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미영-
dc.creator정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3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5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geography atlas used under the 7th Curriculum and geography of Korea and Geography of world and examine complementary features among materials contained in the textbooks and geography atlas through case analysis. Above all, the results from an analysis of average number of materials by lesson of geography atlas and that of pages by lesson of geography textbook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irst, for geography of Korea, the ratio by lesson was found identical to that of textbooks, and the difference in ratio between geography atlas and textbooks was enormously low at average 3.3%. Second, for geography of world, the ratio by lesson was also found mostly similar to that of geography atlas except slight difference in order, which indicates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by lesson of geography atlas and textbooks of geography of Korea and world is similar even in the 7th Curriculum with dramatic changes. Next, as a result of selecting key items of each lesson of the textbooks and investigating such items and materials contained in the 9 types of geography atlas, the study showed that most materials essentially needed to reach the goals of overall curriculum and each lesson of geography of Korea and geography of world were contained in geography atlas, but whether additional materials were contained or not varied by lesson and the type of geography atlas to some extent. Finall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terials contained in geography atlas and textbooks by selecting a case lesson from geography of Korea and geography of world, respectively,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ost materials contained in geography atlas have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geography textbooks in that they provide basic materials for lesson and diversified materials other than those in the textbooks. Second, the geography atlas and the textbook that are published by the same publishing company contain exactly the same materials or materials with the same content but slightlydifferent formats, which is considered as an improvement area and publishing compani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is when they publish geography atlases. Third, we found that the materials of geography atlas and those of textbook had a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ship largely in the following two types. The first type is for the materials of geography atlas and those of textbook to specify each other, on the basis of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ship, while the second type is to maintain a mutual complementary relationship from the viewpoint of curriculum, by providing different materials about common theme. Considering the overall geography atlas, the second type is found more frequently than the first.;지리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교재인 지리부도의 활용은 높은 학습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지리부도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이 교과서에 대한 분석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리부도에 대한 분석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특히 교육 과정에 있어서 큰 변화가 나타난 제 7차 교육 과정의 지리부도에 대한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9종의 고등학교 지리부도를 이와 관련된 5개의 지리 관련 과목 중 심화 선택 과목인 『한국지리』, 『세계지리』 교과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단원별 비중 및 수록 내용을 비교하여 지리부도와 개별 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들과 지리부도에 수록된 자료들 간의 상호 보완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발간된 지리부도와 심화 선택 과목인 『한국지리』,『세계지리』교과서와의 관련성을 양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9종의 지리부도에 수록된 모든 자료들을 『한국지리』와 『세계지리』교과서 단원별로 분류하여 단원별 평균 자료 수의 비중을 살펴본 뒤, 5종의 한국지리 교과서와 3종의 세계지리 교과서의 단원별 평균 구성 면수 비중과 비교하여 지리부도의 단원별 비중과 교과서의 단원별 비중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지리부도와 『한국지리』,『세계지리』교과서와의 관련성을 내용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교과서의 각 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근거하여 단원별로 주요 항목을 선정한 뒤 각 항목들과 관련된 자료들이 지리부도에 수록되어 있는지, 그리고 수록되어 있다면 어느 정도 수록되어 있는지 자료 수록 상황을 조사한 뒤 그 내용을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관련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지리부도에 수록된 자료들과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자료들 간의 상호 보완성이나 내용 중복 여부 그리고 내용이 중복될 경우 그 자료들 간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교과서에서 각각 한 단원씩을 사례 단원으로 선정하여 지리부도에 수록된 자료들과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들 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우선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발간된 9종의 지리부도와 심화 선택 과목인 『한국지리』,『세계지리』 교과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지리부도의 단원별 평균 자료 수 비중과 교과서의 단원별 평균 면수 비중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지리 분야의 경우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단원별 비중이 모두 ‘Ⅴ. 여러 지역의 생활’ - ‘Ⅱ. 국토의 자연 환경’ - ‘Ⅳ. 생활권의 형성과 변화’ - ‘Ⅲ. 생활권 형성 기능’ - ‘Ⅰ. 국토의 이해’ - ‘Ⅵ. 국토 통일의 과제와 노력’ - ‘Ⅶ 지역 간의 상호 의존’의 순서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단원별 비중 격차 역시 평균 3.3%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둘째, 세계지리 분야의 경우에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단원별 비중 격차는 한국지리 분야보다 높은 5.5%로 나왔으나 지리부도와 교과서 모두 비중이 가장 높은 단원은 ‘Ⅰ. 세계와 지리’, 비중이 가장 낮은 단원은 ‘Ⅵ. 세계의 과제’로 나타났으며 그 순서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일 뿐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단원별 비중이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통사회(하) 한국지리』 교과목 하나의 교육 과정에 의해 한국지리 분야가 구성되고, 『세계지리』교과목 하나의 교육 과정에 의해 세계지리 분야가 구성된 6차 지리부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0학년『사회』와 『인간 사회와 환경』의 지리 영역 및 『한국지리』, 『세계지리』, 『경제지리』 등 총 5개 교과목의 교육 과정을 재구성하여 내용이 구성된 7차 지리부도의 경우에도 『한국지리』,『세계지리』 각 교과서와 지리부도의 단원별 비중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지리』,『세계지리』교과서의 각 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근거하여 단원별로 주요 항목을 선정한 뒤 9종의 지리부도에서 각 항목들과 관련된 자료들의 수록 상황을 조사한 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교과서의 전체적인 교육 과정과 각 단원의 단원 목표를 달성하는 데 꼭 필요한 대부분의 자료들은 지리부도에 수록되어 있으나, 그 외에 부가적인 자료들의 수록 여부는 단원별로 그리고 지리부도별로 약간씩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관련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교과서에서 각각 한 단원씩을 사례 단원으로 선정하여 지리부도에 수록된 자료들과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들 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부도에 수록된 자료들 대부분이 교과 내용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과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은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교과서와 상호 보완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일한 출판사에서 제작된 교과서와 지리부도에서도 수록된 자료가 완전히 중복되거나 형태만 약간씩 다를 뿐 동일한 내용의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어 이 부분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지리부도 제작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지리부도에 수록된 자료와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지리부도와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 자체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면서 하나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경우이며, 두 번째 유형은 수록된 자료들이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으나 서로 다른 내용의 자료들을 제시함으로써 교육 과정상에서 볼 때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갖는 경우이다. 지리부도 전체를 놓고 볼 때는 첫 번째 유형보다 이 두 번째 유형에 해당하는 사례가 더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분석은 지리부도와 『한국지리』 교과서 혹은 지리부도와 『세계지리』 교과서만을 놓고 분석해 볼 때 각 교과목의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어떤 내용의 자료들이 지리부도에 수록되어 있는지 그리고 부족한 자료들은 무엇인지를 살펴본 것이다. 따라서 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리부도의 내용 구성이 바람직한가 아닌가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각 교과목과 지리부도의 관련성 역시 교사가 주어진 교육 과정을 어떻게 재구성하느냐에 따라 그 관련성뿐만 아니라 활용 범위도 크게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리부도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교사들은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적절히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ⅵ Ⅰ. 서 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지리부도의 조건 및 역할 = 6 B. 교육 과정과 지리부도의 변천 = 8 C. 선행 연구 = 12 Ⅲ.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단원별 비중 및 내용 분석 = 14 A.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단원별 비중 분석 = 14 1. 『한국지리』교과서와의 단원별 비중 분석 = 14 2. 『세계지리』교과서와의 단원별 비중 분석 = 19 B. 지리부도와 교과서의 단원별 내용 분석 = 25 1. 단원별 내용 분석의 의미 및 한계점 = 25 2. 『한국지리』교과서와의 단원별 내용 분석 = 26 3. 『세계지리』교과서와의 단원별 내용 분석 = 38 Ⅳ. 지리부도와 교과서에 수록된 자료 간의 상호 보완성 분석 = 49 A. 『한국지리』단원의 사례 분석 = 49 B. 『세계지리』단원의 사례 분석 = 55 Ⅴ. 결론 및 제언 = 59 참 고 문 헌 = 63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29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지리부도와 『한국지리』,『세계지리』교과서와의 관련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y Atlas and Geography of Korea and Geography of World-
dc.creator.othernameJung MI-young-
dc.format.page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