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중, 고등학교 수학교과 관찰평가 실태조사 및 현장적용

Title
중, 고등학교 수학교과 관찰평가 실태조사 및 현장적용
Authors
하유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is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bservational assessment performed by mathematics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aims to present a desirable future of observational assessment method.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205 mathematics teachers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with the method of paper investigation, which was to sent to Ewha Womans University's statistics department to be analyzed by SPSS WIN program. Observational assessment was performed as an experiment on 40 first grade students at S middle school in Kyoung-gi province with the paper investigation result as reference. General observation was done on a whole class with a checklist, and intensive observation on two selected students, whose class activities were recorded through the anecdotal records method for 4 weeks to draw up two individual profile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below. Firstly, teachers notably well recognize in which way the mathematics educational assessment method needs to be improved, as well as how diverse the assessment purposes can be. In addition, they were found to intend to improve the student assessment methods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ystem. Secondly,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observational assessment seems limited to outward factors such as homework, attitude in class and sincerity in regular life, whereas inward factors as like mathematical inclination or abilities were hardly applied, though the paper investigation shows 205 teachers(63.7%) adapts observational assessment in their classes. Thirdly, when the researcher performed the observational assessment on a class, it was possible to find suitable teaching methods for both individuals and the whole group, to correct misunderstood concepts and also to find out various working methods desired by different students. Such diversity helped the researcher to properly encourage and stimulate students. Additionally, a checklist made it easier to observe introspective quiet students. As a conclusion, observational assessment is a remarkably effective method enabling teachers to understand students and control their study abilities by collecting diverse information. It goes along with the present educational schemes in Korea focusing on integrated observation on class, which are different from objective or a single word test used in the past days.;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의 관찰 평가가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찰을 하면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고찰하고, 실제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 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 관행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중, 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의 관찰평가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3.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관찰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중, 고등학교 수학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관찰평가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하는 S중학교 1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하고, 체크리스트, 일화기록법, 평정척도법을 활용한 개인 프로파일 작성 등을 사용하여 수학7-가 규칙성과 함수 단원의 과정에 대한 수업 중에 학생 관찰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평가의 목적이 학습 목표 달성 정도 파악, 평가의 결과의 피드백과 교수방법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평가가 수업의 연장으로 연속적인 과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수업동안 학생을 평가하기 위해 학생들을 관찰하고 들음으로써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자료를 모을 필요가 있음을 잘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 평가의 개선방향을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그리 다양하지 못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행하고 있었다. 둘째, 서울, 경기 지역의 205명의 수학교사 중 63.4%가 현재 관찰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수업시간에 수시로 이루어졌다. 관찰 평가 시 관찰 도구는 주로 체크리스트와 평정척도법이었으며, 관찰 항목으로는 성실성과, 수학적 성향, 수업태도였으며, 수학적 개념, 추론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수학적 능력을 관찰하는 교사는 13%에 불과하여서 관찰 평가가 수학 외적인 것을 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런 인지적 항목 등은 지필평가로 더 정확히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현실적으로 교사의 주관이 개입되므로 객관적인 관찰평가가 힘들고, 학부모,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문제, 학생의 교사에 대한 불신, 높은 교사와 학생 비율, 교사의 업무 과다, 평가 관행을 개선하고자 하는 교사의 낮은 의욕 등이 장애가 되어 관찰 평가 실시를 힘들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관찰 평가 사례연구 결과,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의 강점, 약점을 파악하고 성취 정도를 판단할 수 있었고, 관찰 기록을 개인적으로 누적하여 프로파일을 정리하여 특정 학생 또는 특정 내용 영역에 대하여 어떤 경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양적 평가 결과와 질적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학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교육적 의사 결정에 활용할 수 있었다. 관찰 결과는 학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생, 학부모와의 면담에서 활용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성적에 반영하지 않는 평가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촉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고 관찰 평가로부터 얻어진 정보가 객관화된 양적 데이터로 일반화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점검 기록표와 평정표 등을 잘 활용한다면 성적에 반영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관찰 평가와 같은 질적인 평가 자료는 그 밖에도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한 여러 아이디어들을 산출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을 항상 열어 줄 것이며, 학생들을 경청하고, 관찰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나오는 결과들이 문서화된다면 전체적인 평가는 보다 풍부해지고 학생, 교사 학부모 등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