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하진-
dc.creator신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61-
dc.description.abstract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능력 수준 혹은 흥미와 적성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관심을 발전시켜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선택 과목 『음악과 생활』을 택한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과목을 선택한 이유 등을 알아보고, 제 7차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만족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결국 교사의 수업설계와 운영에 도움을 주며 효율적인 음악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하에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음악과 생활』을 선택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10가지의 반응척도를 기초로 하여 설문을 작성하였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여 만족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 학생은 총 515명이며, 성별 분포는 남학생 177명, 여학생 338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업에 대한 만족도 측정은 건의 사항을 포함하여 10개의 측정범주에 따라 40문항을 작성하였고, 5점 리커트 척도에 각각 표시하도록 하였다. 고등학생들의 『음악과 생활』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생활』과목을 선택한 이유를 묻는 문항에서는 ‘음악이 좋아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274명(53.2%)로 자신의 흥미를 고려해 선택한 학생이 많았다. 반면에 ‘다른 예능과목에 비해 학습에 필요한 준비가 수월해서’와 ‘점수 따기 쉬워서’라고 답한 학생이 118명(22.9%), 28명(5.4%)로, 여전히 학생들은 과목 선택에 있어, 내신의 부담을 떨칠 수 없음을 보이기도 했다. 둘째, 일선 음악교사와 교무부장, 교감선생님과의 면담을 통해 조사한 학교별 예체능 과목 선택 동향에서 살펴본 바, 부천시의 경우 약 70%에 달하는 고등학교가 체육 선택과목을 운영함에도 불구하고 음악과 미술은 각각 14.4%와 20%정도에 불과해 심각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셋째, 남학생 · 여학생 사이에 음악 과목에 대한 만족도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거의 모든 측정 범주에 대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넷째, 사전음악 훈련 여부에 따른 만족도는 훈련여부에 따란 상 · 중 · 하 집단으로 봤을 때, 거의 모든 평가 범주에서 ‘상’, ‘중’ 집단과 ‘하’ 집단의 음악 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뚜렷하게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음악과 생활』의 선택 동기가 자발적, 상대적, 타의적으로 했느냐에 따라 드러난 만족도 차이 역시 자발적 참여자와 타의적 참여자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전체 만족도 평가는 세 집단이 모두 차이를 보였다. 자발적 참여 학생 일수록 음악 수업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모든 평가범주에서 긍정적이었다. 여섯째, 학생의 음악적 관심도에 따라 느끼는 수업에 대한 만족도 차이에 있어서는 음악적 관심도에 따라 나눈 세 집단이 모두 뚜렷하게 차이를 보였다. 모든 평가범주와 전체만족도가 음악적 관심도가 많은 순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일곱째, 응답한 학생들은 모든 평가범주에 대한 만족도에 5점 만점의 3점 이상의 점수를 주고 있다. 특히, 수업 환경 분석과 교수 · 학습매체 활용에 가장 높은 평가를 내렸으며, 교수 · 학습 자료의 선택에 가장 낮은 평가를 주었다. 여덟째, 평가범주 중에서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범주는 ⑦ 교사 관련 사항과 수업방법, 피드백정도였다. 다음으로는 ⑥ 교수 · 학습자료 선택, ⑤ 학습내용의 수준 및 학습 부담이 학생들이 만족도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만족도 평가시 그 대상은 해당과목의 교사가 된다는 것을 내포하는 것이다. 본 조사의 결과, 남학생보다는 여학생, 음악적 훈련을 많이 받은 학생, 자발적으로 『음악과 생활』과목을 선택한 학생, 음악적 관심이 높은 학생 일수록 수업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측정범주는 ‘교사 관련 사항’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증대시키고 효율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상의 결과를 수업 설계에 충분히 고려해야할 것이다.;The 7th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became applicable to high school students since 2002, allows students to select subject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goals, talents, aptitude and interests. The new curriculum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t can further develop students'talents and interests. The students who have chosen music subject as their elective course are the ones who have certain expectations for music, and who are willing to actively participate in music class. Considering that the more positive the learner's response is, the motivation for learning increases, examining students' satisfaction from the subject 'Music and Life' as their elective course, and why they have taken the course, will meet the goal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will provid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learner by studying current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learner's satisfaction. This will ultimately help instructors to design and manage their courses, and enable them to provide effective music education. With the abovementioned goal, a survey was done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high school juniors who selected 'Music and Life' as their elective course. The survey consisted of 10 models of response scale (① Education goal/subject contents ② Learner analysis ③ Education environment analysis, and application of instructor and teaching materials ④ Organization of instructors and education course ⑤ Teaching level/ learner's load ⑥ Selection of instructors and teaching materials ⑦ Instructor related issues and method of instruction, and level of feedback ⑧ Fairness in grading ⑨ Comprehensive evaluation ⑩Suggestions for course improvement), and this model was modified based on the 11 measurement category list for response assessment by Lee & Pershing(1999, 2002). The survey was conducted in 13 of 19 academic high schools in Bucheon, Kyunggy Province, that are running the 'Music and Life' course, and 1 to 2 classes of juniors per school were examined. The total number of the subjects were 515; 177 were male students, and 338 were female students. The survey had 40 문항uestions to measure course satisfaction, including suggestion for improvement, and students were asked to mark their answers on a 5-point Likert scale. The result of the survey for measurement of satisfaction for the course 'Music and Life' is as follows. First, for the 문항uestion asking why they have selected 'Music and Life' course, 274 students (53.2%) answered 'because of love for music', which shows that their decision was made based on their interests. However, 118 students (22.9%) answered 'because this course is easier to prepare for'and 28 students (5.4%) answered 'because this course is easier to receive good grades'. This reflects that many students were under the pressure for good grades when choosing their elective courses. Second, through interviews regarding elective art and physical education courses with music teachers, administrative directors, and deputy principals, approximately 70% of high schools in Bucheon were running physical education course as an elective course, and only 14.4% and 20% of high schools were running music and art respectively, showing a serious disproportion. Third, for whether satisfaction level is different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 in almost all measurement categories. Fourth, when students were tier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previous music schooling level; high, middle, low, the degree of satisfaction varied largely among groups in almost all measurement categories. Fifth, depending on whether the selection of 'Music and Life' course had been voluntary, relative, or at other's will, students showed dramatic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The 3 groups also showed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assessment. Students who selected the course voluntarily felt more satisfaction in all measurement categories. Sixth, when students were segment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est, the 3 groups revealed considerable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er degree of interest in music showed more positive overall satisfaction. Seventh, all students gave more than 3 out of 5 points for all measurement categories. Especially, the highest points were given to 'education environment analysis, and application of instructors and teaching materials', and the lowest points were given to 'selection of instructors and teaching materials'. Eighth, the category which influenced evaluating satisfaction level the most among all measurement categories was 'instructor related issues and method of instruction, and level of feedback'. The next was 'selection of instructors and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level/ learner's load'. This implies that when students assess their satisfaction level for a course, the subject of assessment is the instructor for that course. This study concludes that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e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music schooling, the students who voluntarily selected ' Music and Life'course, and the students with greater interest in music shows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measurement category, which approv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was 'instructor related issues'. Hence, the aforementioned should be reflected when designing a course in order to generate higher motivation to learn for students, and to provide more efficient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4 1. 연구 방법 = 4 2. 연구 대상 = 4 3. 연구 절차 = 4 D. 연구의 제한점 = 5 E. 용어 정리 = 6 1. 만족도 = 6 2. 음악적 훈련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과 고교 선택과정의 성격 = 7 1.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성격 및 의의 = 7 2.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상의 유의점 = 9 B. 학습자 만족도(learner's satisfaction) 확인을 위한 반응평가 = 10 1. 반응평가의 특성 = 10 2. 반응평가의 중요성 = 11 3. 반응측정범주의 분류 = 12 4. 교육과정 평가(curriculum evaluation)를 위한 반응평가 = 17 C. 학습에서의 만족도(Satisfaction) = 19 III.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2 C. 연구 절차 = 25 D. 결과 처리 = 25 IV. 연구 결과 = 27 A. 연구대상의 기초통계 결과 = 27 B. 각 학교별 예체능 과목군 선택 동향 = 29 C. 측정범주별 기초통계 = 30 1. 측정범주별 만족도 = 30 2. 측정범주별 개별문항에 대한 만족도 = 32 D. 성별, 음악 훈련 여부, 선택 동기, 음악적 관심도에 따른 만족도 = 49 1. 성별에 따른 만족도 = 49 2. 음악 훈련 여부의 차이에 따른 만족도 = 52 3. 선택 동기에 따른 만족도 = 56 4. 음악적 관심 정도에 따른 만족도 = 60 E. 측정범주별 만족도 및 전체 만족도 간의 미치는 효과 검증 = 62 1. 측정범주 및 전체 만족도의 상관행렬 = 62 2.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64 V. 결론 및 제언 = 68 A. 결론 = 68 B. 제언 = 71 참고 문헌 = 73 부록 = 76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417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 음악과 생활』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high school elective course 'Music and Life'-
dc.creator.othernameShin, Ha Jin-
dc.format.pagex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