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정아-
dc.creator장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0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4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0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사위주의 강의식 수업에서 학생 스스로 만들어가는 극화학습의 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함으로써 교육현장에 도움을 주고, 극화학습의 효과와 활용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있는 중학교 2학년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총 6회의 극화학습을 실시하였다. 극화학습은 각 과정별로 구체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자료수집, 극본작성, 연습, 연기활동, 소감문 작성까지 대부분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로 이루어졌다. Ⅱ장에서는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극화학습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직접 실행하였다. 우선 극화학습의 주제인 고려시대를 분석하였다. 원칙적으로 극화학습이 불가능한 단원은 없지만 극화학습이 모든 단원이나 차시에 효과적이지는 않다. 극화학습의 주제는 갈등상황이 보다 효과적이다. 중학생들이 학습할 고려시대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극적인 사건들과 인물들의 갈등이 뚜렷하게 대비되는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어 극화학습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주제가 선정된 후 극화학습의 각 과정을 서술하고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극화학습의 과정은 준비단계·활동단계·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의 직접적인 활동내용과 그 유의점을 자세히 서술함으로써 처음 교육현장에서 극화학습을 실행할 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극화학습 후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대본, 설문지, 소감문을 분석하여 극화학습의 효과와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대본과 학생들의 실제 연기활동을 관찰함으로써 극화학습이 학생들의 역사적 상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았다.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적 사실의 이해,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감정 이입적 이해, 역사적 판단으로 나누었으나 실제로는 복합적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구별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즉 극화학습은 기본적으로 감정이입적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하였고, 그 안에서 역사적 판단이 이루어짐으로서 전체적으로는 역사적 상상력이 신장하였다. 두 번째는 설문지와 소감문을 통하여 극화학습을 분석하였다. 극화학습이 역사에 흥미를 갖게 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으며 학습내용을 이해하고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학생들은 극화학습이 역사를 재미있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었으며 내용을 이해하고 정리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대답하였다. 또한 극화학습은 대본을 제작하고 연습하는 과정에서 민주적 토론을 거치면서 협동심을 높이는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극화학습은 학생들이 역사적 사실과 내용을 이해하고 오래 기억하는데 효과가 큰 학습 방법이었다. 극화학습의 모든 과정이 역사 학습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 스스로 자료를 찾고 대본을 작성하며 연습을 하는 과정에서 배운 학습의 결과였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둘째, 극화학습은 학생들이 역사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였다. 기존의 강의식 수업으로 일방적으로 앉아서 듣던 학습에서 벗어나 역사학습을 연극으로 한다는 것은 학생들에게 낯선 학습 방법이었다. 그러나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친구들과 어울려 연극을 한다는 점에서 극화학습은 재미있고 즐거운 교수 학습 방법이 될 수 있었다. 셋째, 극화학습은 학생들이 하나의 극을 완성하기 위하여 역사적 사건을 재구성하고, 과거 인물이 되어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판단함으로서 역사적 상상력이 향상되고 역사적 사고력이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극화학습은 내용전달의 측면 뿐만 아니라 학습태도와 가치 내면화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용한 학습 모형이며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학습방법이라 하겠다.;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plan and develop the dramatic play method in which students themselves participate out of lecture method and to inquire its effects and applicability. Aiming these purposes, I practiced six dramatic plays in all to ten classes of the second year in a middle school in Seoul. These dramatic plays were practiced concretely by each course and through an active participation of all students in collecting data, writing plays, exercising, acting, writing impression. In second chapter, a dramatic play was practiced with Goryeo(Korea) epoch as its setting. First of all the epoch was analyzed. Basically there is no textbook chapter that is impossible of playing but not in all chapters or occasions is effective the dramatic play. The subject of trouble situation was considered more effective and the Goryeo(Korea) epoch that students would study is comprised of stories contrasting distinctly against each other and causing students' interest. After choosing the subject we described each course of the play and presented teaching guide. The dramatic plays are composed of warming-up, acting, finishing steps. In this paper, the action and the attention things were concretely described so as to support the first practice in real teaching places. In third chapter, the play script, the questionnaire, and the impression writing were analysed and the effect and applicability of a dramatic play were searched. First, by observing play script and students' acting, I regarded what the dramatic play affected on students' historical imagination. I divided a historical imagination into comprehension of historic facts, reconstruction of historic events, comprehension in empathy, historic judge, but actually they were complexed so we had a limit in division. After all, in dramatic plays first students reconstructed historic facts on basis of comprehension in empathy, secondly historic judge was accomplished, and finally historic imagination was enlarged. For second, I analysed the dramatic plays through questionnaire and impression writing that is for knowing if the dramatic play caused students' interest in history, encourag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play, and help their comprehension and summarization. Many students answered like as the dramatic play was a help in studying history more interestingly and understanding and summarizing the content. Besides a dramatic play has a second effect of heightening unionship by democratic discussion during the script writing and its exercising. In conclusion, a dramatic play was an effective study method in students' understanding and long memorizing. All thosecourses of dramatic play were analyzed helpable in history studying. This is regarded as resulting from studying by searching data and writing script and exercising by students themselves. A dramatic play induced students' participation with more interest in history. A history studying through dramatic play was unfamiliar but this method where students express their original idea and play together was an interesting and amusing teaching-studying method. Through a dramatic play, students reconstruct historic events to make a piece of play, comprehend and judge their thought and emotion acting as a past character, so as a result their historic imagination improved and their historic thinking enlarged. After all, a dramatic play method is a very useful study model not only in delivering content but also in learning attitude and worth-internalizing, and is a method helping enlarge historic think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4 Ⅱ. 극화학습의 실제 = 5 A. 단원의 분석과 극화학습 = 5 B. 극화학습의 과정 = 7 C. 극화학습의 적용 = 11 Ⅲ. 연구 결과 분석 = 26 A. 극화학습 활동 분석 = 26 1) 역사적 사실의 이해 = 29 2) 역사적 상황의 재구성 = 32 3) 감정이입적 이해 = 35 4) 역사적 판단 = 38 B. 설문지 분석 = 42 1) 극화학습의 흥미도 및 능동적 참여 = 42 2) 극화학습의 학습 효과 = 46 C. 소감문 분석 = 50 1) 역사적 지식과 이해 = 50 2) 종합적 이해 및 가치의 내면화 = 51 Ⅳ.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6 부 록 = 59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15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역사교육에서 극화학습 지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dramatic play method in middle school histor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Jang, Jung-Ah-
dc.format.pagev,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