspondence with a study material, when teaching a function of appears at 7rd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following four field, which the expression of formulas, modeling of formulas with description of situation and language, sketch a graph with formulas, formulas expression of graph? Third, Does it exist a similar difference at self-efficacy? In order to solve these study issue, It is executed a fifteen times teaching to divide from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is experiment was executed the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Incheon. It was gained the below result to execute a independence sample t-test in order to comparison a difference of two groups through studies accomplishment and self-efficacy scale test. First, there was a noticeable study achievement difference in 05 significant levels between the group with study material reciprocal action and the group that has used only textbooks. Therefore,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study material oriented interaction in various real life situation can make students communicate mathematically between a student and study material and that lead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function correctly. Second, I analysed from table to formulas, situations-verbal description to formulas, formulas to graph and graph to formulas according to translate among representation of Janvier. In this case,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four parts is highly appeared at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control group. This is same result of classwork achievement score. Specially It appears great difference at item from formulas to graph. Correspondence using a various learning material appeared a affirmative effect to translate between expression of function. Third, there app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self-efficacy scale test. This test is the measure about ability of myself whether certain action or activity will perform successfully or not. Specially, there app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level preference except self-confidence one of the three low area. According to gain the results, when bring in the function concept of proportion, It must need the teaching-study method using various learning material through the correspondence of student-learning material-student. Also there is demanded various material development to proper student s level and it will need to switch the teaching-study method by student s correspondence using these materia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II. 이론적 배경 = 6 A. 함수의 교육적 가치 = 6 B. 학습 자료 중심의 상호작용 = 7 1. 학습 자료 중심의 상호작용 이론 = 7 2. 학습 자료 중심의 수업 활동 = 9 3. 상호작용을 위한 수업활동의 유형 = 13 (1) STAD = 13 (2) Jigsaw = 14 C. 비례로서의 함수 = 17 1. 비례로서 함수 개념의 역사적 발달 = 17 2. 함수 개념의 토대인 비례 지도 = 19 (1) 정비례·반비례관계의 의미 = 20 (2) 정비례·반비례관계의 지도 = 21 3. 우리나라의 함수 교육과정 = 21 (1) 6,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함수 개념 = 22 (2) 7차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함수 교육 = 24 D. 함수의 표현 = 25 1. 수학에서 사용되는 표현과 표현들 간의 번역 과정 = 25 2. 함수의 여러 가지 표현 = 27 E. 자기효능감 = 28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 대상 = 32 B. 연구 절차 = 33 1. 연구 방법 = 33 2. 실제 교실 수업 = 37 C. 검사도구 = 42 1. 실험 전 진단평가 = 42 2. 사후 학업성취도 = 42 3. 함수 표현능력 검사 = 43 4. 사전·사후 자기효능감 검사 = 44 IV. 연구결과 및 분석 = 45 A.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분석 = 45 1. 진단평가 결과 = 45 2.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를 통한 두 집단간의 비교 = 46 B. 함수 표현능력 검사 결과 분석 = 47 1. 대응표를 식으로 만들기 = 47 2. 상황·언어적 묘사에서 식으로 모델링하기 = 48 3. 식을 그래프로 스케치하기 = 49 4. 그래프를 보고 식 구하기 = 51 C. 자기효능감 검사 결과분석 = 52 1. 사전 자기효능감 검사 결과 = 53 2. 사후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한 두 집단간 비교 = 54 V. 결론 및 제언 = 56 A. 수학 수업의 학업성취도면 = 56 B. 수학적 자기효능감면 = 57 C. 제언 = 59 참고문헌 = 60 부록 1 진단평가 검사지 = 64 부록 2 시 학력고사 함수영역 문제 = 67 부록 3 함수개념 사후 검사지 = 68 부록 4 자기효능감 검사지 = 71 부록 5 차시별 수업지도안 = 73 부록 6 차시별 학습활동지 = 86 부록 7 실생활에서 찾은 정비례 반비례의 예 = 111 부록 8 4차시 게임 문제와 정답 = 112 부록 9 마술상자(변수상자) = 114 부록 10 데카르트의 기발한 생각 = 115 부록 11 Equation Grapher 프로그램을 이용한 함수 그래프 = 116 부록 12 15차시 게임 문제와 정답 = 117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027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학7-가> 함수단원 지도에서 학습 자료 중심의 상호작용에 의한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