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연경-
dc.creator박연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0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50-
dc.description.abstractA principal and teachers that are part of the school organization is often faced with a situation in which he or she has to choose one from many different alternatives in the course of fulfilling educational goals effectively. To make efficient and wise decisions, he or she will solicit participation from teachers that are part of the school organization. Teachers get to accustom themselves to the teaching community and develop self-regulation through such decision making processes.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be relatonship between teachers′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and teacher efficacy,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ubordinate fileds of decision making and the concept and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perceived by the teachers? 1-1.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career? 1-2.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position? 1-3.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membership of a teacher's organization? 2. What is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perceived by the teachers? 2-1.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career? 2-2.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position? 2-3.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membership of a teacher's organization? 3. What relatonship is there between their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and teacher efficac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otal 247 teachers teaching at 2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asked about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and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factors such as career, position, and membership of a teacher's organization. Those who had a longer career, held office as head of a department, or joined a teacher's organization thought participated more in a decision mak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eacher efficacy and its subfactor, self-regulatory efficacy,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factors such as career, position, and membership of a teacher's organization. Those who had a longer career, held office as head of a department, or joined a teacher's organization showed a higher level of teacher 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other subfactors of 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to positively correrated relatonship teachers′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and teacher efficacy. Thought participated more in a decision making, the higher level of teacher efficacy and self-regulatory efficacy was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given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position, it's clear that there were still restricted chances for them to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processes regarding school administration. Since decisions were usually made by those teachers who led a department or had a long career, common teachers who had a short career or no position were not given the most chances to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exactly. It's a must that they should be given more of such chances. Second, those teachers who were members of a teacher's organization perceived the participated more in a decision making , which induced much participation from teachers and showed a higher level of teacher efficacy, which implies that their activities in their organiz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life in teaching community. Third, those who had a longer career or held office as head of a department revealed a higher level of teacher efficacy and one of its subfactors, self-regulatory efficacy. Obviously the chances to adapt to life in teaching community must have great influences on their sense of efficacy. Accordingly, the teachers with a short career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adapt, and such programs as can help increase teacher efficacy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following issues would be desirable for future study: First, there are limitations to interpretation only with quantitative study. More multilateral and in-depth study should be conducted by also adopting qualitative study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ory participation.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with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and teachers' background factors.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reasons why there were no such differences with 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future study should try to set more diverse background factors and alter the items.;학교교육 구성원인 학교장과 교사는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수많은 대안 중에 하나를 택해야 하는 의사결정 상황에 자주 직면하게 된다. 효율적이고 현명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학교조직 구성원인 교사를 참여시키게 된다. 교사는 이러한 의사결정에의 참여를 통하여 교직사회에 적응하게 되며 자기조절능력을 키워가게 된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문헌 연구를 통해 의사결정 영역을 살펴보고, 교사효능감의 개념과 하위요인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사 연구를 통하여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세운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가 지각하는 의사결정 참여정도는 어떠한가? 1-1.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의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의 교원단체 가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의 수준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의 교원단체 가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교사가 지각하는 의사결정 참여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서울시 소재 총 22개 초등학교의 24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배경 변인인 교직경력, 직위, 교원단체 가입유무에 따라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지각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부장교사일수록, 교원단체에 가입한 교사일수록 의사결정에의 참여정도를 높게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인 교직경력, 직위, 교원단체 가입유무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그 하위요소인 자기조절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직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부장교사일수록, 교원단체에 가입한 교사일수록 교사효능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또 다른 하위요인인 자심감과 과제난이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교사가 의사결정에 참여한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높아질수록 교사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소 중 하나인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경력과 직위에 따른 의사결정 참여정도에 대한 인식 결과를 살펴볼 때 여전히 학교행정 안에서의 의사결정 참여 기회는 제한되어 있었다. 부장교사와 높은 경력의 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직사회의 의사결정 성격으로 인하여 저경력 교사와 보직이 없는 일반교사의 경우 의사결정의 참여를 제한받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려야 할 것이다. 둘째, 교원단체에 가입한 교사일수록 의사결정에의 참여정도의 지각 수치도 높게 나왔다. 이는 교원단체의 활동이 교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교직경력이 늘어날수록, 부장교사일수록 교사효능감과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은 증가한다. 이는 교직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기회 부여가 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저경력 교사들에게 교직생활에의 적응기회를 많이 부여하고, 교사효능감 프로그램을 개발 ․ 시행하여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첫째, 양적연구만으로는 심도있는 해석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등의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참여정도나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자기조절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의 차이만 유의미하였다. 자신감과 과제난이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이유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다양한 배경 변인 설정과 질문문항의 변경 등을 통하여 차이를 밝혀보려는 시도 또한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의사결정 = 5 1. 의사결정의 개념과 필요성 = 5 2. 의사결정 하위 영역 = 9 B. 교사효능감 = 17 1.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개념 = 17 2. 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특성 = 22 3. 교사효능감의 구성 요소 = 27 C. 선행 연구 = 32 Ⅲ. 연구 방법 = 37 A. 연구 대상 = 37 B. 연구 설계 = 38 C. 연구 도구 = 40 D. 자료 분석 = 4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6 A.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의사결정 참여정도 분석 = 46 B.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 분석 = 56 C.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 63 Ⅴ. 요약 및 결론 = 66 A. 요약 및 결론 = 66 B. 제언 = 71 참 고 문 헌 = 72 ABSTRACT = 77 부 록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51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Teacher Efficc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c.creator.othernamePark, Yeon-Kyung-
dc.format.pageviii, 10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