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정은-
dc.creator한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1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96-
dc.description.abstract환경교육은 다학문적이고 간학문적인 특성이 있지만, 어느 학문보다도 환경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큰 과목이 바로 과학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McMichael과 Strom(1975)은 ‘과학만이 진정으로 환경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것을 제공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고, Bybee(1979)도 이미 오래 전에 과학이 새롭게 도래하고 있는 생태 사회의 중심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과학적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환경교육을 논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과학은 환경 교육이 요구하는 것 중 절대적인 부분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등학교 과학교사에게 도움이 되어 환경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는지를 아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경력별, 과목별, 지역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전라도의 지역 중등학교 과학교사 13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논문에서 사용한 검사지를 종합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지 문항은 63문항이며,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원변량, 빈도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은 전체평균이 3.15점이었고 남교사가 여교사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또 과목에 따라서는 생물교사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화학교사의 점수가 가장 낮아 과목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그러나 경력과 지역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5). 둘째,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태도영역은 2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이 3.58점으로 가장 높아 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또 전라도 교사의 평균이 3.74점으로 서울교사보다 높아 지역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그러나 성별과 과목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셋째,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0.47점 높아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 .05), 2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의 점수가 3.02점으로 가장 높아 경력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5). 또 생물교사가 3.02점으로 다른 과목보다 높게 나타나 과목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그러나 지역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넷째,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환경교육방법 영역은 남교사가 3.26점으로 여교사보다 높아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 .05), 경력과 과목과 지역에 있어서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다섯째,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수업접근방법 영역은 성별, 경력별, 과목별, 지역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05). 여섯째,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환경교육의 저해요인 영역에 대한 인식은 여교사가 3.06점으로 남교사보다 높아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 .05), 생물교사가 3.05점으로 다른 과목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어 과목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그러나 경력과 지역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일곱째, 전반적으로 교사들은 환경교육의 인식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매우 낮은 빈도를 보였고, 교사들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환경교육방법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가 매우 낮다고 생각하고 있었다.;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gainst the environment education of the secondary school scientific teacher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133 person secondary school scientific teachers who are located in Seoul and Junla-Do is. The test tool of this research the question item the question item which asks the recognition against an environment education 57 question item and environment education reinforcement plan is composed with the total 63 question items with 6 question item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our-way ANOVA, frequency study in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This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cognition against the environment education of the secondary school scientific teacher the man teacher the whole average to be 3.15 pieces appears more highly female teacher score and than it was visible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 statistically(p< .05) Also the score of the chemical teacher the score of the biology teacher to be high most most lowly subject especially showed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p< .05) Attitude of the scientific teacher with 3.58 teachers who have the career above 21 years most highly showed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p< .05) Junla-do teacher more highly the Seoul teacher than showed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 with 3.74 scores(p< .05). The self-efficacy regarding an environment education the man teacher seems 0.47 scores to be higher the female teacher than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p< .05), The score of the teachers who have the career above 21 years most highly was visible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 with 3.02 pieces(p< .05). Environment instructional method with 3.26 man teachers more highly the female teacher than were visible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p< .05). The teaching approach method against an environment education sex, the career and the subject, was not visible the difference which is area star all meaning(p> .05). Barriers factor of environment education the female teacher seems to be higher the man teacher than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p< .05), it got the score which is higher the subject where the biology teacher is different than the difference which is meaning it showed(p< .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환경교육의 개념 = 5 B. 환경교육의 목적 = 6 C. 환경교육의 의미 및 배경 = 8 D.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실태 = 9 1. 정규교육과정을 통한 환경교육 = 9 2. 민간환경교육(사회환경교육) = 14 E. 환경교육의 특징 = 15 F. 환경교육의 내용 = 18 1.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내용 영역과 요소 = 19 2. 환경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 20 G.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 21 1. 소집단 토의학습을 통한 환경교육 = 22 2. 역할놀이(Role-Playing)활동을 통한 환경교육 = 22 3.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환경교육 = 23 4. 현장학습을 통한 환경교육 = 24 5. 조사학습을 통한 환경교육 = 24 H. 환경교육 학습장의 필요성 = 25 1. 현장체험학습의 필요성 = 25 2. 환경교육 학습장의 필요성 = 26 I. 환경교육의 방향 = 26 J. 선행연구 = 2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2 A. 연구대상 = 32 B. 연구절차 = 32 C. 검사도구 = 34 D.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3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6 A.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 36 B.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태도 = 38 1.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 = 39 2.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 42 3.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교육과 환경교육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 = 45 C.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 = 47 D. 과학교사의 환경교육방법 = 49 1. 현재의 환경교육방법이 학생들의 지식, 태도, 기술면에 미치는 효과 = 51 2. 바람직한 환경교육방법이 학생들이 지식, 태도, 기술면에 미치는 효과 = 54 E. 과학교사의 환경교육에 대한 수업접근방법 = 56 1. 중등학교 과학교사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수업접근방법 = 58 2. 중등학교 과학교사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수업접근방법 = 61 F. 과학교사가 생각하는 환경교육의 저해요인 = 63 G.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검사지의 문항 분석 = 65 H. 환경교육 강화 방안에 대한 문항 분석 = 82 Ⅴ. 결론 및 제언 = 89 참고 문헌 = 91 <부록 1>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검사지 = 97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61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condary School Scientific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Environmental Issues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Seoul and Junla-Do Perspective-
dc.creator.othernameHan, Jung Eun-
dc.format.pagexi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