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명희-
dc.creator송명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1:08:5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22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815-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동일 음악에 대한 개개인의 선호도는 다르며 이에 대한 궁극적인 요인 또한 다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장르별 음악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제 음악을 들려주어 다양한 장르에 따른 음악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악선호도를 연구한 장선희(2004)의 연구를 초등학교 연령층을 대상으로 반복연구 함으로써 초등학교 연령층에서는 음악선호도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또한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음악선호도를 파악함으로써 아동음악교육에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즐거운 음악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사립 초등학교와 공립초등학교 각각 한 학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에서 3, 4, 5, 6학년 각각 한 학급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5가지 음악장르(서양클래식, 한국대중가요, 재즈, 국악, 록 각각 6곡씩), 30곡에 대한 선호도와 친숙도를 검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259명이며, 성별분포는 남학생 140명, 여학생 119명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선호도는 평균 37초 길이의 음악을 듣고 선호도와 친숙도를 7점 리커트 척도에 각각 표시하도록 하였고, 청취곡은 무작위로 순서를 배열한 두 가지 유형의 CD를 사용함으로써 청취곡의 순서에 의하여 개별곡에 대한 선호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의 음악선호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은 서양클래식, 한국대중가요, 재즈, 국악, 록 음악 다섯 가지 음악장르 중 서양클래식을 가장 선호하며, 한국대중가요와 재즈, 록, 국악 순으로 선호한다고 나타났다. 친숙도에 있어서는 서양클래식과 한국대중가요에 가장 친숙하며, 국악, 재즈, 록 음악 순으로 친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선호도와 친숙도는 모든 장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 한국대중가요와 재즈, 국악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년에 따른 선호도에서는 한국대중가요, 국악, 록 음악의 선호도에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친숙도에서는 한국대중가요, 록의 친숙도에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음악선호도와 친숙도에서는 서양클래식 선호도에서만 유미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서양클래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훈련 중 레슨유무에 따른 장르별 선호도에서는 한국대중가요와 국악 선호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 레슨을 받은 학생이 레슨을 받지 않은 학생보다 한국대중가요와 국악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레슨유무에 따른 친숙도에서는 서양클래식, 한국대중가요, 재즈 친숙도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 레슨을 받은 학생이 레슨을 받지 않은 학생보다 서양클래식, 한국대중가요, 재즈 장르에서는 더 친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슨 받은 기간에 따른 장르별 선호도에서는 모든 장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 레슨 기간과 선호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숙도에서는 서양클래식과 록 장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레슨 받은 기간이 길수록 서양클래식과 록에 대한 친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학교 설립유형에 따른 장르별 친숙도에서는 사립학교 학생의 서양클래식 친숙도와 록 친숙도가 공립학교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 성별, 음악적 훈련, 재학학교 설립유형, 곡에 대한 친숙도 중 음악장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친숙도가 모든 장르의 음악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학교 음악교육의 효율성 문제를 제기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선호도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체계적인 선곡을 통한 음악프로그램 개발과 음악교육 교수 학습 자료와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usic genre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ade, gender, familiarity, musical training, and type of school on the music preference.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to meet these purposes replicated Chang's study (2004). The sample (N=259) ranged from Grades 3 to Grades 6 in one public and one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and gender ratio was 140 male to 119 female students. The preference opinion form, accompanied by 30 listening excerpts (six music excerpts per one genre) on CD, was utilized. The Musical genres used were Western classical music, Korean popular songs, Jazz,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Rock. A seven-point preference scale and familiarity scale were used for each listening excerpt. Based on th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stern Classic was the most preferred musical genre, followed by Korean popular songs, Jazz, and Rock.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the least preferred genre. Second, the preference of a certain musical genre was closely related to the familiarity to its musical genres. Among the musical genres tested, Korean popular songs, Jazz,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showed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compared to other musical genr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among the different age groups for Korean popular song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Rock. Similar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the familiarity to musical genres, especially for Korean popular songs and Rock. For musical preference by gender, girls showed greater preference for classical music than boys. Difference in the musical genre preference between the students who had taken private musical lesson and those who had not was observed for Korean popular song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Also, previous musical training appeared to influence the familiarity to music, with its impact being more apparent in classical music, Korean popular song, and Jazz. In addition, the familiarity to classical music and Rock was dependent on the period of the private lesson. In the study of familiarity by the type of school, privat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familiarity to the classical music and Rock than the public school students. Finally, after assessing the aforementioned various factors such as grade, gender, musical training, type of school, and familiarity to the music, familiarity appears to be the most convincing and determining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musical preference in childho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정리 = 3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음악선호도 = 6 1. 음악선호도의 개념 = 6 2. 르블랑(LeBlanc)의 음악선호도 모델 = 7 3. 음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 B. 아동의 음악선호도 = 20 1. 아동기 음악교육과 음악선호도 = 20 2. 아동기 음악선호도의 특징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28 D. 결과처리 = 29 Ⅳ. 연구 결과 = 30 A. 기초통계 결과 = 30 1. 연구대상의 기초통계 결과 = 30 2. 변인별 음악적 훈련의 차이 분석결과 = 32 B. 선호도 및 친숙도 결과 = 33 C. 학년, 성별, 음악적 훈련, 재학학교 설립유형에 따른 장르별 음악친숙도와 선호도 = 36 1. 학년에 따른 장르별 음악친숙도와 선호도 = 36 2. 성별에 따른 장르별 음악친숙도와 선호도 = 39 3. 음악적 훈련에 따른 장르별 음악선호도와 친숙도 = 41 4. 재학학교 설립유형에 따른 장르별 선호도와 친숙도 = 50 D. 음악장르별 선호도에 학년, 성별, 음악적 훈련, 재학학교 설립유형, 친숙도가 미치는 효과 검증 = 53 1. 각 음악장르별 음악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3 2. 전체 음악선호도에 미치는 전체 친숙도, 연령, 성별, 음악적 훈련, 재학학교 설립유형의 효과 = 57 Ⅴ. 결론 및 제언 = 60 A. 결론 = 60 B. 제언 = 63 참고문헌 = 64 부록 음악선호도 설문지 = 69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06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의 장르별 음악선호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usic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Song, Myung Hee-
dc.format.pageⅸ,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